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명리학 용어 133

자자자, 축축축, 인인인, 유유유,묘묘묘, 해해해,진진진, 사사사,오오오,미미미, 신신신,술술술, 해해해,

*자가 나란히 자자자 있다면? 충을 불러온다 하네요 자오충 자연스레 두번 결혼(재혼) 자는 번식.밤.자기 속내 안 보임.비밀.애정.종교.철학 씨앗.종자.어둠.미세함.깔끔.깨끗한 물.겁 많고 영리 ​ *축축축 고독.두번 결혼.허리 디스크 .땅이 꽁꽁 얼어 움직이지 않으니 게으름.불화 ​ *인인인 호랑이 세마리 오히려 용기 없어져 소심 육친과의 인연 × 만약 아들이 셋이라면 한 아들은 양자로 (자식 한명은 없는 셈 쳐야 한다) 아들 한 명은 처갓집에서 자라거나 양자로 ~ ​ *묘묘묘 천파성 토끼의 가죽을 벗겨 고기로 먹으니 성격이 포악 파살로 이동.몸 병약.단명.하는일 막힘 간질병 ​ *진진진 물창고가 셋 경쟁자가 많다 토는 살.피부로도 봄.갑목도 피부로 보기도 하죠 한번 피부병 걸리면 잘 안 낫는다 진진자..

명리학 용어 2021.12.26

재생살

재생살은 재성이 편관을 생해 주는 것이다. 편관도 관성의 역할을 하지만 일간에게 어렵고 힘든 스트레스를 주는 것이다. 편관이 있는 사주나 운에서 편관이 오면 잘 되고 못 되고를 떠니서 힘들고 어렵다. 재생살은 재성이 편관을 내세워서 나를 힘들게 하는 것이므로 재성이 나를 해롭게 한다. 재성은 돈, 여자, 아버지, 부하직원 등이다. 그러니 재생살이 되면 돈으로 인하여, 여자로 인하여, 남자로 인하여, 아버지로 인하여, 부하직원으로 인하여, 결혼한 여자는 시어머니로 인하여 힘들고 어려워 지는 것이다. 재생살도 정재에 의한 재생살과 편재에 의한 재생살이 다르다. 정재는 안정된 재산인데 편관을 만나면 돈이 나가 버리게 된다. 편재는 활용하고 크게 굴리고 싶은 돈이라서 편관을 만나면 사업을 하다가 망하게 된다. ..

명리학 용어 2021.07.10

한목향양(寒木向陽)

목화통명(木火通明)과 한목향양 (寒木向陽)의 해석 ㆍ목화통명 , 목화(木火)의 , 화火가 밝게 통함을 이르는 말로 예를들면 , 인묘월의 갑을목(甲乙木)이 화火를 용신으로 삼으면 이에 해당한다 ㆍ한목향양 , 추운 겨울의 나무가 화(火)를 용신으로 삼는것은 목화통명이 아니고 이 경우는 한목향양(寒木向陽) 이라 한다. 더자세히 해석하면 목화통명이란 나무가 불에 잘타서 주위를 밝게하는 뜻으로 즉, 신강한 木일주가 火를 만나 오행의 흐름이 좋아져서 사주가 부귀격이 된것을 말한다. 그러나 목화통명이 되려면 반드시 사주가 신강해야 되고 신약하면 반대로 목분비회(木焚飛灰)가 되어 나무가 불에 타서 재가 됨을 유념하라, [출처] 목화통명(木火通明)과 한목향양(寒木向陽)은 다르다.? 사주성명학 토제연구소.|작성자 토제

명리학 용어 2021.05.19

재격패인

재격패인(財格佩印) 격국이 편재격인 경우 용신 편재성 경이 편인 갑을 볼때 庚 丙 甲 乙 寅 申 申 未 재와 인이 함께 있다 ​ ​ 월령용사지신, 용신은 오로지 월령에서 구한다는 원리에 근거한 구분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 월령이 재성이거나 월지 지장간 에서 투출한 것이 재성일 경우 재격으로 칭하며 이 경우 인성을 보았을 경우 재격패인(돈도 있고 학식도 갖춘)으로 성격된 것으로 봅니다.(용신의 기준에서 판단) ​ ​ 재극인(財剋印) ​ 반대로 용신이 인성일 경우 재극인으로 파격으로 봅지요 자평진전에서는 정편인을 가리지 않고 길신으로 취급합니다만 편인을 흉신으로 보아 편인격일 경우 재극인을 좋게 보는 경우도 있지만 격국의 기준에서는 황당한 시각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 다만 저의 경우에는 편인인 경우 ..

명리학 용어 2021.01.11

財生殺 (재생살)

財生殺 財生殺은 偏官과 偏財의 生化관계를 말한다. 이는 食神生財나 殺印相生으로 자신의 특별한 재능을 발휘하여 인정을 받은 후에 그 가치를 보존하기 위하여 조직을 결성하는 것을 말한다. 흔히 브랜드 가치를 지닌 상승된 능력을 활용하여 더욱 견고하게 조직을 결성하여 유지코자하는 행동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한 분야에서 특별한 재능을 인정받은 전문가 집단이며, 그 기능 또한 권한이 막대한 것이다. 혹, 殺印相生에 財生殺이면 감시와 감찰, 치유, 허가권 등을 지닌 권력형이 되며 사회적 기여도가 높은 편이다. 그리고 食神生財에 財生殺이면 이권에 대한 기득권을 보유한 것과 같은 것으로 대여나 대행권 등의 권한을 발휘하는 사회적 인지도가 높은 편이다. 하지만 偏官과 正財의 生化관계인 財生官은 생존과 권력의 상호..

명리학 용어 2020.12.21

현침살 곡각살

글자의 모양 즉 字形(자형)에 의한 살이다. 懸針煞(현침살)이란 하늘(공중)에서 바늘이 날카롭게 내려 꽂는다는 뜻으로 凶煞(흉살)에 속한다. 천간 - 甲, 辛 지지 - 卯, 午, 未, 申의 글자를 현침살이라 한다. 글자들이 모두 세로방향 아래로 내려긋는 형상이다. 曲脚煞(곡각살)이란 글자의 형태가 ㄱ(기역)자나 ㄴ(니은)자처럼 꺾여 있는 형상의 글자들을 말한다. 천간 - 乙, 己 지지 - 巳, 丑이 곡각살의 글자가 된다. 현침살이 있으면 의료계통에 종사할 확률이 많고 곡각살은 신체가 훼손되거나 뼈가 부러진다는 살이며 사고수를 겪는 사람들을 많이 보았다.

명리학 용어 2020.11.10

허자 - 공협(拱挾), 비합(飛合), 도충(倒沖)

사주명리학은 공부를 하면 할수록 어렵다. 처음에는 신기하게 딱 딱 들어 맞지만 계속 공부를 하다 보면 억부, 조후, 생극제화, 신살을 모두 동원해도 맞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때 사주공부에 대한 자괴감에 빠진다. ​ 필자는 허자(虛字)이론을 잘 사용하지 않지만 궁합을 보거나 태어난 시간을 추명할때에는 허자이론을 꼭 사용한다. ​ 허자(虛字)란, 사주팔자의 천간이나 지지에 없는 글자를 허공에서 불러오는 이론이다. 허공에서 불러오는 허자는 주로 사주의 재(財) 또는 관(官)이다. 재와 관은 재물 또는 직업과 배우자와 관련이 깊다. ​ 허자는 공협(拱挾), 비합(飛合), 도충(倒沖) 등이 있다. ​ ​ > 공협(拱挾)은 사주에서 12지지 순서 상 인접한 글자 사이에 한 글자가 빠져있는 경우에 빠진 한 글자를 ..

명리학 용어 2020.11.03

북반구와 남반구 나라

북반구의 나라에는 대한민국, 일본, 중국, 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 노르웨이, 핀란드, 덴마크, 스웨덴, 이탈리아, 그리스, 에스파냐, 포르투갈, 헝가리, 체코, 불가리아, 러시아, 폴란드, 유고, 루마니아등이 있고 남반구(적도부근 포함)에는 알제리, 사우디아라비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인도네시아, 아랍에미레이트, 이란, 쿠웨이트, 아르헨티나, 오스트레일리아(남반구), 브라질, 뉴질랜드, 페루, 칠레 등이있습니다

명리학 용어 2020.09.21

사시와 사계 십이지지

일년을 동지와 하지,춘분과 추분을 기준하여 사등분하여 사시를 도출합니다. 수화를 음양으로 나누어 동지부터 춘분까지를 계수영역, 춘분에서 하지까지를 병화영역, 하지부터 추분까지를 정화영역,추분부터 동지까지를 임수영역이라 합니다. 이 네구역을 四時라 합니다. ​ 계수와 병화의 수화가 기제되는 즉 입춘에서 입하까지 목이 나오니 목왕한 계절입니다. 입하에서 입추까지는 병정으로 수화가 미제하니 화왕한 계절입니다. 정화와 임수가 기제하여 입추부터 입동사이에 금이 나오니 금왕한 계절입니다. 입동부터 입춘까지는 임계영역으로 수왕한 계절입니다. 이로써 사계가 나옵니다. ​ 하나의 계절은 들어가고 왕해지고 퇴하는 녹왕쇠 세개의 시기로 나뉩니다. 이를 사계에 대입하면 일년을 십이등분할수있으니 이에 십이지지가 나옵니다. [출..

명리학 용어 2020.09.0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