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분석의 연구
) -->
오늘은 사주분석의 연구에 대해서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주를 분석하는 방법 중에서 특별한 몇 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 -->
간지론의 특성상 우선 10천간과 12지지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각 글자마다의 운동성과 그것을 기준으로 물상으로의 확장을 얼마나 잘할 수 있느냐가 가장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서 관성이 木이기 때문에 木과 관련된 직업을 가져야 한다고 격용론을 공부한 사람들은 해석을 합니다. 우리 간지론을 공부한 사람들은 그렇게 해석을 하지 않습니다.
관성이 천간에 甲인가, 아니면 乙인가, 아니면 지지에 寅인가, 아니면 卯인가에 따라서 해석이 달라집니다. 그러려면 22간지에 대한 물상으로의 변환을 초보시절부터 열심히 훈련을 해 놓아야겠습니다. 그렇지 못했다면 진도가 나갈수록 곤란해질 것입니다. 그래서 기초를 공부할 때부터 22간지에 대한 확장 연습을 강조해 왔습니다.
) -->
다음은 사주에 없는 오행과 육친을 보고 해석을 합니다. 없다는 것은 해당 오행이 의미하는 기능을 갖지 못했다는 뜻이고 해당 육친과도 인연이 부족하다는 것이겠지요. 사주를 분석할 때 크게 두 가지로 분류를 하는데 재성이냐 관성이냐를 먼저 구분합니다. 상업사주 아니면 직장인 사주로 분류하여 설명을 해야 합니다. 주로 구분의 기준은 사주에서 가장 힘이 있는 월지를 기준으로 봅니다. 가끔 특이하게도 월지와 다른 오행이나 육친이 사주에서 더 많고 강한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 월지에 따라서 정해집니다.
) -->
사주를 30%라고 한다면 대운의 작용력이 70%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은 사주에 아무리 강한 육친을 가지고 태어났더라도 그것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대운이 온다면 그것을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대운은 그 사람의 인생 항로를 거의 70% 결정을 짓는다고 보고 세운은 약 30% 정도의 영향력을 미친다고 봅니다.
) -->
격각살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도 삼합과 연관이 많습니다. 12지지가 있다면 한 자리 건너에 있는 글자와는 격각살이 됩니다. 子는 寅과, 寅은 辰과 격각입니다.
격각이라는 것은 서로 삼합의 운동성이 달라서 오행으로 서로 상생관계일지라도 서로 돕지 못한다는 것이고 아무관계도 맺지를 못합니다. 오행으로 해석한다면 당연히 子(水)은 寅(木)을 생해야 맞는데 사실은 그렇지 못합니다. 그 이유는 격각살이라서 그렇습니다. 그것을 자세히 보면 삼합으로 구분이 되는데 子는 申, 子, 辰 水국이고 寅은 寅, 午, 戌 火국이기 때문에 추구하는 오행이 서로 반대가 된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격각살이라고 이름 붙여서 오행의 법칙에 어긋나게 서로 돕지 못한다고 해석을 하는 것입니다.
) -->
간지론 에서는 용신을 잡지 않고 신약과 신강을 구분하지도 않습니다. 모든 사람들의 용신은 공통적으로 재성과 관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봅니다.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추구하는 것은 공통적으로 돈과 명예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종교인이나 스님들은 사주를 안 봅니다. 왜냐하면 그들이 추구하는 것은 돈과 명예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사주의 주인공인 용신을 재성이나 관성으로 봅니다, 재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식상이 필요하여 식상이 희신이 되겠습니다. 관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성이 필요하니까 인성이 희신이 되겠습니다.
) -->
실제 감명에 있어서 간섭인자를 많이 활용하는데 그것은 합, 충, 형입니다. 월지가 관성인데 일지와 형을 하고 있다면 그것은 의료, 법무, 세무와 연관이 있는 직업을 갖는다고 해석을 합니다. 만약에 충을 하고 있다면 그것은 역마성 직업에 해당한다고 해석을 합니다. 만약에 재성이 합을 하고 있다면 직업에 돈이 간섭을 하는 것이니까 금융기관이나 서무, 재무와 관련된 직장을 다닌다고 해석을 합니다. 간지론 감명법에 대한 도구들을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 -->
생하는 정도의 힘을 본다면 정관과 정인은 100%라면 정관과 편인은 50%정도라고 보면 됩니다. 우리는 사주 모양을 관찰하여 생김새를 설명하는 관법입니다. 예를 들자면 재성이 많은 가운데 관성이 하나 있으면 많은 돈을 관리하는 직장으로 보고 금융기관에 종사할 수 있는 것으로 사주 모양을 관찰하여 통변하는 방식입니다.
월지가 양인이고 일지에 水 식신이 있고 관성이 미약하면 어떤 일이 어울릴까요?
월지와 일지가 합을 하고 있어서 간섭인자로 해석을 한다고 하면은
양인은 칼이라고 해석이 되겠고 식상은 밥숟가락이고 먹고 사는 재주이니까 그것이 水이라면 물과 관련이 있고 칼을 더하면 아마도 횟집에서 칼을 쓰는 사람이겠지요. 관성이 미약하지 않고 강하다면 아마도 산부인과나 치과의사일 경우가 많습니다.
) -->
자신이 22간지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하고 그 다음에 스스로 그림을 그리듯이 해석을 해야 합니다.
월지에 子라는 글자가 있는 사람의 직업을 유추해 본다면
오행 중에 水는 겨울이고 12지지에서 子는 밤 12시입니다. 유흥업, 수산업, 치과, 산부인과, 학문, 종교, 임대업 등이 되겠습니다.
종교가 되는 이유는요? 움직임이 없다는 것은 학문에 적합하고 종교나 수행자로 어울린다고 판단하는 것입니다.
임대업은 어떤 연유에서 인가요? 움직임이 없이 먹고 사는 것이 임대사업입니다.
오행으로만 보면 그렇습니다. 일간이 뭐냐를 보기 전에 월지가 子라는 글자만 보고 직업이나 업종을 추측해 보아야 합니다.
오행으로 水가 치과의사라는 것은요? 치과는 입이고 입에는 항상 침이 고여 있기 때문입니다.
월지만 보고서 연습을 하다가 숙달이 되면 이제 일간을 보면 됩니다. 子월지에 일간이 甲이라면 이사람 직업은 무엇일까요? 子(水)가 인수이겠지요.
종교인, 임대업, 숙박업, 교수 등이 될 수가 있고 상업사주냐, 직장인 사주냐를 알려면 주변 육친을 살피면 됩니다. 타고난 사주가 중요하지만 대운의 영향력이 더 중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사주에 상관이 4개나 있는 사람이 인성 대운을 만나면 어떤 해석을 해야 할까요?
상관이 많다는 것은 재능이 많거나 뛰어난 능력을 지녔다는 것인데 그것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인성이니까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요?
임대업 하라고 권유합니다.
일이 잘 안 될 것이라고만 말하면 안 되고 살아갈 방도를 알려줘야 하지 않겠습니까. 업종을 바꾸는 것이 좋겠지요. 이유는 세월의 변화에 따르라는 것이 정답이니까요. 아무리 훌륭한 재주를 지녔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사용할 수 없는 운이 온다면 안타깝지만 그렇게 살아야 합니다.
오늘 강의는 여기까지입니다.
아래는 사주분석의 연구 정리입니다. 공부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1) 사주 분석의 도구들
가. 사주팔자의 글자를 관찰
ㄱ. 사주의 기본적인 조후 관계를 관찰한다.
지나치게 덥고 습하거나 지나치게 차고 건조한 사주는 우선 조후를 조율하지 않으면 수명에 문제가 된다.
) -->
ㄴ. 子午卯酉, 寅申巳亥, 辰戌丑未를 별도로 묶어서 관찰해 본다.
제왕의 지지인 子午卯酉를 관찰하고 寅申巳亥를 장생과 역마의 작용으로 관찰하고 辰戌丑未를 묶어서 입묘 작용과 각 글자들과의 관계를 살핀다.
) -->
ㄷ. 방합으로 구분하여 강력한 세력의 글자를 관찰해 본다.
월지를 기준으로 방합으로 분류하여 오행의 강약을 관찰한다.
) -->
ㄹ. 삼합으로 구분하여 삼합의 목적물을 본다.
ㅁ. 합과 충을 관찰하여 청탁을 분리하여 본다.
) -->
나. 육친관계를 관찰
ㄱ. 육친이 많고 적음을 관찰한다.
ㄴ. 근묘화실을 이용하여 년, 월, 일, 시를 본다.
ㄷ. 사주에 없는 육친을 관찰하여 부족한 논리를 생각해 본다.
ㄹ. 부족한 것으로 인하여 생기는 관심사를 생각해 본다.
) -->
다. 격국 용신을 관찰
ㄱ. 월지의 육친을 관찰한다.
ㄴ. 파격이라면 파격의 정도를 관찰한다.
ㄷ. 관인국, 식상국으로 관찰한다.
ㄹ. 가장 필요한 글자가 무엇인지 관찰한다.
) -->
라. 부족한 오행의 관찰
ㄱ. 부족한 육친의 논리를 관찰한다.
ㄴ. 팔자에 미치는 영향과 해결책을 생각한다.
) -->
마. 신살에 의한 작용력 관찰
ㄱ. 귀인이나 나쁜 신살을 관찰한다.
ㄴ. 어떤 영향을 미칠지 생각해 본다.
) -->
바. 공망의 관찰
ㄱ. 일주를 중심으로 공망된 육친을 본다.
ㄴ. 년, 월, 일, 시에 어느 자리에 공망인가를 생각해 본다.
ㄷ. 공망의 해를 만났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일들을 생각해 본다.
) -->
사. 사주의 특징을 관찰
ㄱ. 관인통명, 식상생재를 구분 지어 본다.
ㄴ. 재물과 명예의 기능성을 생각해 본다.
ㄷ. 처와 자식의 인연을 생각해 본다.
ㄹ. 년, 월의 기운을 중심으로 직업이나 전공을 생각해 본다.
ㅁ. 재물을 벌어들이는 수단을 생각해 본다.
ㅂ. 월지에 간섭하는 인자를 관찰한다.
ㅅ. 재성인가 관성인가를 구분한다.
ㅈ. 일간과 월지를 간지론적인 입장에서 관찰한다.
) -->
아. 대운의 관찰
ㄱ. 어떤 대운이 좋은지를 생각해 본다.
ㄴ. 대운 자체가 육친으로 하는 역할을 본다.
) -->
자. 대운과 세운을 연관 지어 관찰
ㄱ. 대운이 좋고 세운이 나쁘다거나 대운이 나쁘고 세운이 좋으면 그 작용력이 약하다.
ㄴ. 좋은 사주는 대운과 세운 중 어느 하나만 좋아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ㄷ. 나쁜 사주는 대운과 세운 중 어느 하나만 나빠도 고통을 당하기 쉽다.
ㄹ. 대운은 큰 환경이고 세운은 그날의 날씨와 같다.
) -->
(2) 사주 분석의 기술
가. 낙화 작용
‘꽃을 딴다’, ‘용납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낙화의 작용력이 공망보다 더 크며 인성의 낙화 작용은 약하다.
역마의 작용이 강하고 두 글자 모두 영향을 받는다.
) -->
▷申 --- 戌
戌은 寅을 낳을 것이므로 가을은 봄을 용납하지 않는 차원에서 申은 戌을 극한다는 것이다.
) -->
▷亥 --- 丑
丑은 巳를 낳을 것이므로 겨울은 여름을 용납하지 않는 차원에서 亥는 丑을 극한다는 것이다.
) -->
▷寅 --- 辰
辰은 申을 낳을 것이므로 봄은 가을을 용납하지 않는 차원에서 寅은 辰을 극한다는 것이다.
) -->
▷巳 --- 未
未는 亥를 낳을 것이므로 여름은 겨울을 용납하지 않는 차원에서 巳는 未를 극한다는 것이다.
) -->
寅申巳亥는 삼합의 장생지로서 辰戌丑未가 품고 있는 삼합의 기운을 펼칠 수 없게 미리 싹을 자른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寅은 寅午戌(火국)의 장생이고 辰은 申子辰(水국)의 기운을 감추고 보호하는 글자이므로 반대 기운을 용납할 수 없다는 것이다.
) -->
나. 격각살
격각은 그 글자의 한 글자를 건너서 앞뒤로 격각이 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예를 들어서 子의 격각은 戌과 寅이 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음양 운동에서 申子辰(水) 운동이 일어나면 寅午戌(火)은 활동력을 잃어버리는 결과를 가지는데 子가 일어나면 丑은 일어날 준비를 하는 것이고 寅은 가장 밑바닥에서 다시 올라오기 위한 준비를 하는 것이다.
격각은 삼합 운동성에 대하여 알고 있으면 크게 어려울 것이 없다고 하겠다.
) -->
子와 寅은 오행으로 본다면 水(생)木이 되는데 여러 차례 강조한 바, 22간지에서는 오행의 개념이 통하지 않는다. 둘의 사이는 격각으로 서로 돕지 못한다고 보는 것이다. 그 이유는 삼합의 운동성이 정반대인 물과 불인 이유에서 그렇다고 하겠다.
) -->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 -->
한 칸 앞뒤의 글자와 삼합의 반대 운동을 한다는 점을 알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서 寅(木)의 앞뒤 한 칸씩을 보면 子와 辰이다. 이 두 글자는 水국을 이루는 글자들이어서 寅과는 반대 운동을 한다.
) -->
다. 재성과 관성의 중요성
나와 반대 기운인 재성과 관성은 나와 짝짓는 대자연의 운동으로 음양의 합은 생명 활동이며 움직임 자체는 살아 있는 대자연의 자연스러운 운동이다. 이 세상을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은 부와 명예를 추구하며 살아가는 것이 당연한 목표라고 할 것이다. 따라서 모든 사주의 용신은 재성과 관성밖에 없으며 신약, 신강에 관계없이 강한 오행의 대세에 따르거나 그 오행을 사용하여 살아가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라 하겠다.
신약과 신강의 정확한 구분은 불가능하며 신약하다고 재물이나 명예를 갖지 못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또 하나의 방법은 세월의 대세인 대운을 따라서 사는 방법이다.
) -->
라. 사업 성공의 조건
사업을 할 때 점검해야 할 세 가지가 있다.
ㄱ. 사주팔자의 발달된 인자를 사용하여 제조, 유통, 임대업 등 본인에 맞는 업종의 선택이 중요하다. 힘 있는 오행에 어떤 형태로 간섭을 하는 글자가 있는지를 살피고 어느 간지인가를 글자 그대로 분석한다.
) -->
ㄴ. 대운의 흐름을 관찰하여 세월의 요구에 따른다.
ㄷ. 방위를 참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손님이 오는 방위는 조상과 소통하는 방위와 같으므로 친가, 외가 조상과 관계된 육해살 방위를 출입구로 사용해야한다.
) -->
마. 그릇의 크기
봄이 무르익으면 여름이 오듯이 모든 자연 현상은 멈추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는 운동을 보여 준다.
재성의 크기를 가늠하기 위해서는 식상의 힘을 관찰하여야 하며 항상 어느 육친의 힘이나 압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그 뿌리가 되는 오행의 힘을 관찰하여야 한다.
이것을 다른 말로는 ‘밭론’이라고도 한다.
'고수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궁합 (0) | 2018.10.14 |
---|---|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공망의 연구 (0) | 2018.10.14 |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성격 (0) | 2018.10.14 |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직업과 전공 (0) | 2018.10.14 |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22간지의 확장(2) (0) | 2018.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