[사주 카페 도혜] 식신입묘 식신입묘!!! 사실 대단히 무서운 작용입니다. 가볍게 볼 일이 아닙니다. 대운에서 식신이 망가지는 시기에 세운에서 식신입묘를 만나게 되면 크게 위축이 됩니다. 의식주건, 활동력이건, 자금줄이건, 건강이건.... 식신은 밥그릇입니다. 그리고 의식주이고 내가 활동하는 원동력입니다. 주.. 명리학 용어 2018.09.05
[사주 카페 도혜] 진술축미 형충 1 사주에서 가장 논란이 많은 것이 형(刑)과 충(沖)이다. 인터넷과 많은 책에서 형은 형벌(刑罰)로, 충은 저항이나 마찰로 불길하게 형충을 논한다. 그러나 고전에서 형충이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는 해석도 많은데, 왜 흉으로만 해석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관련하여 중국의 저명한 명리학.. 명리학 용어 2018.09.05
[사주 카페 도혜] 귀문관살 원진살 귀문관살의 종류는 자유(子酉) 인미(寅未) 축오(丑午) 진해(辰亥) 사술(巳戌) 묘신(卯申) 이 있습니다. 그 중 축오(丑午) 진해(辰亥) 사술(巳戌) 묘신(卯申)은 원진살과 중복됩니다. 귀문관살을 강도의 순서대로 배열하면 진해, 묘신, 축오, 사술, 인미, 자유 순입니다. 여기에는 전제조건이 .. 명리학 용어 2018.09.04
[사주 카페 도혜] 양인살 양인살(羊刃殺)은 너무 왕성하여 생기는 살로서 형벌을 암시하는데요 성품이 강렬하고 난폭하며 살생과 투쟁을 종아한다고 합니다 甲-卯, 乙-辰, 丙-午, 丁-未, 戊-午, 己-未, 庚-酉, 辛-戌, 壬-子, 癸-丑 양인은 사회를 전쟁터라 생각함(죽기살기) 평소 내기나 싸움을 좋아하여 힘자랑하다가.. 명리학 용어 2018.09.04
[사주 카페 도혜] 낙정관살 <낙정관살> 甲己巳(갑기사), 乙庚子(을경자), 丙辛申(병신신), 丁壬戌(정임술), 戊癸卯(무계묘) (예: 甲일이나 己일주가 월,일,시에서 巳를 만나면 적용) 우물이나 맨홀, 웅덩이, 강물, 함정등에 실족추락을 주재하며 흉악살이 가중하면 중하게 본다 (교량붕괴나 도로파손 등에 의한 사고.. 명리학 용어 2018.08.29
[사주 카페 도혜] 개두와 절각 적천수에 따르면 "개두(蓋頭)와 절각(截脚)을 논하니 상하(上下)를 끊어보면 안될 것이며 함께 보되, 대운(大運)은 지지(地支)를 중하게 보고, 세운(歲運)은 천간(天干)을 중히 보아야 한다."라고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5년씩 끊어서 보는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적천수 이론에 따르는 이.. 명리학 용어 2018.08.26
[사주 카페 도혜] 진술충, 사해충 진토 / 5양 1음 ,다양성 이상주의적 기질 (우주의기운, 상상력, 패권주의/정신병) 폼생폼사 몰락성 술토/ 5음 1양, 참선(현실에서 멀어지고 싶은 마음) 지키는..강한 승부 인자. 예술성 1. 천간(天干)이 동일하고 지지(地支)가 충하면 (가령 甲申月과 甲寅日) 걱정과 불안정하고 조업(祖業)을 .. 명리학 용어 2018.08.23
[사주카페 도혜]양인살 육십갑자(六十甲子)는 연월일시(年月日時)를 담아내는 흐르는 시간의 기호로 10간(干)과 12지(支)를 결합하여 만든 60개의 간지(干支)로 육십갑자 또는 육갑이라고한다. 육십갑자는 인간생활사에 적용이 되는데 그 기호를 사람들 태어난 개개인에 적용시키면 사주팔자가 탄생이되는 것이.. 명리학 용어 2018.08.20
[사주카페 도혜] 양인 음인 비인 여기 세 명의 무림고수가 있다 한명은 큰 나무도 무우썰듯 자르는 큰 보검을 지녔다 또 한명은 구절편이라는 채찍을 들었고 칼날이 여러개 박혀있다 마지막은 품속에 여러개의 비수를 가지고 있다가 한번씩 날리는 비검이다 과연 누가 최강자일까? 천간과 지지 사이에 12운성 이른바 포태가 형성된다 포태양생 욕대록왕 쇠병사묘..순행이고 묘사병쇠 왕록대욕 생양태포..역행이다 양간은 순행하니 왕지가 양인이다 록지 다음이라 록후 음간은 역행하니 관대지가 음인이다 록지 앞이니 록전 (순행기준) 그래서 양인 음인을 록후록전라 한다 --- 제왕지는 기운이 가장 성할 때이니 양간이 가장 강렬할 때이다 음간은 관대지가 오히려 음간답다 그래서 양인과 음인은 양간과 음간이 각각 강렬해지는 시기이다 첫번째 고수의 이름은 양인이다 갑 병.. 명리학 용어 2018.08.15
[사주 카페 도혜] 용신론 사주팔자란 하나의 작품처럼 여러 가지의 육친이 조합을 이루고 있는 형태로서, 하나의 조직체로서의 특징이나 특성을 가지는데 이것을 일컬어 격국이라고 할 수 있겠으며, 이러한 특성을 가진 조직에서 가장 필요한 대표적인 존재를 용신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용신이란 사주에서.. 명리학 용어 2018.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