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명리학 용어 133

동지 기도의 의미

동지 기도의 의미 불교에서는 동지에 대한 의미가 특별하다. 동짓날은 작은 설이라고 하여 한 해의 시작으로 보고 있다. 사찰에서는 동지기도에 동참한 신도들에게는 신년도 달력을 만들어 보시하고, 신도들은 사찰에 절 살림살이를 준비하고 한해 동안 기도를 올려달라는 의미로 동참금, 불사금, 공양미, 기타 공양물 등을 올린다. 사찰이나 신도들에게 동지기도가 여간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 동지기도에 동참한 신도들은 팥죽을 쑤어서 나누어 먹고 보시(베품)의 의미를 되새기어 부처님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자비의 손길로 의미가 크다. 동지기도는 지난해를 무사히 보내는 것에 대한 감사의 기도와 새로운 한 해의 소원을 기원하는 원력의 기도이다. 동지기도에 동참한다는 것은 스님들의 수행을 돕거나 자신의 신행을 점검하는 의미가 있..

명리학 용어 2022.12.22

모왕 자쇠(母旺子衰)

모친(母親)은 왕(旺)한데 자식(子息)은 쇠약한 형국을 말하는데, 일간(日干)을 자(子)로 보았을 때 일간(日干)을 생조(生助)하는 인성(印星)을 모(母)라고 하는데, 모친(母親)에 해당하는 인성(印星)이 지나치게 왕(旺)한데 일간(日干)에 해당하는 자식(子息) 한 두 개의 비겁(比劫)으로 이루어진 형국이라 볼 수 있다. ​ 즉 사람으로 비유하면 부모의 넘치거나 별난 사랑으로 자식은 어쩔 수 없이 부모를 따르게 되지만 혼자서는 뭐든 할 수 없는 무능한 상태이거나 매사에 부모에 기대거나 의존하는 것과 같다.

명리학 용어 2022.11.16

천을귀인(天乙貴人) 양귀인

양귀인[ 陽貴人 ] ​ 천을귀인의 양(陽)에 대하는 신이다. 천을귀인에는 양귀인과 음귀인 으로 나뉘어진다. 양귀인은 양계절 (陽季節)에 그 작용이 증대되고 음계절에는 그 효과가 희박하다. 보는 법은 동지의 익일에서 하지 사이에 생하여 사주 중에 양귀인을 대하는 것은 귀인(貴人)의 은덕(恩德)이 있다. ​ ​ 귀인 표 생일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양귀인 미(未) 신(申) 유(酉) 해(亥) 축(丑)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사(巳) 음귀인 축(丑) 자(子) 해(亥) 유(酉) 미(未) 신(申) 미(未) 오(午) 사(巳) 묘(卯) ​ 시일월년 계계을갑 축사묘신 ​ 계(癸)일간에서 사(巳)를 보고 있어서 양귀인이 되는 사주다. 묘(卯)월..

명리학 용어 2022.10.26

곤랑도화

도화 중 그 음란함이 격렬한 것이 곤랑도화입니다. 곤은 흐를곤으로 물이 세차게 흐르는 모양이며 랑은 물결랑으로 물결, 파도, 눈물 흘리는 모양입니다. 즉 곤랑은 물이 세차게 파도처럼 밀려드는 모습입니다. 눈물 흘리는 모습도 상상되는 것이 있습니다. ​ 사주 명리학에서 물은 음기를 의미합니다. 즉 그것이 세차게 흐른다는 것은 음기가 넘치는 것이며 음란함이 극에 이른다는 의미입니다. ​ 도화살이 남녀 간의 관계와 관련된 살이고, 그곳에 물이 많다는 것은 남녀 간의 성적인 음란함과 관련이 있습니다. ​ 물이 많고, 그것이 눈물 흐르는 모습이거나, 거세게 쏟아져나온다는 것은 왕성한 폭발을 의미합니다. ​ 마르지 않는 샘처럼, 끝없이 밀려드는 파도처럼 탐욕이 끊임이 없습니다. 너무 과도한 행위는 신장이나 방광에 ..

명리학 용어 2022.10.14

득비 이재(得比理財)

비견.겁의 힘을 얻어서 재를 다스린다는 뜻이다. 군비쟁재와 비슷(?) 할 수있다. ​ 군겁쟁재와 반대현상의 일수 있으며 사주에 재가 많고 신(일간)이 약할 때에는 그것을 재다 신약이라고 하는데 그 많은 재를 관리할 능력이 없게된다. 그때는 비견.겁의 힘을 얻어 그 재를 극재하여 취득 관리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주에 재다신약인 경우 비견.겁이 있어 그 힘에 의지하게 되는 것을 말하여 득비리재라고 하는 것이다. 득비리재는 재는 많고 혼자서는 그 재를 다스릴 능력이 부족하여 비견.겁 즉 형제 붕우의 힘을 합하여 재를 다스릴 수 있는 것이므로 인하여 형제 붕우의 능력이 있게된다. 따라서 형제 붕우와 합하는 일, 예를 들면 합자회사.동업.주식회사 등 공동투자 사업이 좋은 것이다. ​ 격국용신법에서..

명리학 용어 2022.10.10

군겁쟁재(群劫爭財), 군비쟁재(群比爭財)

많은 비견․겁이 재를 놓고 다투는 것을 말한다. ​ 군겁쟁재는 겁재가 무리를 이루어 재성을 취하려고 하는 의미와 비슷하고 군비쟁재는 재성이 무리를 이루고 있는데 비견의 도움을 받아 재성을 다스린다는 의미로 군비쟁재는 비견이 자신이 가진재주로 편재의 기득권을 가지고 온다라고 생각할수도 있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한편으로는 재성 를 용하는 사주에 비겁이 많으면 군겁쟁재라 하고, 또 재성를 용하는 사주에 비견이 많으면 군비쟁재라고 하는 것이 옳은 것으로 보아 본다.

명리학 용어 2022.10.10

관인상생(官印相生)

정관(正官)은 인수(印綬)를 생하고, 인수는 정관의 생을 받아 ​일주(日主)를 생하니, 정관과 인수와 일주는 상생(上生)관계가 이루어진다는 뜻이다. ​ 인성이 월간 혹은 시간 혹은 일지에 있어서 인성이 일간 바로 옆에서 생해줘야 좋다. ​ 일간 옆에 비겁 이 있거나. 월간에 정인이 년간에 비겁 있으면 안되는 경우가 많다. ​ ​ ​@신무병 @미인@ 천간에서 관인상생으로 말년에 교장 선생님 명식( 월지 재성으로 중간에 고생은 함)

명리학 용어 2022.10.06

수화 기제

수화기제가 되면, 환경에 맞는 뚜렷하고 명확한 목적과 그에 따른 목표를 세우고 과정을 걸어가게 되므로 불필요한 행위를 삼가게 되고, 필요한 행위를 우선하므로 진로설정과 정체성이 뚜렷한 인물이 된다. 그리고 환경에 부합된 목적에 맞는 행위와 습관은 쌓이고 쌓여 엘리트 과정을 거쳐 자기 성장을 이루게 될 것이다. 여기서 과정이란 목,금을 의미한다. 만약, 수화기제는 되었으나 목,금이 원국에 드러나있지 않다면 과정을 걷지 않았으므로 행위가 드러나지 않았다. 그래서 픽션 작가 혹은 타인의 희망과 꿈,감정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이속에 있다고 스승님이 말씀하셨다. 목적에 맞는 행위와 습관만으로 성공할 수는 없으나, 성공의 한 요인이므로 수화기제가 없는 사람보다는 성공가능성이 높다고 볼수 있다. 제일 먼저 수화기제가 ..

명리학 용어 2022.09.20

수화기제 ( 水火旣濟 )

수화기제 ( 水火旣濟 ) 형상 모든 것이 제 자리 ( 양은 양자리에... 음은 음자리에... ) 를 차지 하고 있고, 서로가 서로를 도와 주면서 이론적으로는 완벽한 상태에 있다. 모든 것이 완성된 상태, 완전한 상태, 완결된 상태, 최상의 상태이다. 결혼하여 지금까지 바람 한번 피우지 않고 오직 부인만 사랑하면서 살아온 50 대 초반의 남자(수/水) 를 하늘 처럼 떠 받치고 살아가고 있는 조강지처 (화/火) 의 일편단심 사랑의 이야기이다. 아래에 있는 불(화/火)이 타오르면서 위에 있는 물(수/水)을 따뜻하게 덥혀서 이제 사람들이 편하게 사용하도록 따뜻한 물이 만들어져 있다. 완전히 준비된 상태이다. 운세 지금과 앞으로의 미래를 비교했을때 지금이 더 좋다. 즉 당분간 앞으로는 지금보다 더 좋을수는 없는 ..

명리학 용어 2022.09.20

재극인

재극인 ​ O乙戊壬 OO申O ​ 정관월령의 재극인으로 나이 어린 상사를 모신다고 통변한다. ​ 월령별로 따지면 상황이 모두 달라지겠지만, 포괄적으로는 월령에 상관없이 인간사의 재극인은 스케쥴을 잡는 것이다. 재성이라는 현실속에서 인성이라는 과거 또는 미래가 설정된 것의 시간을 조정한다고도 표현한다. 또한, 돈을 벌러 가면 공부를 해야겠다고 생각이 들고, 공부를 하러 가면 돈을 벌어야겠다는 생각 속의 갈등이기도 하다. 재와 인성이라는 두 가지 속에서 마음이 왔다 갔다 하는 것을 말한다. ​ 재가 인을 극 했다는 것은 財도 하고 싶고 印도 하고 있은 것이다. 둘 중에 하나를 하는 것이 아니라, 둘 다 하려고 하는 것이다. 결국 김병우가 생각해보니, 스케쥴 조정하는 것이더라. ​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갔다가..

명리학 용어 2022.01.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