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격국용신론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하겠는데요, 먼저 격국용신론이 무엇인지부터 살펴 보겠습니다. 격국용신론은 격국(格局)과 용신(用神)을 합하여 부르는 명칭으로서, 현재 대부분의 술사들이 사주감명을 할 적에 사용하는 방법이며, 그 역사는 아주 오래된 것으로 신살론을 거쳐 서자평의 일간위주의 사주학 창안을 시작으로, 연해자평, 명리종정, 삼명통회, 명리약언, 자평진전, 적천수, 서락오의 자평수언등을 거쳐서 오랜 기간동안 발전과 변천을 거듭해왔고, 현재도 계속유지 발전하고 있는 명리학의 중심이랄수 있는 학문입니다. 현재 사주명리학계에서는 위의 여러 격국용신론등의 각기 다른 이론들이 통일되지 못하고, 각자 자기가 선택하여 공부한바대로 선별사용하고 있거나 자신의 실제 경험을 덧붙여 활용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의 이론들이 현재의 시대에 잘 맞지 않는 관계로 감명법이 사실상 한계를 드러내게 되었는바, 이는 과거 시대에는 사주학을 공부하고 이용하는 계층이 소수의 지배계급이었으나, 현금에 이르러서는 계급사회의 붕괴와 산업사회로의 변천에 따라 누구나 사주학에 접할수 있고 이용하게 되었으며, 과거 전통시대에는 주로 정격사주가 대부분이라해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정격사주가 많은 관계로 적중률이 높았으나, 지금은 90%이상이 파격사주인 만큼 적중률이 떨어질 수 밖에 없게 되었습니다.
그에 대한 대안으로 새롭게 탄생한 것이 “간지론”이라는 학설인바, 현재 우리가 공부하고 있는 바로 이 학문입니다. “간지론”이라고 해서 전혀 새롭게 창조된 학문은 아니고, 과거 명리학에 존재하고 있던 학문입니다. 격국용신론만으로는 현대사회의 복잡해진 생활패턴과 다양한 직업이나 적성에 맞게 감명하는데 한계가 있고, 파격사주가 대부분인 요즘에는 “간지론”이 확실한 대안이라고 믿고, 발전해 나가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물론 간지론에서도 10정격에 맞는 사주는 그대로 격국용신론을 이용하여 감명하기도 하지만 합, 충, 형, 공망등의 간섭인자가 없어야 가능하므로 그 비율은 현저히 떨어질 수 밖에 없겠습니다.
오늘 우리가 격국용신론을 공부하는 이유는 전체적인 부분을 공부하여 적극적으로 사용하고자 함이 아니고, 많은 감명술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학문에 대해 개략적이라도 알아야 하겠고, 또한 10정격에 해당하는 사주는 격국용신론을 이용하여 감명할 수도 있으니, 10정격과 격국을 정하는 방법정도는 함께 알아보려는 것입니다.
먼저 격국에 대해 알아보고 용신에 대해서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격국이란 무엇인가?
격이란 하나의 이름을 의미하며 한 사람이 살아가는 인생의 근본이 되며, 사회성이요, 선대의 가업이고, 사회적 등급이며 부귀빈천을 나타내는 지표로써 자기가 타고난 능력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격은 사주주인공 日干의 외적인 스타일을 말하며, 사회활동의 도구와 수단이 되며, 사주주인공이 지닌 가장 큰 무기가 될 수 있겠습니다.
격을 정한다는 것은 일간에게 월지 지장간중에서 가장 유력한 존재를 대입하여 정하는 것이며, 그 순서는 정기, 중기, 여기의 순이며 대입된 각각의 형태를 놓고 격을 갖추었다 하여 격국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격도 상, 중, 하로 등급이 있는데, 격이 튼튼하면 인생의 목표가 뚜렷하고 근본이 뚜렷하다 하겠습니다. 격에 따라서 일간의 주인공이 그렇게 살아갈 수 밖에 없는 조건을 말하며 외형적 성격을 말하기도 합니다.
파격이라는 것은 격을 잡기 어렵거나 합, 충, 형, 공망등에 의하여 격을 이루지 못한 경우를 말하는데 파격이면 힘들고 가난하며, 노력해도 잘 되지 않고, 좋은 직업과도 인연이 없는 것으로 봅니다.(현대사회에서는 파격사주가 90%이상, 심지어는 95%까지 해당이 되므로 격국용신론이 무력함을 느끼는 것입니다.)
격과 용신은 업무수행능력으로, 격이 튼튼하면 직업의 근본틀은 좋으나 용신이 무력하면 업무수행능력이 부족하며, 격이 부실하면 직업의 근본틀이 안정되지는 않으나, 용신이 좋으면 적응력과 업무수행능력이 좋다고 봅니다.
격에는 격이 원하는 용신이 있게 마련으로 각각의 격이 원하는 용신이 있는지가 매우 중요하며, 격이 원하는 용신이 없게 되면 제대로 써 먹을 수가 없게 됩니다.
격국은 본질적으로 변하지 않는다는 전제를 두지만, 꼭 그렇지 만은 않으며, 부분적으로 운에 따라서 합이나 충에 의해서 변하게도 되며, 하나의 사주에 격국이 많게는 3개 까지 나올 수 있다고 합니다.
2)격국의 종류
①내격(內格) 혹은 10정격
건록격 양인격(겁재격) 식신격 상관격 편재격 정재격 편관격(칠살격) 정관격 편인격 정인격 의 10가지입니다.
②從格(이하 “외격”이라 한다)
종살격(從殺格) : 관성이 강하고 일간이 약할 때
종재격(從財格) : 재성이 너무 강하고 일간이 약할 때
종아격(從兒格) : 비겁과 인성이 강하고 일간이 약할 때
종강격(從强格) : 재성, 관성이 없고, 일주를 돕는 비겁과 인성이 많은 모양
③화격(化格)
천간합에 의한 결과물이 月支에 있을 때를 말하는 것으로, 극히 드물게 화기격 또는 가화격으로 성립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④일기격(一氣格)
사주 전체의 오행상으로 나타나는 고유의 성정, 즉 곡직인수격(木), 염상격(火), 가색격(土), 종혁격(金), 윤하격(水)등을 이해하기 위해서 성립과정을 설명하기는 하나 사주감명에는 별도로 취급하지는 않습니다.
⑤특수격(特殊格)
암충격, 암합격, 일귀격, 복덕수기격, 형합격, 일덕격, 괴강격, 금신격, 시묘격, 비천록마격, 시상일위귀격, 도충격, 육을서귀격, 합록격, 자요사격등 그 외에도 수 많은 특수격및 잡격이 실제 사용되고 있으나, 모두다 알 필요는 없고 이와같은 많은 격이 존재한다는 것 정도만 알고 넘어가시면 되겠습니다.
3)격국을 정하는 방법
①月支가 子 午 卯 酉일때 : 지장간의 정기를 따라서 해당육친으로 격을 정합니다.(합, 충, 형, 공망이 없으면, 입격될 확률이 가장 높습니다)
②月支가 寅 申 巳 亥일때 : 지장간에서 천간에 투간된 자로 정하되, 정기가 투간되어 있으면 정기로 격을 정하고, 없으면 중기가 투간되었는가를 보고 정하게 되고, 없으면 여기가 투간되었는가를 살펴서 정합니다.(지장간에서 합, 충, 형, 공망이 없어야 성립됨)
③月支가 辰 戌 丑 未일때 : 寅 申 巳 亥와 동일한 방법으로 정하는데, 천간에 투간된 字중에서 재성, 관성만을 사용하고 나머지는 잡격으로 정하면됩니다. 재성이나 관성이 투간되면 잡기 財, 官격이라고 부릅니다.
4)10정격
입격이 되는 10정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정관격(正官格)
일간을 극하는 오행이 월지에 있고, 음양이 다른것을 말합니다. 월지 정관은 격중에서 가장 좋은 격으로 보며, 사주에 편관, 상관이 없고 1개의 정관만 있는 것을 최상으로 여깁니다.
특징
①장남이 많고 대체로 지도자의 길을 갑니다(인성이 있어 관인소통이면 길이 순조롭습니다.)
②정관격이라도 일주가 힘이 없거나 충, 파, 공망이 되면 변변치 못한 직장생활을 하게 됩니다.
③정관을 충하는 대운이나 세운에는 직장이나 명예에 반드시 변동이 생깁니다.
④편관이 있으면 관살혼잡으로 고생이 많고, 운에서도 편관운이 오면 질병을 앓거나 근심고통이 생깁니다.
⑤정관이 거듭하여 있거나 편관이 섞여 있어도, 격이 탁하다고 봅니다.
(2)편관격(偏官格)
일간을 극하는 오행이 월지에 있고, 음양이 같은 글자를 말합니다. 편관격에는 월상편관격과 시상편관격이 있습니다.
특징
①편관은 인성이나 식상이 있으면 권세가가 됩니다. 편관을 극하는 식신이 있으면 귀격으로 보며, 식상이 함께 있으면 특수기관, 언론, 방송, 법무등에 종사하게 됩니다.
②편관이 식상을 쉽게 제어하면 선거에 의한 명예직이나 국회의원등의 선출직 명예를 얻는다고 합니다.
③편관이 비겁과 합을 하면 무관이나 스포츠선수가 됩니다.
④인수가 편관을 소통시키면 공학, 세무, 교도직등 특수직에 종사하게 됩니다.
⑤여자의 경우는 간섭이 심하거나 행동을 불편하게 하는 남편을 만나기 쉽다고 합니다.
⑥식신은 반드시 하나만 있어야 편관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습니다.
(3)정재격(正財格)
일간이 월지를 극하고 음양이 다른 글자를 말합니다. 정재는 편재와의 혼잡을 꺼리지 않습니다.
특징
①정재는 재물과 가권의 상속을 받게 되고 자기 분수를 알며 절제적이고 계획적인 경제 활동을 합니다.
②안정된 직장을 선호하고, 돈이 없으면 짜증이 심하다고 합니다.
③투기성이 약하며 운에서 정재를 충하면 고통이 심하게 나타납니다.
④평생 금전복이 있으나 사업성이 약하여 안정적인 공직이나 직장생활을 선호합니다.
⑤일간이 旺하고 재성이 旺하면 갑부사주가 됩니다.
(4)편재격(偏財格)
일간이 월지를 극하고 음양이 같은 글자를 말합니다. 월상편재격과 시상편재격이 있습니다.
특징
①편재는 인성을 극하여 소년기에 여자문제나 금전문제로 인하여 학업의 중단은 필수에 가깝습니다.
②관성이 드러나 있으면 금융, 회계, 서무등과 인연이 깊다고 보겠습니다.
③운에 따라 파란만장한 삶을 사는 사람이 많고, 일주가 강하면 평생사업에 큰 재물을 지닐수 있겠습니다.
④남자는 사업성이 강한 부인을 만나고, 여자의 경우는 남편집이 부자거나 사업가를 만나기 쉽고 본인도 사업성이 강하며, 비윤리적인 짓을 잘 한다고 합니다.
⑤시상편재격은 시상에 편재가 하나만 있어야 이루어 지는데, 비겁운에 최고로 안좋고, 겁재의 손상을 입지 않으면 담장밖에 재물을 쌓아놓은 모습으로 큰 부자가 될 수 있겠습니다.
(5)정인격(正印格)
일간을 생하는 오행이 월지에 있고, 음양이 다른 글자를 말합니다.
특징
①정인(인수)은 학문을 의미하니 평생 글과 학문을 함께 하며 살겠습니다.
②정인은 관성운을 만나면 반드시 사회적으로 성공하며 시험에도 합격한다고 봅니다.
③정인은 인내심과 도덕심이 강하여 도덕관념이 강하고 참고 견디는 힘이 남달리 강하다고 합니다.
④남녀모두 배우자 인연이 약하나 가권의 계승 및 문서형태의 재산을 상속한다고 합니다.
⑤자기 중심적인 성향이 강하고, 움직임이 없는 교육사업이나 임대사업에 적합하다고 하겠습니다.
⑥인성이 많으면 자식덕을 보기 어렵고, 여자는 유산을 잘 하고, 관이 부족하면 글 읽는 선비로 평생을 산다고 합니다.
(6)편인격(偏印格)
일간을 생하는 오행이 월지에 있고, 음양이 같은 글자를 말합니다.
특징
①편인은 기술적인 성향의 학문을 하는데 주로 의약, 공학, 전문기술 등이 있겠습니다.
②편인은 계모의 별이라서 매사에 눈치가 빠르고 일생을 편중하게 살아가는 경우가 많으며 가권의 계승도 좋지 않습니다.
③남자는 배우자 인연이 약하고, 여자의 경우는 자녀의 덕을 입기 어렵습니다.
④전문직이나 기술직에 알맞고 종교, 예술, 의학, 천문학 등에 소질이 많다고 봅니다.
⑤편인격은 편재운이나 식신운에 좋지 않은 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7)식신격(食神格)
일간이 월지를 생하고, 음양이 같은 글자가 해당됩니다. 사주에 재성이 있어야 좋은 명이 되겠습니다.
특징
①식신은 천연적인 의식주 혜택을 나타내므로, 평생을 의식주 걱정 없이 살며 부모의 혜택도 좋겠습니다.
②두뇌가 총명하고 이해심, 동정심, 자비심이 많고, 신체는 비대한 편이 많습니다.
③식신은 편관을 제어 하므로 장수의 인자가 됩니다.
④제조, 생산과 인연이 깊고 사업성이 좋아 재물생산 능력이 있습니다.
⑤식신이 충을 맞으면 역마성 직업에 종사하거나 이동식 사업을 하면 길하겠습니다.
⑥女命에 식신이 잘 생기면 자식이 출세하고, 식신은 인성을 꺼리는데 운에서 만나도 않좋고, 원국에 인성과 함께 있으면 가난을 면치 못하겠습니다.
(8)상관격(傷官格)
일간이 월지를 생하고, 음양이 다른 글자를 말합니다. 상관이 인성을 제압할 때 상관상진이라고 하여 최고로 봅니다.
특징
①비상한 재주, 창조, 혁명, 두뇌가 명석하고 천재성이 있다고 봅니다.
②필설을 펼치는 능력, 예술이나 스포츠에 재능이 많습니다.
③일주가 왕성하여 상관을 중요하게 쓸 때는 가상관격이라 하고 상관격이 이루어진 뒤에 다른 육친을 중히 쓸 때는 진상관격이라고 부릅니다.
④상관격은 자신감이 넘쳐서 교만하고 경솔하기 쉬우며 상대방을 이기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⑤여성의 경우에는 남편 덕을 입기 어렵고, 비정상적인 관계로 부부관계 인연을 맺고 평생 활동적이 된다고 합니다.
(9)양인격(羊刃格)
일간과 월지의 오행이 같고, 음양이 다른 글자를 말하는데, 겁재격이 되는 것이며, 일간이 양간일 때만 양인격이라고 합니다.
특징
①양인이 편인과 합이되면 법관, 무관, 의사등과 같이 권력형직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②부모의 상속을 기대하기 어려우나 문서재산을 물려받는 것은 지켜진다고 합니다.
③운에서 양인을 충하면 그 화가 매우 크다고 합니다.
④남녀모두가 배우자 인연이 좋지 못하고 여자의 경우는 소실이나 첩자리가 애로가 없다고 합니다.
⑤형, 충, 공망을 꺼리고 합과 재성운도 꺼린다고 합니다.
⑥칠살과 양인의 합살격이 최상의 격이 된다고 합니다.
(10)건록격(建祿格)
일간과 월지의 오행이 같고, 음양이 같은 글자가 해당 됩니다. 조상의 덕을 입기 어렵다고 합니다.
특징
①부모의 혜택이 적고 유산을 받더라도 40세 이후에 받는 것이 좋습니다.
②공직사회와 인연이 많고 지도자의 길을 꿈 꾼다고 합니다.
③남,녀 모두 부부 인연이 늦으나 자식은 출세하는 자식을 둔다고 합니다.
④재성이 약하면 교육이나 종교지도자로 살게 됩니다.
⑤재,관운을 만나야 부귀공명을 얻을 수 있고, 공망, 형, 충, 파를 만나면 격이 떨어져 낮은 공직이나 공사에 근무하게 된다고 합니다.
⑥대운이나 세운에서 충을 하면 그 화가 매우 크다고 하며, 약간 신약한 것이 건록격은 좋다고 봅니다.
이상으로 10정격에 대해 알아보았고, 다음으로 정격이 되지 못하는 외격(外格)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5)외격(外格)
외격이란 정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외격에도 여러 가지가 있는바, 어떤 종류가 있는지만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1)종격(從格)
부득이 하게 세력에 따라가는 형세를 말하며 독립업이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그 종류를 보면
①종살격(從殺格) ②종재격(從財格) ③종아격(從兒格) ④종강격(從强格)
(2)전왕격(專旺格)
비겁, 인성으로만 이루어진 형국이며 세상과의 인연이 부족하고 종교인이나 교수직의 사주에 많다고 합니다. 그 종류에는
①곡직격(曲直格) ②염상격(炎上格) ③가색격(稼穡格) ④종혁격(從革格) ⑤윤하격(潤下格)
(3)화격(化格)
①진화격(眞化格) ②가화격(假化格) ③화기격(化氣格) ④甲己 合 土 化格 ⑤乙庚 合 金 化格 ⑥丙辛 合 水 化格 ⑦丁壬 合 木 化格 ⑧戊癸 合 火 化格등이 있습니다.
그 외에 수 많은 특수격 및 잡격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앞에서도 지적했듯이 파격사주를 풀기 위해서 많은 특수격이나 잡격이 생겨나게 되었고, 우리는 정격사주외에는 그와같은 격들이 존재한다는 것만 알고 넘어가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출처] 제9강 격국용신론(격국론)|작성자 수석
'명리학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카페 도혜] 양인 음인 비인 (0) | 2018.08.15 |
---|---|
[사주 카페 도혜] 용신론 (0) | 2018.08.14 |
[사주 카페 도혜] 상문살 상문조개살 (0) | 2018.08.13 |
[광주 남구/ 사주카페 도혜] 수화기제 (0) | 2018.08.12 |
[광주 남구/ 사주카페 도혜] 24절기 (0) | 2018.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