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2 운성 34

12운성 절지,12신살 겁살

12운성 절지(絶地) 갑신- 절단기. 재단사, 의약업 관련 을유-재봉틀,타자기, 생성요리, 음식요리, 꽃꽃이 경인-제조업, 교통사고 신묘-무속인, 손톱,메이크업,척추문제 ​ 절지는 사전적으로 이야기를 하면 끊어 내 버린다는 의미입니다. ​ 절지를 절처봉생(絶處逢生)이라고 한 이유가 ‘옛것을 버리고 새로움을 받아들이다.’라는 의미가 절지에 있기 때문입니다. 인성이 절지이면 옛 문서를 버리고 새로운 문서를 받아들입니다. 학생은 옛 학과진로를 버리로 새로운 학과진로를 받아들입니다. ​ 비겁이 절지이면 옛 동료, 인간관계, 친목활동을 버리고 새로운 동료, 인간관계, 친목활동을 받아들입니다. ​ 식상이 절지이면 옛 일, 옛 의식주, 옛 생업수단 등을 버리고 새로운 일, 새로운 의식주, 새로운 생업수단을 받아들입니..

12 운성 2022.11.11

양간 음간 12운성의 차이 2

​ 양간은 목화금수 운동의 주체로 남자의 근성처럼 노빠구, 직진을 하는 단순한 면이 있다 보니, 잘 나갈 때는 아주 잘 나가는데, 절태지에 놓여서 바닥을 칠 때는 답이 없이 헤매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그에 비해, 음간은 일도 하면서, 아이도 양육해야 되는 엄마와 같은 존재로, 눈치도 빠르고 영악하면서도, 무모하지 않아서, 바닥까지 떨어 져서 헤매는 경우는 양간보다 훨씬 적다고 할 수 있지요. ​ ​ ​ 을목의 경우, 왕지에서 힘의 절반만 쓰고, 나머지는 병화를 생해 주는 데 씁니다. 욕지에서는 병화가 건록의 자리에 있으니, 욕지에서도 목에 힘이 빳빳하게 들어 가는 거지요. ​ 병화가 인목에서 장생 편인으로 잘 성장할 수 있는 건, 을목의 지원 절반을 받아서인 거죠. ​ 을목과 병화가 이러한 협력 ..

12 운성 2021.11.20

양간과 음간의 12운성의 차이

양간과 음간의 12운성은 같지 않고 차이가 있는데, 그 이유를 알아 보겠습니다. ​ 양간과 음간을 각각 남녀로 비유해서 말해 보면, ​ 양간은 남자처럼, 인생은 노빠구, 직진이지. 이런 식으로 목화금수 운동의 주체로써의 역할을 하며, 비교적 단순한 양상을 보이지만, ​ 음간은 여자처럼, 여자의 마음은 갈대와 같다는 말도 있듯이, 목화금수 운동을 보조하는 역할로써 모성애도 작동하면서 좀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됩니다. ​ 갑목과 을목을 예로 들어 보면, ​ 갑목의 경우, 寅목에서는 100% 건록의 특성을 보여 주고, 巳화에서는 100% 병지의 특성으로 나타나지만, ​ 을목의 경우, 왕지인 寅목에서는 50% 왕지의 특성을 보이면서, 나머지 50프로는 병화를 인목에서 생하는데 쓰면서, 생지의 특성을 보이고, ​ ..

12 운성 2021.11.20

12운성 지지 이성난 조합

2가지 입니다. 태지태지의 조합과 욕지욕지의 조합입니다. 태태는 성적인 이성난의 의미가 강하지만 욕욕은 정신적인 사랑을 품고 있기에 더 위험하다고 하지요.(태태는 돌아올 수 있지만 욕욕은 떠난다는 위험, 사랑하기에...) ​ 각자의 본기를 위로 올리면 되겠습니다. ​ 태태조합 寅酉, 卯申, 子巳, 亥午 ​ 甲 酉 태지 ​ 辛 寅 태지 ​ 乙 申 태지 ​ 庚 卯 태지~~ ​ 각자 丙辛, 乙庚, 戊癸, 丁壬암합을 하지요. ​ 욕욕조합 ​ 寅子, 巳卯, 午申, 亥酉 ​ 甲 子 욕지 ​ 癸 寅 욕지~~ ​ 각자 戊癸, 乙庚, 丁壬 암합 亥酉는 암합은 없지요. 午申이 좀 치명적이지요. ​ 이렇게 12운성은 인간의 내면과 성적인 면까지도 봅니다. 뮬란님

12 운성 2021.08.06

십이운성은 천간의 특정 글자가 지지 글자에 어떠한 특성

십이운성은 기본적으로 천간의 특정 글자가 지지 글자에 어떠한 특성을 가지느냐의 문제입니다. [근묘화실] 일간이 년지대비 십이운성 : 유년기의 특성 월지대비 십이운성 : 청년기의 특성 일지대비 십이운성 : 장년기의 특성 시지대비 십이운성 : 노년기의 특성 [궁성해석] 년지대비 : 해외나 먼곳에 활동할때의 나의 기운 (조상과 나의 관계) 월지대비 : 내가 생활하는 사회적인 모습의 특성 (부모와 나의 관계성) 일지대비 : 내 개인적인 특성(성향) (배우자와의 관계성) 시지대비 : 내 깊은 내면의 특성 (자식과의 관계성) 이러한 식으로 저는 생각합니다. 역총 거북이님

12 운성 2020.10.23

십이운성의 운명암시와 활용법

#포태신살 십이운성의 운명암시와 활용법 1)장생: 귀여움 사랑을 의미하며 吉神이면 덕이 있고 흉신이면 덕이 없고 유약하다. 生하는 氣象으로써 인생이 출생한 직후를 의미하니 어린아이로써 피부가 고우며 귀엽고 티없이 맑고 깨끗하고 악의 독심이 없고 원만하며 온후하다. 인상이 좋고 청순하며 단정하다. 모방성과 감수성이 예민하고 예술성과 창의성이 풍부하지만 아직 어린 아기로 자기를 돌봐주는 후견인이 필요하며 통솔력이 부족하지만 신강(身强)하면 무방하다. 발복(發福) 번영(繁榮) 점진발전을 암시한다. ♤년에 있으면 선대가 발달하고 복록이 증진되며 충 형 파 공망 되면 변고로 인하여 결함이 있다. ♤월에 장생이면 부모 형제에 영화요 사회적으로 귀여움을 받고 인덕이 좋으며 윗사람을 잘 모신다. ♤생일에 있으면 현처를..

12 운성 2020.09.08

십이운성(十二運星)- 사궁(死宮)

십이운성(十二運星)- 사궁(死宮) 사(死), 사궁(死宮) ⑴ 사(死) ① 사(死)는 관(棺) 속에 있는 상(象)이다. 즉 공(功)을 이루어 쉬고 있는 상태(狀態)다. 명식(命式)이 좋으면 안정(安定)되고, 흉명(凶命)에 병(病), 절(絶)이 있으면 만년(晩年)에 처자(妻子)도 의식(衣食)이 그립게 된다. 혹(或)은 재난(災難)과 질고(疾苦)가 겹치어 불행(不幸)하게 된다. ※ 질고(疾苦): 병으로 인(因)한 고통(苦痛). ※ 질고(疾故): 병고(病故) ② 납음(納音) 쇠병사(衰病死) 중봉(重逢)에 성패지중(成敗之中) 견길흉(見吉凶)이니 납음(納音)의 쇠병사(衰病死)를 거듭 만나면 성패(成敗)가 있는 중 길흉(吉凶)이 있을 것이니 약득길신(若得吉神) 내구조(來救助)면 변재위복(變災爲福) 시형통(始亨通)이라..

12 운성 2020.09.06

양지

양지는 양기가 움직이는 시기로 작게나마 운이 점차 일어나는 시기다 잉태되어 자라라고 기르고 만삭이 되어 이제 이별의 시기로 분리되어 새로운 출발의 준비가 끝난 상태이다 양자의 별로 남에 손에 크던지 남의 아이를 기운다는 의미로 교육.육영사업에 좋다 양자나 데릴사위가 되는 경우도 있다 준비가 되어있는 상태(스템바이)로 좋은 기운이다 돈이 들어오는 시기이기도 하다 생기발랄하고 편안한것,도량이 넖고 소나기가 와도 뛰지않는 여유로운 성격이다 영특하며,원만하고 팔방미인이며,양육,육성,분가,자립,종교성을 띈다 발전시작이며 생명,생산,원만하고,침착하고 현재 상태에 만족하는 낙천적이고 의타심이 있어 지도력은 약한 편이다 인내,노고,화합,발전의 기운이지만 친가와는 인연이 부족하다고 본다 바빠도 서두르지 않는 느긋하고 침..

12 운성 2020.07.28

12운성 좌법 봉법 인종법 거법

아부태산의 관법으로 봐야겠지요. 일주는 주체이기에 중요하게 보는 편입니다. 천간에 드러나 있으면 그것으로 좌법으로 대입하면 되겠지만 드러나 있지 않을 경우 종법으로 어떤이는 60갑자 포태로 대입하고 어떤이는 천간은 氣의 영역이기에 양간을 우선하여 봅니다. 저는 둘 다 적절히 대입하는 것이 맞다고 보지만, 이번 만큼은 60갑자로 해석한 것입니다. 고민이 따르는 부분으로 좋은 질문입니다. 결국 임상을 통해 확인할 부분이지요. 12운성의 좌법, 봉법, 인종법, 거법은 혹자에 따라서는 상위 1%로로 가는 길이라고 하지요. 그리고 좌법으로 7~80%로 판단하는 것이 맞다고 이 분야의 권위자는 주장하지만 저는 모든 것이 격국의 하위개념으로 봅니다. 그렇더라도 위 명의 경우 많은 부분 좌법으로만으로도 적중한 것으로 ..

12 운성 2020.07.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