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 용어

[사주카페 도혜] 양인 음인 비인

Fortune Ked 2018. 8. 15. 14:34
반응형

여기
세 명의 무림고수가 있다

한명은 큰 나무도 무우썰듯 자르는
큰 보검을 지녔다

또 한명은 구절편이라는 채찍을 들었고
칼날이 여러개 박혀있다

마지막은 품속에 여러개의 비수를 가지고 있다가
한번씩 날리는 비검이다

과연
누가 최강자일까?

 



천간과 지지 사이에
12운성 이른바 포태가 형성된다

포태양생 욕대록왕 쇠병사묘..순행이고
묘사병쇠 왕록대욕 생양태포..역행이다

양간은 순행하니 왕지가 양인이다
록지 다음이라 록후

음간은 역행하니 관대지가 음인이다
록지 앞이니 록전 (순행기준)

그래서 양인 음인을
록후록전라 한다

---

제왕지는 기운이 가장 성할 때이니
양간이 가장 강렬할 때이다

음간은 관대지가 오히려 음간답다

그래서 양인과 음인은
양간과 음간이 각각 강렬해지는 시기이다

 



첫번째 고수의 이름은
양인이다

갑 병 무 경 임은
묘 오 오 유 자에서 각각 양인이 된다

묘오유자를 천간으로 띄우면
을정신계가 되므로
갑병경임에게 겁재이다

천간의 겁재는
지지의 양인과 같다

갑목에게 을목 겁재는 귀찮은 존재지만
그럼으로 해서 획득력, 다재다능이 생긴다

지지 양인은
권세, 권력, 에너지, 힘과 압력을 말한다

금전적 희생, 낙상, 사고, 수술, 소송 등으로 해석되지만
유능, 프로의 별로도 해석된다

양인운에 겪게 되는 고충스런 일이나 희생적인 요소가
결국 자기 인생을 프로로 만들어준다

양인운에 고시합격, 학위취득을 하기에
인성 대용으로 쳐준다

 



두번째 고수는
음인이라 한다

음인은 양인보다
더 지독하다

양인이 폼잡는 양아치라면
음인은 조용한 암살자이다

양인이 커다란 칼을 차고 있다면
음인은 매서운 칼채찍을 휘두른다

을정기신계은
진미미술축에서 음인이 된다

진미술축을 천간으로 띄우면
무기토이다

음간에게 음인은 겁재가 아니라
재성 상관 정인 편관이다

그래서 음간은 비겁운에서
추가로 프로가 되는 행운을 가진다

그만큼 압력을 느껴야 하지만
버텨낸다면 더 유능해진다

 



세번째 고수를
비인이라 한다

날飛자를 쓰므로
비검이다

비검을 목표에 명중시키기 위해서는
정교한 기술이 필요하다

저격수같이 목표에 집중해야하고
한방에 끝내지 못하면 위치가 들통난다

비인은
양인, 음인을 충하는 지지이다

갑목은
비겁인 묘목이 양인이고
묘유충하는 유금이 비인이다

을목은
인묘진의 인목이 겁재
인묘진의 진토가 음인
진술충의 술토가 비인이다

 



중요한 건
검법이다

큰 칼은 잘못 휘두르면
자기 몸을 벨수도 있다

칼을 찼을때
휘두르는 법을 배워야한다

양인운이 그러한 때이고
양인이 충되는 해가 그러한 때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