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공부6

[광주 남구 /사주 카페 도혜] 궁성론

Fortune Ked 2018. 5. 6. 15:06
반응형
                                                                 

궁성론에 따른 사주심리분석


1. 여기에서 말하는

()이라는 것은 연월일시의 자리를 말하며

()이라고 하는 것은 육친을 말하는 것.



2. 사주 중에서 심리에 미치는 순서

 

일간

일지

월간

시간

그 밖의 천간

그 밖의 지지

 

여기에서 1~4 번의 경우는

다른 간지와 을 할 경우에는

하는 간지를 다른 것보다 우선 적용한다.


 

3. 일간과 하거나 상생하는 것은 친밀한 반면,

    일간과 또는 하는 것은 소원하다.

 

4. 대체적으로 천간은 친밀한 반면, 지지는 소원하다.

 

   이것은 천간(밖으로 드러난 성격)은 동적이라

   일간과 교류하기 쉬운 편이나

 

   지지 (숨겨진 성격)는 정적이라

   일간과 교류가 원활하지 않기 때문이다.


5. 육친의 심리 상태.

 

비견 : 독립적 주체 심리

겁재 : 주도적 지배 심리

식신 : 능률적 생산 심리, 창의적 연구 심리

상관 : 감각적 친밀 주의, 창의적 예술성

편재 : 구조적 정밀성, 획득적 유용 심리

정재 : 다변적 유용성, 세부적 분석 심리

편관 : 조직적 자율성, 관리적 명예 심리

정관 : 기획적 생산성, 조직적 도덕 심리

편인 : 학문적 탐구성, 직관적 자율 심리

정인 : 학문적 탐구 심리, 분석적 직관성

   

[출처] 궁성론에 따른 사주 심리 분석|작성자 학생



1. 宮(궁)
궁은 십신이 머무는 집이다.
사주는 네 기둥으로 구성되는데
일간을  기준하어  위계에 따라  육친의  집을  배치한 것으로 근묘화실이라고 한다.
연주는 조상의 공간으로 뿌리에 해당하고,
월주는 부모의 공간으로뿌리에 해당하고,
월주는 부모의 공간으로 보살핌이 필요한 싹을 의미하며,
일주는 사주 주체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배우자와 함께  꽃이 활짝  핀 상태를 나타내고,
시주는 자식의 공간으로 인생의 열매를 맺는다는  것이다.

2.성
성은 십신에  따라 분류된 열가지 육친을 말한다.
십신이 머물도록  배치된 빈 집에  해당 육친을 배속시켜 집주인이  되도록하는 것이다.
따라서 궁성이란 4기둥으로  구성된
궁에 8글자에  해당하는 성이 배치되는 것으로 궁과 성의  육친이 일치될경우  가장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궁은 고정되어   있으나 성은 이동할수 있으므로 십신은 일간을 제외한 모든 궁에 들어갈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