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정리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기묘일주

Fortune Ked 2019. 5. 26. 01:04
반응형

기묘일주 일간 기(己)토는 음(陰)토로 십 천간 중 여섯 번째 간으로 하늘에서는 구름이요 땅에서는 논밭이라 양생지상으로 인내심이 있고 습윤하여 만물을 포용하니 자애심이 있는 것이다.

기(己), 사(巳), 을(乙)은 모두 구부러진 형상이니 돌아다니는 특징이 있으며 변화와 환경적응에 능한 임기응변 성격의 인물로 볼 수 있다.

기묘일주 일간 기(己)토는 동물로 비유하면 ‘게’에 비유하니 겉은 단단하지만 속은 연약한 것이 특징이고 다리가 열 개이니 이동이 매우 신속하나 불안정하고 속은 여린 고로 상처 또한 받기 쉬운 것이 특징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기묘일주 일간 기(己)토는 물상으로 보면 전원을 의미하는 고로 순박하고 부드러운 인품의 소유자가 많을 것이며 조용한 인물에 대의와 중용을 지키고자 하는바 믿음이 두터울 것이고, 토의 특성은 만물을 수용하니 다정다감한 자가 많을 것이며 배품에는 능숙할 것이며 머리가 좋고 임기응변에 능하니 중개를 잘 할 것이나, 지배욕이 강한 특징이 있을 것이고 때론 의심이 많을 것이다.

기묘일주 일지 묘(卯)는 음목으로 사양의 기운이며 초목이 기지개를 펴고 지면을 박차는 발아지상이라 부지런 하고 목(木)기운이 가장 왕성한 것이니 잡초처럼 강인한 생명력이 있는 것이다.

삼명통회에 이르기를 묘를 경림(瓊林)이라 하는바 묘는 을(乙)목과 같은 것이니 정동방에 위치하고 계절로는 중춘이 되며 만물이 소생하는데 그 색상은 푸른빛이 나는 구슬과 같은 고로 경림이라 이름한 것이다.

기묘일주 일지 묘(卯)는 동물로 비유하면 토끼를 상징하는 것이니 묘(卯)자를 파자(破字)해 보면 둘로 갈라지는 것으로 토끼는 입술이 갈라졌으며 양면성을 갖기 쉬운 인물이고 다산하니 생명력의 상징이고 영리하고 자유로움을 추구할 것이나 은근히 자기 뜻대로 밀고 나가는 고집이 강하다 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환을 상징하기도 하니 음란한 명이 많다 보는 것이고, 연애사에 일찍이 밝은 자가 많을 것이나 양쪽으로 갈라진 형상이니 초혼에 실패할 확률이 높은 고로 만혼이 유리할 것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기묘일주의 진로적성을 보면 의약업, 활인업, 법조계, 종교, 예술, 학술, 실내장식, 교육, 보육, 학원, 부동산 컨설팅 등에 적합한 인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기묘일주는 들토끼라 볼 수 있는바 행동은 민첩할 것이며 생각은 자유로운 영혼의 소유자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갑자, 갑오, 기묘, 기유생은 진신(進神)이라 하여 남에게 예속되기를 거부하고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추구하는 자가 많을 것이며 항시 움직이기를 좋아하니 유랑하는 자가 많을 것이요 외향적으로 다정다감하니 사교성은 있을 것이다. 토끼는 발랄하니 명랑하고 유쾌한 특징이 있을 것이나 내면 심리는 항시 고독함이 있을 것이며 지구력은 부족할 것이며 일지 곡각에 현침이 겹치니 항시 불안한 심리가 있을 것이니 부인병, 위장병 등에 주의하여야 하며, 항시 적덕을 쌓고 활인 업에 종사해야 흉․액을 면할 수 있다 볼 것이다.

기묘일주의 내면심리인 지장간을 보면 편관, 정관이 암장되어 있는바 관성이라 기운은 담백할 것이고 권력과 명예를 지키고자 하는 두 가지 내면심리가 병존하는 것인데, 판단력과 행동력은 뛰어날 것이고, 야심가의 특징이 하나인 것이고, 명예와 질서를 존중할 것이며 치우침이 없이 공평해야 한다고 ale는바 공명심 때문에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단점도 있다 보는 것이다.

기묘일주는 일지 장성이니 스스로의 권위를 지키고자 하는 욕망이 강력할 것이고 병(病)지에 역마라 돌아다니는 자로 보는 것인데, 일지 편관이니 야망을 가졌다 즉, ‘내가 최고다’라는 인정을 받기 원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기묘일주 일지 병지에 현침(懸針)이 꽂혔으니 돌아다니지 않으면 몸이 아플 것이고, 배우자궁에 현침이니 배우자가 돌아다니지 않으면 신액으로 고생한다고 볼 수 있는 것이요, 편관이니 나를 힘겹게 하는 인연이라 판단하는 것이다.

기묘일주 남명의 배우자는 계(癸)수 편재로 보는바 계묘는 장생이니 능력이 있는 배우자임을 알 수 있는데 식상이 왕한 고로 남편을 극한다고 보는 것이니 잔소리가 심할 것이요. 병지 인연이니 자신의 능력을 펼치기 위하여 돌아다니니 부부의 연은 길하다 볼 수 없을 것이고, 모친은 정(丁)화 편인은 계모 또는 서모 인연이 있는바 재물을 탐할 것이며 나와는 함께 살지 못할 인연이고 재가(再嫁)하는 명이 많을 것이다.

자식 을(乙)목은 편관이니 자식 때문에 맘 고생한다고 보는 것이요 아들을 두는 인연이 많을 것이고 록(祿)을 깔고 있으니 먹을거리는 타고 났으나 고집은 꺾을 자가 없다 보는 것이다.

기묘일주 여명의 남편은 을(乙)목 편관이니 나를 아프게 한다는 것인데 함께 살면 본인 몸에 신액이 있을 것이니 돌아다니는 것이고 록을 깔고 있으니 능력은 있는 배우자인데 간여지동이니 부부금술은 좋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고, 기묘일주는 신유(申酉)가 공망이니 식상 공망이라 즉, 자식이 공망이니 자식인연이 없다 보는 것이고, 신묘(辛卯)는 절(絶)지로 보는바 있더라도 나와 떨어져 살 것이며 재물욕이 강하지만 성취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부친 계(癸)수 편재는 장생하니 능력 있고 후원자가 있어 사업가가 많은 법인데 인연은 박하다 볼 수 있을 것이다. 모친은 정(丁)화 편재이니 계모 또는 서모의 연인 있으며 부모는 불화할 인연이 많은 것이고 역마지에 있으니 떨어져 지낼 인연으로 볼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