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32 부스러기 5 [떡볶이의 법칙] 학교 앞에 두 개의 떡볶이 집이 있습니다. 이 중 한 가게는 잘 되고 한 가게는 죽 쑤고 있습니다. 이럴 때 역학자들이 흔히 하는 실수가 이를 운으로 설명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천만의 말씀입니다. 가게가 잘 되고 안 되는 것은 떡볶이의 맛으로써만 설명 될 뿐입니다.(주.. 박청화선생님 2019.02.03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33 부스러기 6 [음간] 음간은 운에 따라 오르고 내리는 폭이 큽니다. 음간은 자기가 약해도, 강한양이 있어도 자기의 짝으로 맞추기만 하면 거기에 의탁해서 얼마든지 살아갑니다. ‘음이 양을 대적할 만하면 반드시 대적한다.’라고 주역에도 나와 있습니다. 辛 乙 癸 壬 巳 丑 丑 申 이 사주는 신약으로.. 박청화선생님 2019.02.03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34 부스러기 7 <及身而止> 丁 己 丙 甲 卯 巳 寅 子 모든 기운이 일간에 와서 멈췄다는 뜻. 가령 위 사주에서 수생목, 목생화, 화생토로 일간에서 멈추고 있습니다. 또 시간 정에서도 화생토로 멈춥니다. 이럴 때는 토생금 즉, 식상의 기운이 있는 것으로 봐줍니다. 봄+봄+봄=여름이라는 이치입니다. 그.. 박청화선생님 2019.02.03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35 부스러기 8 <재와 처> 식상과 무리지은 재는 재물, 관과 무리지은 재는 처로 봅니다. <여자 사주와 관> 관이 없으면 식상으로 관을 대용합니다. 하지만 자식이 어느 정도 커서 식상의 기운이 관을 용납하지 않으면 부부 인연이 멀어집니다. 이때는 떨어져 살면 좋습니다. 보통 자식이 15세 전후.. 박청화선생님 2019.02.03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36 부스러기 8 대운 - 환경, 계절, 주거지 세운 - 사건, 인물, 구체적인 일, 양상 월운 - 세운을 종합하기 위한 과정, 세운의 사건을 마무리시키기 위한 과정, 복선 일진 - 매일의 양상, 사건, 육친과 십이운성의 작용을 자세히 꿰뚫어보기 위한 수단. 매일의 일진을 놓고 연구해 볼 것 [대운] 비견 - 분리 독.. 박청화선생님 2019.02.03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37 부스러기 9 [주도, 피동] 申子辰 년생이 寅午戌 해를 만나면 돈이 들어오더라도 외부 환경에 의해 피동적으로 생깁니다. 가령 상속을 받거나 옆가게가 망하는 바람에 내가 잘 되는 등. 亥卯未는 앞서 있으므로 이 해를 만나면 윗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巳酉丑은 부하나 강압에 의해. [금목과 수화] 연.. 박청화선생님 2019.02.03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39 부스러기 10 [전생과 현세에서의 부부 인연] ○ 壬 癸 ○ ○ 子 亥 ○ ○ 癸 壬 ○ ○ 亥 子 ○ 위 두 쌍은 인연으로 만나 잘 삽니다. 월주는 전생입니다. 즉 전생에 빈번히 쳐다보았던 존재입니다. 또한 이번 생애에 가장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나 환경으로 봅니다. [장남 혹은 장녀 사주] 자오묘유 띠. .. 박청화선생님 2019.02.03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40 부스러기 11 [甲戌 일주] 편재를 깔고 있지만 식신의 입고지입니다. 손 안 대고 코 풀려고 하는 격이요 안 움직이고 재물을 취하려고 하는 셈입니다. 겉으로는 큰 것을 채우려고 애쓰나 잘 채워지지 않습니다. 지갑에 커피값 밖에 없으면서도 뻑하면 수백억을 입에 담습니다. 허공에 떠 있는 것과 같습.. 박청화선생님 2019.02.03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41 부스러기 12 <음간> 음간은 굴신이 큽니다. 정화가 해자축 인묘진을 만나도 그 열기가 약해질뿐 존재 자체가 아주 약해지는 것은 아닙니다. 양간은 뻣뻣해서 그 크기를 유지하고자 하니 입고당합니다. 음간은 안 좋은 운에서 조그맣게 줄어드니 묘자리가 오히려 크게 보입니다. <종격> 대우주.. 박청화선생님 2019.02.03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42 실전 사주풀이 1 壬 甲 庚 壬 申 午 戌 辰 <乾> 1. 가장 먼저 볼 것은 재관의 형태 연월에 관인소통, 시에도 관인소통, 지지에서는 식재소통. 2. 지지의 모습 인신술사 중 신술이 있습니다. 따라서 신통력 집단, 실세 집단. 특히 술이 편재이니 금융으로 잠정 추론. 3. 없거나 약한 것 비겁 -> 경쟁력, 주도.. 박청화선생님 2019.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