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도사님

[광주 남구 /사주 카페 도혜] 육친의 다른해석

Fortune Ked 2018. 7. 18. 22:14
반응형

육신의 이해체계는 음양오행의 생극제화가 근간입니다. 음양오행의 대대작용에 따라 비겁, 식상, 재성, 관성, 인성으로 작용일 일으키게 됩니다.

 

이것은 상대적인 작용력을 표현한 것으로 주체의 사회적인 행동양식과 생존양식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육신은 음양 및 간지의 이해체계가 조금 다릅니다. 그 다른 점을 이해하고 적용하시면 더욱 정밀한 육신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저와 여러분들의 육신에 대한 이해제계가 서로 같은지, 다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저는 이렇게 이해를 합니다.

 

* 탈도사의 이해체계

 

(1) 甲의 인성, 乙의 인성, 丁의 인성... 같은 인성이라는 말로 묶여 있지만 작용은 전혀 다른 인성입니다.

(2) 인성, 관성, 재성, 식상, 비견의 서로간의 작용은 음양오행의 생극제화로 힘을 주고 받는 것이 아니라, 간지의 생극제화로 힘을 주고 받습니다.

 

* 다른 이의 이해체계

 

(1) 인성은 나를 생하는 오행입니다. 간지에 따라 차이를 크게 두지 않고 있습니다.

(2) 인성, 관성, 재성, 식상, 비견의 서로간의 작용은 음양오행의 생극제화로 힘을 주고 받고 있습니다.

 

음양오행의 체계는 木->火->土->金->水로 生이 됩니다.

 

간지의 체계는 조금 다릅니다. 生이란 단어도 아예 틀린 말은 아니지만, 열어준다(開)는 표현이 더 적합할 듯 합니다. 다소 시간적인 개념도 포함이 되므로 ‘빨리’와 ‘늦음’이 발생하게 됩니다.

 

천간은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로 生이 됩니다. 지지는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로 生이 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生의 표현보다는 開의 개념이 더 잘 맞는다고 봅니다.)

 

아래의 사주를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甲癸○ A사주

○○○○

 

○乙癸○ B사주

○○○○

 

위 두 사주를 비교해서 기운이 더 강한 사주는 어떤 사주일까요? 육신으로 구분을 하면 A사주는 甲일간을 정인 癸水가 생을 한다고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B사주는 乙일간을 편인 癸水가 생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누가 더 기운이 세냐고 물으면 쉽게 답을 못하실 겁니다.

 

오행의 生으로 이해를 하면 답을 쉽게 구분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단지 편인이기 때문에??라는 모호한 답변이 나올 수 있습니다.

 

간지의 생으로 이해를 하면 쉽습니다. A사주가 기운이 더 강한 것입니다. 그 간지의 생의 원리로 보면 癸가 甲을 生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癸가 乙을 생하기 위해서는 시간차가 발생을 합니다. 그래서 癸가 甲을 생하는 것처럼 기운이 강하지 못합니다. 癸가 甲을 생하고 甲이 乙을 생하는 단계까지 가야 합니다.

 

그럼 다음 사주를 보겠습니다. 누가 더 기운이 강할까요? ^^

 

○乙癸○ A사주

○○○○

 

○乙甲○ B사주

○○○○

 

이제는 답이 쉬울 것입니다. 음양오행의 이해체계로는 답이 잘 나오지 않지만, 간지의 이해체계로 들어가면 쉽습니다. 당연히 B사주가 강할 것입니다.

 

다음은 지지의 이해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천간의 생극제화는 그나마 쉬운 편입니다. 그러나 지지의 이해체계는 대단히 복잡합니다.

 

○○○○ A사주

○丑寅卯

 

○○○○ B사주

○子寅卯

 

어느 사주의 지지 寅卯가 기운이 더 강할까요? ^^

 

정답은 A사주입니다. A사주는 丑生寅, 寅生卯의 과정을 거치면서 기운을 누적해 갔습니다. 그러나 B사주는 子가 丑을 열어주지 않은 상태에서 寅卯와의 기운적 단절이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寅生卯만 작동되는 상태입니다.

 

얼핏보면 오행적으로 子가 水이니 寅卯를 생해준다고 생각하겠지만 이것은 해석에 큰 오류를 줄 수 있는 판단입니다.

 

위에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지지는 합충형파해를 통해 기운을 주고 받기도 합니다. 아래의 사주를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 A사주

○申子○

 

○○○○ B사주

○申亥○

 

위의 사주에서 금생수가 잘 이루어지는 사주는 어느 사주일까요? ^^ 오행의 金生水로 단순하게 이해하면 될까요? ^^

 

정답은 A사주입니다. A사주는 申子辰이라는 기운의 견인력으로 子를 강하게 분출하게 합니다. 그러나 B사주는 申이 亥를 생하는 기운의 견인력이 작동하지 않으므로 子처럼 강한 분출작용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申이 子를 생하는 것보다도 시간적 지체작용도 함께 발생합니다.

 

따라서, 육신의 이론 근간은 음양오행의 생극제화로 비견, 식상, 재성, 관성, 정인이 태어났지만 정밀하게 서로의 작용력을 이해하는 단계에서는 간지의 생극제화 개념까지도 염두해서 해석을 해야 합니다.

 

상기와 같은 음양, 간지, 육신, 신살의 종합적인 관법으로 사주풀이를 해 나간다면 더 높은 경지게 다가설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