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손으로 본인의 띠를 표시하는 12지지에서 시계방향으로 두번째 해당하는 지지가 상문살이고
시계반대방향으로 두번째 해당하는 지지가 조객살이다.
사주에 이 살이 있거나 세운에서 이 살년을 만나게 되면 집안에 비극적인 일들이 생겨
눈물을 흘려야 하고 병이 들어도 원인을 알 수 없는 병에 시달려야 하며 상가집 같은데
출입할 때 무척 조심해야 한다.
만에 하나 신중치 못했다가는 잡신에 홀리는 경우도 간혹 있다
상문조객살의 작용력은 매우 강력하다.
1. 파멸, 파산, 가산탕진, 직업에서 퇴직한다.
2. 대사고, 급사망, 질환을 의미한다.
3. 사주내에 상문조객살 2개가 완비되면 항상 재화(災禍)가 근접해 있다.
4. 상문조객살(2자 완비)이 있으면 평생 막힘이 많다.
5. 상문조객살이 가벼우면 육친으로 인한 근심이나 육친의 사망, 이별이 있다.
다음의 자료는 상문부정에 대한 것입니다. 참고로 보시기 바랍니다.
************************************************************************************************************************
★ 상 문 부 정 은 ★
喪家 [ 상가 ] 집에 서려있는 온갖 불길한 氣運 [ 기 운 ] 을 喪門
[ 상 문 ] 또는 喪門煞 [ 상 문 살 ] 또는 상문부정이라고 합니다 .
이것은 .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사람이 죽으면 죽음의 부정이 가장
강한 정령으로 나타나 이러한 기운으로 인하여 禍 [ 화 ] 를 당하게
되며 , 심지어는 죽음에 이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
이러한 , 상문의 기운은 상가 집의 시신이 있는 곳이나 , 대청 . 문 .
추녀밑 . 화장실 . 등 곳곳에 서려 있으며 , 죽은 사람이 쓰던 기물이나 상가 집의 각종 기물에도 서려있어 조객으로 온 사람에게 붙거나 , 조문을 다녀온 사람에게 옮거나 , 조객으로 다녀와서 가족에게
옮기거나 , 지나가는 영구차를 보거나 , 등 여러 경로를 통해서
상문살로 인한 禍 [ 화 ] 를 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이러한 , 상문살이나 상문부정은 특히 弔客 [ 조 객 ] 으로 오는 일가친척이나 친지 등에 많이 나타나게 되므로 상가 집에 가기를 꺼리거나 다니지 않는 사람도 있습니다 .
상문의 禍 [ 화 ] 는 우리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본인은 물론 가족에게 옮기게 되는데 갑자기 원인모를 병을 얻어 고통을
당하거나 , 하는일이 막혀 어려움을 당하거나 , 평화롭던 가정이 풍파를 당하는 등 상문살을 풀어내지 않고서는 견딜 수 없는 고통을
당하게 되는 것 입니다 .
특히 , 영업을 하는 곳에는 많은 사람들이 출입을 하는 곳이라 상가
집에 조객으로 다녀온 사람이 왔다간 후로 손님이 끊겨 장사가 안 되고 손님의 출입이 끊기는 것도 상문으로 인한 화 를 당했기
때문입니다 .
상문은 죽고나서 그 달이 경과해야만 없어지는 것입니다 .
즉 , 정월에 죽어서 장사를 지내고 난 후에라도 그 집을 방문하였다면 상문으로 인한 화 를 당할 수 있는 것입니다 .
★ 상문부정 예방법 ★
일진이 불길하거나 상문 집에 가지 말아야 할 사람이 상가 집에 꼭
참석해야할 경우 , 상문으로 인한 화 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비방책 입니다 ...
피나무 또는 복숭아나무 3 쪽 [ 마른것 ] .검정콩 6 알 . 팥 6 알 . 녹두 6 알 을 준비하여 몸 안에 지니고,
상가 집에 들어가기 전에 ...
검정콩 3 알 . 팥 3 알 . 녹두 3 알 을 정면을 향하여 뿌리고 .상가 집에 나와서 ...
나머지 , 검정콩 3 알 . 팥 3 알 . 녹두 3 알 을 어깨 너머 뒤로
집어 던지고 피나무 또는 복숭아나무 3 쪽에 불을 붙여 자신의 몸을 휘둘러서 뒤로 버리고 돌아오면 상문으로 인한
화 를 막을 수있습니다 .
이때 , 절대로 뒤를 돌아보지 말아야 합니다 .
이런 행위를 할 때 ,악귀들은 신장이 하는 행위로 알고 따라 붙지 않게 되는데 ,
뒤를 돌아보게 되면 , 악귀와 얼굴이 마주치는 순간 악귀들은 신장이 아님을 알아차려 달려들게 됩니다 .
다시 말해서 ...
자신을 노출 시켜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
★ 검정콩 . 녹두 . 팥 . 을 준비하는 이유는 , 신장을 상징하는 것
으로 신장으로부터 몸에 달라붙는 악귀들을 쫓아내는 것입니다 .
벌레가 먹지 않은 것으로 준비합니다 .
★ 피나무 준비가 어려울 때는 복숭아나무만 준비하여도 무방합니다
피나무나 복숭아나무는 귀신을 쫓는 나무로 이것을 몸에 지니는
것은 . 귀신이 접근을 못하는 것이며 . 불에 태우는 것은
화기법을 이용하는 것이며 . 태울 때 연기가 나는 것은 훈소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세 가지 빙법으로 악귀들을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것입니다 .
'명리학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 카페 도혜] 용신론 (0) | 2018.08.14 |
---|---|
[광주 남구 /사주 카페 도혜] 격국용신론(격국론)| (0) | 2018.08.14 |
[광주 남구/ 사주카페 도혜] 수화기제 (0) | 2018.08.12 |
[광주 남구/ 사주카페 도혜] 24절기 (0) | 2018.07.31 |
[광주 남구 /사주 카페 도혜] 편관과 칠살 (0) | 2018.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