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신
식신의 개념(뜻)
식 食이란
양(기를 양養)에서 나온 글자로
생명체를 양육시키는 개념
~ 내것을 나누어주다...
신 神이란
물질적 풍요와 함께 감사와 공경의 개념을 내포한다
식신은 물질로는 의식주 생활용품, 천연자원, 자연재로 보고
정신적으로는 인륜에 해당한다
건강을 유지하고, 일상생활이 안정되어 남에게 배풀며 사는 모습이다
물질적 풍요에서 오는 안정감이 정신의 안정에 미치니
인간본연의 물질적 안정을 위하여 연구, 개발, 생산에 주력하는
노력하는 상이다.
지혜知慧로서 극복하고, 대화로서 설득하는 자신감에서 나오는
의지의 상이다.
1) 식신의 역할
자신을 기른다는 의미의 養과
먹인다는 의미의 食으로 구분지어 의미를 해석하면
식신의 역할은 스스로 고유한 재능을 만들고 활용하는 것에 있고
이를 이용하여 남을 이롭게 하는 것에 있다.
그러므로
항상 자기계발을 위하여 투자하고
타인들의 어려움을 막아주는 것에 힘써야 하는 것이 식신의 역할이다.
만약 자신을 스스로 기르지 않고
잡기, 게으름, 시간낭비 등의 행동을 한다면
남이 나를 대신하여 생존하게 만들 것이다 → 남에게 의지하는....
또한 방관, 차별, 비협조 등으로
타인의 힘겨움을 해소해주지 못한다면 외면당하게 될 것이다.
결국 식신의 역할은 성실근면하게 자기가 자신을 만들고
타인의 어려움을 해결해주는 것에 있다.
2) 식신의 생활관
1.개인생활
①장점
자신의 고유한 실력을 갖추기 위해서 평상시에도 열심히 능력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또한 미래에 대한 두려움으로 위기가 닥쳐서 극복하기 보다는
미리 대비하는 행동을 보이고 있다. → 악재에 대한 대비
②단점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자기 자신이라는 마음으로
힘든 일을 접어두고 직업 이외의 일에 매달리는 잡기를 행하는 것이 된다.
또한 지치고 힘들다는 이유로 긴 휴식이나 지나친 여가에 치중하는 것이다.
③내면과 본성
친화력. 긍정적 대화능력. 이성교제시의 친화. 색정. 종교심. 宣行. 우유부단. 의식주의 안정 추구. 베푸는 만족감. 풍요. 마음을 전하는 대화욕구. 무사안일주의. 긍정적 사고방식. 명랑 쾌활. 보호본능. 험한 일만 안 벌이면 된다는 현실유지를 위한 정신상태.
2.사회생활
①기르고 가꾼다는 의미의 식신은
우선 자신의 의식주를 유지하기 위해서 힘쓰며 여분의 힘을 공유하는데 활용한다.
그리고 대체적으로 자기 의지와 자기 규칙에 따라 움직이며
상대의 의지 내지는 규칙을 잘 따르지 않는 경향을 띄고 있다.
②식신의 사회생활 배경은
자율성을 내포하는 곳을 선호한다.
[출처] 식신(食神)이 뭐지?|작성자 허허산인
'십신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신이 인성을 만나면 (0) | 2021.09.23 |
---|---|
정관(正官)이 식신(食神),상관(傷官)을 만나면 (0) | 2021.06.15 |
상관, 상관격 (0) | 2021.05.30 |
상관이 정인을 만날때 (0) | 2021.03.14 |
편관 (0) | 2020.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