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공부6

[광주 남구 /사주 카페 도혜] 동양철학의 기본, 하도수와 낙서수의 이해

Fortune Ked 2018. 4. 26. 19:21
반응형

河圖(하도)--->龍馬負圖(용마부도),  洛書(낙서)--->神龜背文(신구배문) 


1. 河圖(하도)의 數理(수리)


           7 天七

           2 地二                         生數 : 1, 2, 3, 4, 5  기본수, 선천수

                                              成數 : 6, 7, 8, 9, 10 작용수, 후천수

8地八     5 天五       9 天九

3天三    10 地十       4 地四


            1 天一

           6 地六  

      

                       天 壬 陽水를 生하여 北에 위치함에

                       地 癸 陰水가 合成하고

 

                       天 三 이 甲 陽木을 生하여 東에 居함에

                       地 八 이 乙 陰木을 합성하고


                      天 五 가 戊 陽土를 生하여 中央에 위치함에

                      地 十 이 己 陰土를 합성하고


                      天 七 이 丙 陽火를 生하여 南에 居하고

                      地 二 가 丁 陰火를 합성하고


                     天 九 가 庚 陽金을 生하여 西에 居함에

                     地 四 가 辛 陰金을 합성하니

                     天干 이 이 원리에서 나왔다.

                     天數 가 모두 二十五요, 地數가 모두 三十이다.


복희씨가 이 河圖를 참고하여 八卦를 만들었고 黃帝씨가 이 법을 본받아 六甲을 創造 그 뒤 聖人이 이 법을 연구, 발전시켜 후세까지 역법이 전해져오고 있다.


                  生數(생수)

                    1 : 下(하), 北(북), 陽(양) 奇(기), 天(천)

                    2 : 上(상), 南(남), 陰(음), 地(지)

                    3 : 左(좌), 東(동), 陽(양)木(목), 天(천)

                    4 : 右(우), 西(서), 陰(음)金(금), 地(지)

                    5 : 中央(중앙), 陽(양)土(토), 天(천)


                   成數(성수)

                     6 : 偶(우)수, 水(수), 陰, 地(지)

                     7 : 奇(기)수, 火(화), 陽, 天(천)

                     8 : 陰(음)    木(목), 地(지)

                     9 : 陽(양)    金(금), 天(천)

                    10 : 陰(음)    土(토), 地(지)


                      1, 3, 5, 7, 9  : 陽수, 홀수

                      2, 4, 6, 8, 10 : 陰수, 地수, 짝수 



2. 神龜洛書 : 夏나라 禹임금 때 신구가 낙서를 등에 지고 나왔다고 한다. 


                            克數는 用數이다.

                            물건을 만들고 사용할 때는 반드시 剋數로 한다.


                        午(南)


     4 巽木四      9 離火九      2 坤土二

        四緣          九紫           二黑


東   3 震木三      5 土五        7 兌金七   西

        三碧          五黃          七赤


     8 艮土八      1 坎水        6 乾金六

        八白          一白           六白


                      子(北)      

          

離火(이화)는 九(구)를 이고(載(재))

坎水(감수)는 一(일)을 발고

좌편은 震木(진목) 三(삼)이요

우편은 兌金(태금) 七(칠)이요 

坤土(곤토) 二(이)는 우편 어깨요

巽木(손목) 四(사)는 좌편 어깨요

乾金(건금) 六(육)은 우편 발이요

艮土(간토) 八(팔)은 좌편 발이요

土五(토오)는 역시 중앙에 위치하니

天인 陽數(양수)는 四正方에 居하고

地인 陰數(음수)는 四間方에 居하였다.

또 九星法으로 풀이하면

一白이 子(北),

二黑이 未申(西南),

三碧이 卯(東),

四緣(연)이 辰巳(진사)(東南)

五黃이 中央,

六白이 戌亥(서북)

七赤이 西(서),

八白이 丑寅(동북)

九紫가 午(南)宮에 居하여

九星의 위치와 八門의 方位가 정해진 셈이다.

그리하여 양돈(冬至 後)에는 九星을 順行하고,

음돈(夏至 後)에는 九星을 逆行하도록 되었으며, 

夏后氏가 이 법을 인용하여 水土를 평정하고

기자는 이를 因하여 洪範九疇(주)를 지었으며

그 후 왕들 정치에 이를 근본으로 사용하여 온 천하 백성들의 건축법과 葬(장)하는 법 및 길흉화복을 판단하는데 그 妙(묘)가 무궁하였다.


土克水(토극수) 제방을 쌓는다. (물은 土가 있어야지 고인다.)

陽(양)이 근본이 된다. 

15數는 불변수이다. 

구궁수로 천지인 三才(삼재)를 갖추었다.

五行으로 볼 때 河圖(하도)는 右旋(우선)(상생)하고

洛書(낙서)는 左旋(좌선)(상극)한다.

오행은 相生(상생)가운데 만물이 생겨나고 이루어진다.

음양의 반대작용과 상호보완으로

體用(체용)이 될 때는 合(합)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