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자론의 공부를 끝내고 본격적으로 박일우선생의 명리세계를 연구하는 시간을
가져봅니다
지금은 장님이 코끼리 뒷다리를 만져보고 코끼리 전체를 아는 것처럼 될수도 있겠습니다만
박일우선생의 명리세계관이 어떤 것인지를 알아야 인자론이나 낙화이론 사계단법 신살등등
알 수 있겠다는 생각에 저의 미천한 지식으로 박일우선생의 명리세계를 더듬어 본다는 것 차체가
무리일 수도 있겟습니다 저는 역과 천문과 생극제화의 본질을 깨달은바가 있어
이 분께서 얼마나 귀신의 조화작용에 접근해 있는지를 제 나름대로 가늠해보고자 합니다
여러 선생님들께서는 이러한 점을 이해하여주시고 긍정적으로 수용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걍 참고 정도로 보시고 박일우선생의 명리세계관을 짐작하여 보시기를 바랍니다
먼저 평생사주보는 법이란 제목으로 제3권실무요결의 장을 열고 있습니다
사주하나를 가지고 심층분석한 내용을 기본으로 살펴보도록합니다
坤
戊 庚 己 丁
寅 戌 酉 亥
77 67 57 47 37 27 17 7
丁 丙 乙 甲 癸 壬 辛 庚
巳 辰 卯 寅 丑 子 亥 戌
戌은 과수,寅은 고신살
현재 癸丑대운
상기여명은 년주가 정해년 돼지띠이다
음년생으로 대운은 순행하고 대운의 간지 인자는 천간 5년
지지5년씩 나누어 5년씩 나누어 본다
癸丑대운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은 금년 1999년 丁卯년 12월이다
* 대운을 5년씩 끊어본다
적천수에 임철초사주분석을 읽어보면 간지론으로 대운을 보지않고
한자씩 보는 경우가 매우 많다
명리가 간지론에서 출발한다는 데 대운을 5년씩 끊어서 보는 것이 맞는것이지
의구심을 갖게합니다
일반사람들의 말에 따르면 사주팔자라고 하면서 팔자를 고친다고 하는 소리를 많이 들었습니다
명리를 전혀 모르는 사람들이 팔자(8개라는 숫자)라고 하는 까닭에는 오래전부터 전해내려온 어떤 습관으로
인하여 팔자라고 말하는지는 모르겠다 암튼 이렇게 대중이 말들을 하는 것은
사주를 8개숫자로 로 보는 것이지 간지로 보는 것이 아님을 암시 하지 않을지 모르겠다
암튼 사주를 보는 사람들마다 다르다 어떤 분들은 5년씩 끊어서 보는 경우가 많다
이 말은 배우는 사람들의 관법에 따라 다르게 볼수도 잇는경우이므로 이것이 옳다 저것이 옳다고
주장할 이유가 전혀없는 부분으로 생각합니다 전에는 내것이 최고이다 라고 생각했는데...ㅎㅎ
★관성 보는 법
여명에서 관성을 중요하게 본다
명을 간명할 때 주의해야 할 몇가지 사항이 있다고 한다
명리학에서 정관은 여명에 있어서는 육친상 남편으로 보는 것이 이치이다
이 여명의 경우에는 년간의 丁火 정관이 있어서 남편성이 보인다
명리학에서 육친성중에 벼슬 관글자가 들어 있는것이 세 가지이다
정관,편관,상관이다 여기서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관이란 글자는 벼슬 감투란 뜻이며
정관은 바른 벼슬 편관은 편된 벼슬 상관이란 찌그러지고 손상된 관이란 뜻이다
옛날에는 여자는 뒤웅박팔자라고 하여 남편을 잘 만나면 남편덕에 잘 산다는 말이 있듯이 여성에게 있어서는 정관을
남편으로 보아서 중요하게 보는 것이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편관도 관으로 본다
상기여명의 경우에는 년간에 투출된 정화 정관이 뚜렷이 나타나 있어서 남편이 있다고 할 수있지만
정화 남편성이 해수 殺地에 앉아 있어서 기세가 약한 상태라 유심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
사주는 년월일시 네기둥이 있는데
년주는 년을 맡아서 12개월의 계절의 기운이고
월주는 한달 계절의 기운이고
일주 戌은 하루의 기운이고
시주의 寅은 두시간의 기운으로 본다
이 구절의 의미는 근묘화실과는 정면으로 배치되는 대목을 생각을 합니다
저는 년월일시의 궁을 똑같은 궁으로 보고 사계절의 이치에 따라
근은 원덕으로 봄 인
묘는 형덕으로 여름 예
화는 이덕으로 가을 의
실은 정덕으로 겨울 지
이렇게 보아왓습니다
그 이유는 일월이 왕래하고 음양이 교류하여
하나라는 수에서 열까지 수가 펼쳐지는 오용십작의 이치에따라
사계절이 구분되는 것으로 보았고 음양의 교류로 數가 생기면서 數의 원리로
오행 나왔고. 이것을 象에서 水가 나오고 數에서 五行이 출발하여
五行은 한번은 생하고 한번 극하고 한번은 제하고 한번은 화한다고 하여
생이극 극이생으로 사계절이 생기고 또 24절기라는 절이 맹글어 졋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을 주역에서는 節而四時成이라 햇고 자평진전 간지론에서도
이 이치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고 봅니다 그래서 이 이치에 따라서 격국론이 탄생하였다고 봅니다
그런데 박일우선생님은 그냥 시간의 개념으로 본 것으로 이해합니다
가볍게 이렇구나 생각합니다 더 연구하고 관찰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여태까지 주역을 공부해온 제 생각이 이렇다는 것이므로 박일우선생의 논리가 잘못 된다는 뜻이
아닙니다 비교해서 생각을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 丁화가 殺地에 앉았다는 것은
처음에는 정화 자체만 가지고 해수를 살로 보는 것으로 이해합니다
많은 공감이 가는 관법이라고 생각되며 이분은 관성대재성의 이치에 밝으신 분이 아닌가 생각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亥水는 정화의 관이기도 하지요?(해수는 체는 음이나 용은 양으로 본다)
관성의 상태를 보려면 천간을 지지에 대조해서 대세를 먼저 살펴라
이 여명의 경우는 丁火가 亥水위에 앉아 있으니 관성지에 다가 물위의 火이므로
丁火가 심하게 약하다 위의 이치대로 말하면 년은 12개월을 주관한다 했으니 이 정관은 일년 만큼의 기운으로 작용한다
더구나 丁火를 망가뜨리는 亥水는 일간의 식신이다 그래서 이렇게 된 여명사주의 주인공은 자유부인이다
식상이 강한 여명의 경우라고 할 지라도 사주에서 관과 인이 유력하면 괜찮다
식상이라도 천간에만 드러나 있는 것은 주변으로부터 선망과 관심의 인자로 작용하나 인성에 의해
적절한 조절이 되는 경우에는 실제적으로 남자를 꼭 밝힌다고 볼 수 없으며 천간에 식상이 드러나 있어 유력하고 인성과
관성이 무력할 때 문제의 소지가 많다 특히 식신은 길성으로 그 흉화가 덜하나 상관일 경우에는 그 성향자체가
유흥,오락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므로 즐기기 위해 남자들의 속에서 놀고 싶은 것이다
이 이치는 참으로 질서가 정연한 것으로서, 여명에서 정관 남편이 없으면 품행에 대한 제한도 아무래도 덜받게
되고 현재 남편이 있는 여명과 남편이 있다가 없는 사람과 원래부터 시집을 안간사람과는 여러면에서 차이는 있는 것이다
남편성인 관성이 사주에 뚜렷하게 나타나 있느냐 하는 것은 우리가 시집 가려할 때 남편덕이 있느냐 없느냐를 따질 때
많이 참고 하게된다
그러면 이 여명의 경우에는 무슨애기를 해야 될 것이냐 하면
丁火 정관이 亥水에서 극을 받고 월간 己土와 戌土 戊土에게 火生土로 힘을 빼앗기고
시지 寅木에서는 木生火로 생조를 받고 있고 酉궁에서는 장생지이다, 어찌보면 丁火 정관이 약하게 보이고 강하기도 한 것같다
丁火 정관은 亥水에서 12운성으로 태지에 해당 되고 월지 酉에서 장생하며 戌에서 양지에 해당되고
寅에 사지에 들어간다 담으로 丁火의 기세상 주요한 부분은 丁火를 끊임없이 생해주는 궁이 있느냐는 것인데
이사주에서는 亥중에 甲木과 寅중에 甲木이 존재한다
대운의 흐름은 丁火가 戌에서 양 亥에서 태지 子에서 절 축에서 卯에 해당되어 남편운은 불리하다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은 거리가 먼데 있는 것이 생조해주는 것은 아주 약한것에서 도움을 받는다고 생각해야 되는데
즉 시지 寅에서 木生火의 생조를 받는다 해도 멀리 있는 것은 약한 생조의 힘 밖에 안 된다
그래서 寅의 생조의 힘은 아주 약하다고 볼 수잇다
거기다가 대운이 辛亥, 壬子 癸水로 계속 數운으로 왔는데 그렇다면 丁火 남편이 계속 곤경을 받아왔다
이렇게 원국과 대운에서 관이 두둘겨 맞는데 부부생활을 못하고 있다는 판단을 내릴 수가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 관이 년 월 일 시에 있을 경우가 각각 다르다
이 말은 간명시에 그 작용의 강약을 따질 적에 시 일 월 년으로 강도를 보는것이다 시가 가장 강하고 년이 가장 약하다
아래에서 설명하고 있는 인적사항을 살피는 요령은 년부터 강한데 이말은 아래의 설명과 반대로 말하고 있다
오류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 여명의 남편이란 문제를 놓고 봤을 적에 계절기운으로 봐서 년주는 12개월짜리다
그래서 해수를 자세히 살펴보면 지장간이 임 갑 무가 암장되어 甲木으로 약간의 木生火의 상생작용을
받는다 하는데 그 木生火의 상생작용을 받는다는 개념은 생각할 것 없이 해수의 정기는 임수이니
임수가 정화를 치는 것이 되니 亥水자체는 어디까지나 水가 되는 것이지 木은 아닌것이다
원래는 정화정관이 년주에 있으니 계절적으로 12개월짜리관으로 튼튼하기는 한데 수도 12개월짜리다
그러므로 다같이 동등한 기간을 가지고 있다
전체적으로 간명상
금전의 추리
운명의 추리
매매의 추리
돈이 있고 없고 하는 것을 따지는 데에는 즉 물질적인 면을 봐서 따질때도
시주에서부터 차츰 년주로 거슬러 올라갈 수록 약한 작용으로 보지만
그 맥락으로 볼 적에 인적사항을 가지고 간명시에는
년주에서 부터 차츰 강약으로 내려가는 것으로 보게되니
년이나 월에 식신이 있으면 자식에 대해서는 아주 적극성이 있는 것이다
이 여성은 월에 양인살이 있는데 동기간에 대해서 아주 적극적이며 유력한 동기 지간을 두게 된다고 생각하면된다 " 끝"
출처 :나이스사주명리 원문보기▶ 글쓴이 : 寂洸
'박일우선생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인자론 (0) | 2019.02.13 |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일우선생님의 인자론 (0) | 2019.02.13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춘하추동 (0) | 2019.02.13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근묘화실론 해부 (1) | 2019.02.13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평생사주보는법 (0) | 2019.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