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근과 투간의 분별
여러분은 자평명리를 공부한 분들은 대부분 통근과 투간에 대해 잘 알고 있을 거라고 생각을 한다... 굳이 언급을 할 필요는 없지만... 용맥론에서는 과연 통근과 투간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한번 소개를 해볼까 해서 포스팅을 작성한다.
丙 乙 癸 丁
戌 亥 卯 未
위 사주를 통해 통근과 투간의 활용을 연습해 보자..용맥론에서 통근과 투간을 알기 위해서는 반드시 용맥을 알아야 한다. 그렇지 않고 자평명리 식으로 하다보면 통근이 곧 투간이 되고 투간이 곧 통근이 되어 구별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위 사주에서 예를 들어 월간 癸水가 일지 亥水에 통근이 되어 있는 것인지 아니면 일지 亥水에서 월간 癸水가 투간 된 것인지 구분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반드시 사주팔자에서 용맥을 잘 찾아야 투간과 통근을 구분할 수 있다고 하겠다.
丙 乙 癸 丁
戌 亥 卯 未
용맥
亥 => 乙 => 丙 => 丁 => 未 => 戌
위 사주에서 용맥을 한번 보자.. 亥水는 일지 지지에 있기 때문에 월간 癸水는 일지에 뿌리를 내려 통근 한것이 아니라 亥水 지지에서 월간 癸水가 투간한 것에 해당한다. 이런 경우 일지 亥水의 기능은 파격이 되어서 좋지 않은 작용을 한다고 해야 할 모양이다.. 그다음으로 일간 乙木의 경우는 천간에 있는데. 월지 卯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경우는 월지 卯에서 일간 乙木이 투간한 것이 아니라 일간 乙木이 월지 卯에 통근을 하고 있는 경우도 이런 경우 일간 乙木은 성격이 되었다고 볼 수 있겠다. 그렇기 때문에 卯월에 일간 乙木이 투간 한것이 아니라 일간 乙목이 卯월에 통근을 한것이기 때문에 일간의 힘이 상당히 크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월지 卯월에서 일간 乙이 투간 되었다면 비록 월지가 卯월이라도 일간 乙木은 힘이 없다고 하겠다.
다음으로 시간 丙火를 보면 천간에 있기 때문에 지지에 뿌리가 있어야 하는데 시지 戌土에 뿌리를 내리고 있어 역시 시간 丙火는 성격이 되어있다. 그다음에 있는 丁火도 역시 시지 戌土에 뿌리를 내리고 있어 성격이 된 궁宮이다. 년지 未土는 천간에 土가 투출되어 있지 않아 성격이 되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일간 乙木이 투간 되어 있으므로 파격이 된 宮이다. 다음으로 시지 戌土의 경우도 천간에 土가 없는 것은 다행이지만 한편으로 천간에 丙 丁이 투출 되어 있어 역시 파격이 된 宮이다.
아무래도 자평명리에서 구분하는 통근과 투간의 활용이 전혀 다르다 보니 이해가 잘 되지 않을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하지만 용혈론에서 용맥을 통해 어떤 오행이 투간 한것이고 어떤 오행이 통근한 것인지 정확하게 구분을 할 수는 있다...단지 이것을 활용하기에는 너무 미약하기 때문에 그다지 활용을 하기는 힘든 문제점이 있기는 하다... 아마 자평명리라면 충분히 잘 활용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보기는 하지만.. 이론이 전혀 틀려... 활용하기는 힘들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필자의 이야기게 관심을 가지지도 않을 것이다.
[출처] 통근과 투간의 분별|작성자 사주상담가
'명리공부2'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남구 사주 카페 도혜] 역학....궁합보는 법. (0) | 2018.03.27 |
---|---|
[광주/남구 사주 카페 도혜] 사주학을 공부하려는 사람들에게 (사주학 얼마나 배워야 하나?) (0) | 2018.03.27 |
[광주/남구 사주 카페 도혜] 남자의 사주팔자에서 비겁이 강하면 여자덕과 부친덕이 없을까? (0) | 2018.03.27 |
[광주/남구 사주 카페 도혜] 용맥론과 혈지론에서 년, 월, 일, 시, 중 어느 기둥이 중요할까 (0) | 2018.03.27 |
[광주/남구 사주 카페 도혜] 용신이 역술인 선생님들마나 달라요 (0) | 2018.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