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 용어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삼합

Fortune Ked 2019. 3. 22. 16:38
반응형

2. 삼합

 

삼합(三合)에는 신자진합, 해묘미합, 인오술합, 사유축합이 있다. 합작용을 하면 다른 오행으로 변하기도 한다고 하여 신자진합화수(申子辰合化水), 해묘미합화목(亥卯未合化木), 인오술합화화(寅午戌合化火), 사유축합화금(巳酉丑合化金)과 같이 쓰기도 한다.

 

삼합을 이루는 세 자 중 두 자만 모이면 반합(半合) 또는 반삼합(半三合)이라하고, 반합에는 인오합, 오술합, 인술합, 신자합, 자진합, 신진합, 사유합, 유축합, 사축합, 해묘합, 묘미합, 해미합이 있다.

 

삼합의 왕지(旺支), 고지(庫支), 생지(生支)는 시계열성 지장간에서 정의된 용어이나, 독립성 지장간에 사용하면 그 의미가 더 살아나서 그대로 사용한다.

 

구성의 특징

삼합(三合)을 이루는 신자진, 해묘미, 인오술, 사유축의 짝들끼리 원형 십이지에서 선을 이어보면 앞의 그림과 같다. 특별한 의미는 없으나 신자진과 인오술을 이은 선을 남겨두고, 해묘미와 사유축을 이은 선을 지워보면 다음의 그림과 같다.

그림에서 삼각형과 역삼각형이 겹쳐있는 모습은 이스라엘 국기에 있는 그림과 같다. 삼각형 둘이 어우러져 있는 양상을 수화기제로 해석해야 할지, 화수미제로 해석해야 할지 모르겠으나, 태극의 다른 형태의 문양으로 보아도 되지 않을까 싶다. 흥미로운 것은 우리에게 친근한 온돌을 이스라엘에서도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참고로 그림은 원형 십이지에서 세 번째 십이지끼리 선을 이은 그림이다. 넷씩 짝을 이룬 자묘오유와 축진미술, 인사신해는 삼합의 왕지(旺支), 고지(庫支), 생지(生支)에 해당한다.

 

지장간으로 삼합 살피기

시계절성 지장간의 왕지, 생지, 고지의 물상과 독립성 지장간의 물상은 다르다. 시계열성 지장간의 물상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계절기운을 말하고, 독립성 지장간의 물상은 지장간에 있는 오행을 말한다.

 

독립성 지장간으로 삼합작용하는 십이지들의 지장간의 구조를 살피고, 물상으로도 삼합작용하는 십이지들의 지장간의 구조를 살핀다.

 

삼합작용의 검토 내용은 명식해석에서는 참고하는 정도이나, 독립성 지장간과 삼합작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더 나아가 오행에 대한 이해을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 이해를 해두는 목적으로 읽기를 바란다.

 

1) 지장간으로 삼합 살피기

신자진 세 자의 조합은 신자진, 신진자, 자신진, 자진신, 진자신, 진신자의 여섯 가지이나, 그림처럼 비교하기 쉽도록 생지, 왕지, 고지 순으로 구성된 신자진의 조합을 주로 사용한다.

 

) 삼합 살피기

 

신자진삼합, 해묘미삼합, 인오술삼합, 사유축삼합 중에서 신자진삼합만 살핀다.

 

신자진삼합의 지장간의 전체적인 모습은, 계수, 계수, 임수로 구성된 왕지 자가 세로의 가운데 있고, 가로의 가운데 역시 임수, 계수, 계수가 차지하고 있다. 네 모서리에는 무토와 경금과 을목이 있고, 수와 상극관계인 화는 없다.

 

지장간의 배열만으로도 수가 많음을 알 수 있다. 한 오행이 많으면 다른 오행은 무기력해진다. 그러므로 신자진삼합에서, 생해주는 경금은 제외하더라도 무토와 을목은 무기력하여 제 역할을 못한다고 보는 것이다. 그렇다고 하여 신자진합화수하여 무토와 을목이 수로 변했느냐하면, 변했다고는 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이것은 신자진(申子辰)삼합과 해자해(亥子亥)의 조합을 비교해 보면 알 수 있다. 그림에서 보듯, 비록 신자진이 합을 하여서 가 풍부해 졌다 하라도, 해자해의 조합보다 가 많다고는 할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유이다.

 

따라서 신자진합화수에서 화수(化水)는 수로 변했다고 하기 보다는 수와 친화(親化)적인 분위기로 되었다고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삼합 살피기 정리

 

네 삼합의 공통점은 생지와 고지의 부성분1은 왕지와 오행이 같고, 생지의 부성분2와 고지의 주성분은 무기토이다.

 

특이점은 다른 생지의 주성분은 부성분1을 생하는데, 사유축삼합의 사화만이 생지가 부성분1을 극한다. 또한 다른 고지의 부성분1은 부성분2를 생하는데, 인오술삼합의 술토만이 부성분1이 부성분2를 극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