地支因子論
우선 수많은 명리이론이 있는것으로 압니다
인자론,물상론 등등의 이런 이론들을 접할때마다
음양오행의 이기론으로는 도저히 설명이 되지않은 부분들이 많았습니다
마치 풍수에서 형기와 이기를 구분하는 듯이
형기는 형상을 보고 그 형상이 풍수터에 미치는 영향을 말한것 같고
이기는 음양오행의 기의 세계로 시간적인흐름이 있고
형기론은 공간적인 부분을 강조한듯합니다만 풍수를 잘 모르는 저로서는
맞는 지는 모르겠으나 시공간을 결합한 현공풍수가 상당히 설득력이 있다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비성부원본을 공부하면서 현공풍수는 구성학과 기문과 많이
닮았다는 생각을 합니다.풍수에서는 형기나 이기나 매우중요한 이론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천문과 북두칠성 북극성 그리고 28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면 현공풍수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할 것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선기옥형과 칠정,북극성,북두칠성,자미원등등)
풍수에서도 형기와 이기에대한 논란이 많은 듯합니다 심지어는 중구에서 멸망경이란 가짜풍수서를 만들어
이족들에게 배포하여 풍수적으로 중국을 대적하지 못하도록 햇다는 기록도 있고
이 멸망경의 하나를 조선시대에 풍수시험과목으로 햇다고 합니다 ㅎㅎ
그런것들이 현대의 풍수학자들에의해 밝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혹여나 우리 명리부분에서도 이런 못된 중국의 장난이 있는 것이 있지않을까 하는 의구심도
듭니다 이런까닭에 박일우선생의 명리세계를 믿고 더 연구해보고 싶은 생각이들고
우리나라의 고유한 명리교과서를 누군가가 만든다면 더 없이 좋겟다는 생각입니다
명리와 마찬가지로 어떤 이론은 이렇고 저렇고 하는 논란이 많은 듯 느껴집니다
명리도 물상론이나 인자론이 풍수에서 미야기하는 형기를 의미한다면
이 또한 매우 중요한 이론이라고 생각을 하며 박일우선생님의 지지인자론을 보면
12지지를 대표하는 동물의 특성을 아주 보편타당하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서술하고 있다는 점이 독특합니다 .또한 심층환경분석이라고
축일에 내방한 손님의 내정법을 근묘화실에 의해서 축인묘진으로 하여
진으로 본다는 것입니다 축에서부터 진까지의 흐름을 동물의 특성인 인자론으로
사주를 보는 관법인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육십갑자의 납음오행이 만들어지는 원리가 있는 삼명통회 1권에 있는 내용중에
합충의 수를 연구하여 수개념으로 쓴다는 점을 발견했습니다
예를 들면
갑기자오는 9
을경축미는 8
병신인신은 7
정임묘유는 6
무계진술은 5
사해는 4
이렇게 납음오행의 수를 응용했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생수인 123은 왜 빠져있을까??? 아마도 천지인의 어떤 비밀이 있지 않을지 ....
명리에서 인자론이란 풍수에서 말하는 형기를 많이 닮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지지의 12가지 글자를 각각의 지지를 대표하는 동물의 모양과 특성을 면밀히 분석하여
그 분석한 공통점을 일간에 대입해서 해석하는 것으로 이해를 합니다
물론 저만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그래서 형기란 형상을보는 것이므로
보는사람마다 또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보인다는 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될지
한동안 궁금햇었으나 옛날 선현들이 12지지에 왜 동물을 배정했을까?
뭔가가 타당성이 있는 이유가 있겟고 선현들이 배정해준
12지지의 동물을 아주 독특하게 형상화 시킨 인자론에 매력을 느낍니다
더 읽어보고 연구하여 제대로 이해가 되면 차근차근 알기 쉽도록
올려드리겟습니다
한국사람이 연구한 것이 한국어로 그 의미전달이 잘 전달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 기본은 항상 음양오행의 생극제화 잇다는 사실은 잊지말아야 합니다
출처 :나이스사주명리 원문보기▶ 글쓴이 : 寂洸
'박일우선생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암시살 (0) | 2019.02.13 |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인자론 (0) | 2019.02.13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평생사주보는 법1) (0) | 2019.02.13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춘하추동 (0) | 2019.02.13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근묘화실론 해부 (0) | 2019.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