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평진전 42장] 건록월겁격을 논함 1.건록이란 월건이 일주의 녹당인것을 말한다. 녹은 곧 비겁이 되지만 천간에 투출된 것은 녹이 아니다.그러므로 건록과 월겁(월지가 겁재인것)은 동일한 격으로 볼 수 있으며 굳이 나눌 필요가 없다. 비견이든 겁재든 천간에 투출하고 지지에서 회국한다면 =>재.관.살.식상등을 취하여 쓴다. 2.건록격에 정관을 쓰는 녹격용관의 경우는 정관이 천간에 투출하면 기특하게 된다. 財와 印이 보좌해야 좋고 보필이 없는 외로운 정관이 되는 것을 꺼린다. 정관을 쓰는데 인수로 정관을 보호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癸 癸 戊 庚 亥 酉 子 戌 정관을 쓰는데 財로써 돕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壬 丁 丙 丁 寅 巳 午 酉 3.정관이 있으면서 財와 인수를 모두 가지고 있으면 이른바 신강치삼기(신강한데 삼기를 갖음) 더욱 귀하게 될 징조다. 삼기가 있는 사주는 정관이 재와 인수 사이에 위치하며 재와 인수가 서로 싸우지 않아야 그 격국이 더욱 크게 된다. 丁 癸 戊 庚 巳 卯 子 午 4.록겁용재(건록격과 월겁격에 재를 씀)의 경우는 ==> 반드시 식상을 써야 한다. 월령이 건록이거나 겁재이면서 재를 쓰는 경우에는 재와 비겁의 싸움이 있게 되므로 식상으로 통관해야 비로소 비겁이 식상을 생하고 식상이 재를 생하여 좋게 된다. 壬 癸 丙 甲 辰 丑 子 子 5.化劫爲財(겁재가 재로 변함)가 되거나 化劫爲生(겁재가 식상이 됨)이 되면 더욱 빼어나다. 辛 丁 己 己 丑 未 巳 未 巳丑이 회국하여 金이 되니 겁재 火가 변하여금의 재가 되었다. 그러니 어찌 귀하게 되지 않겠는가? 이런경우를 화겁위재(化劫爲財)라고 한다. 甲 庚 甲 庚 申 子 申 子 겁재 금이 변하여 재를 생하는 식상 水가 되었다. 이런 것을 가리켜 화겁위생(化劫爲生) 이라고 한다. 6.록겁용살(祿劫用殺:건록격과 월겁격에 칠살이 있슴)의 사주는 반드시 제살해야 한다. 己 癸 壬 丁 未 卯 子 巳 壬수가 재성 丁을 합거하여 칠살을 생하지 못하게 하면서 卯未가 회국하여 木의 식상이 되어 제살하고 있다. 7.칠살이 있는데 재가 있으면 원래는 불미스러운 것이다.그러나 칠살을 제거하고 재를 남긴다면 이 또한 귀격이 된다. 丙 壬 癸 戊 午 午 亥 辰 이 명조는 합살하여 재만 남았다. 8.건록격과 월겁격에서는 재관이 없으면 식상으로 설기해야 하는데 설기가 태과하면 비록 수기(秀氣)라고는 하지만 오로지 봄의 木 일주와 가을의 金 일주만 귀하게 된다. 무룻 목은 화를 만나면 통명하게 되고 금은 수를 생하면서 영통하게 된다. 丙 甲 丙 甲 寅 子 寅 子 목화통명이 되었다. 庚 庚 庚 癸 辰 子 申 卯 금수상함이 되었다. 9.건록격과 월겁격에 관살이 모두 투출하면 반드시 거류하여 사주를 맑게 해야 비로소 귀격이 된다. 乙 甲 庚 辛 亥 辰 寅 丑 합살류관이 되었다. 또하나의 예를 들면 丙 甲 庚 辛 寅 申 寅 亥 제살류관이 되었다. 10.정관이 두 개이상 투출하면 역시 정관을 극제해야 하는데 이것을 가리켜 정관이 다툴 때는 상관이 없으면 안된다고 하는 것이다. 11.만약에 정관을 쓰는데 고관무보가 되었다면 격국이 작으니 귀를 누리기 힘들다.만약 식상까지 투출하여 정관을 극한다면 파격이 된다. 그러나 정관과 상관이 모두 투출했는데도 귀하게 되는 수가 있다. 어떤 경우인가? 庚 壬 乙 己 子 戌 亥 酉 乙庚합으로 상관인 乙을 합거했다. 12.財를 쓰는데 식상이 투출하지 않으면 발달하기 어렵다. 그러나 천간에 한 개가 투출하고 잡다하지 않으면서 지지에 뿌리가 많다면 => 역시 부유하게 된다. 그러나 귀하지는 못한다. 13.관살이 중첩하고 제복이 없어도 관살을 제복하는 운이 오면 역시 돈을 벌수 있다.그러나 관살이 너무 과중하면 신상에 위험이 있다. [출처] 자평진전 42장/건록월겁격을 논함|작성자 매화 계곡 |
'격국 '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金 銀鍍의 사주 명리학 이야기 - 편관, 편관격 (0) | 2019.12.02 |
---|---|
은도사의 사주 명리학 이야기 - 충의 이해 (0) | 2019.11.23 |
은도사의 사주 명리학 이야기- 통근, 투출 , 득령, 득지 (0) | 2019.11.20 |
월령, 당령,사령 (0) | 2019.11.20 |
당령 사령 (0) | 2019.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