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팔자를 볼 때는 살기 위하여 움직이는 글자들의 작용을 알아야 합니다.
천간의 임수가 병화를 극하면
병화는 무토 식상을 앞장세우고 임수에 대항합니다.
○ ○ 戊 丙 甲
○ ○ ○ ○ ○
갑운이 오면 목생화가 잘 이루어질까요?
천간은 생보다는 극이 우선입니다.
갑목이 제일 좋아하는 글자는 무토 재성입니다.
목극토가 먼저 일어나게 됩니다.
그러면 어떤 경우에 목생화가 잘 일어나게 될까요?
庚 ○ 戊 丙 甲
○ ○ ○ ○ ○
갑운이 와서 목극토를 하게 되면
무토는 자식인 경금을 생해 금극목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때 극 받은 갑목이 살기 위하여 목생화를 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화극금이 이루어집니다.
○ ○ ○ 丙 甲
○ ○ ○ ○ ○
갑운이 온다고 목생화가 잘 이루어지지는 않습니다.
庚 ○ ○ 丙 甲
○ ○ ○ ○ ○
경금의 극이 있어야 갑목이 목생화를 하게 됩니다.
수극화가 되어야 화생토가 되고
목극토가 되어야 토생금가 되며
화극금이 되어야 금생수,
토극수가 되어야 수생목이 이루어집니다.
극이 있어야 생이 있습니다.
이러한 2차, 3차 작용 과정을 알아야
천간의 변화를 올바로 읽어낼 수 있습니다.
[출처] 천간의 생극 작용2|작성자 대명
반응형
'고수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망퇴직 그만두어야 될까요? (0) | 2023.05.05 |
---|---|
비겁 (1) | 2023.05.05 |
박나래 사주 계묘년 운세 (0) | 2023.05.03 |
세운과 대운, 월운과 세운 (0) | 2023.04.28 |
염상격, 식신격? (0) | 2023.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