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간의 편인도식에 대해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1.
식신입장 인성은 관성이 되므로
식신이 보기에 편인은 편관이 되고
정인은 정관이 됩니다.
편인은 편관스럽게
정인은 정관스럽게
제어를 한다고 일단은
생각해 보실 수 있습니다.
2.
음간과 양간을 구분하셔서 보셔야 합니다.
양간의 식신은 정관과 합이 됩니다.
양간 식신이 원하는것은 명예성이 됩니다.
음간의 식신은 정인과 합이됩니다.
음간 식신이 원하는것은 인성의 자격이 됩니다
(합화 되는 과정에서의 변화 또한
주시해야 합니다.ex 을목일간의 식신 정화는 정인 임수와 합이되어 비겁화가 됩니다.)
3.
같은 양간이라도 다를 수 있습니다.
12운성을 추가하여 구분 하셔야합니다.
ex))
무토 일간의 식신은 경금으로 편인은 병화인데
병화는 경금에게 편관이지만 장생해주는 역할도하게 됩니다.
갑목 일간의 식신은 병화로 편인은 임수인데
임수는 병화에게 편관 절지가 됩니다.
같은 편인 도식이라 하기 어렵습니다.
4.
위치상으로 년월의 식신을
자신이 도식 시킬수 있는 사람인지
년월의 편인으로인해
나의 식신이 도식되는 사람인지의
구분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5.
지지는 천간과는 달리 형충회합과 삼합 방합의
복잡한 관계성을 가지게 되므로 위와같은
논리만으로는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무병갑신
천간 구조인 경우에
내가 가진 식신이 갑목에 도식당하는거 맞죠..?
무토가 식신생재는 안될까요;;
도식도식..제가 느끼는 어려움이 도식때문인건지 아님 다른 사주구조 때문인지 ..헷갈리네요
지지에 따라 다르긴하지만
천간으로만 본다면 년월의 사회에서 벌어지는
모습은 편인을 편재로 재화해준다가 됩니다.
여기서 갑목편인은 무토를 장생해주는
역할도하게되는데 편관 임수가 날아올경우는
식신생재 재생살 살인상생으로 가려는 모습도
보이게 되기 때문에 어렵다
느끼시게되는것 같네요..
그냥 칼을 빼서 쳐내야하는데
상황봐서 좀 봐주시게되는거죠..
신데렐라를 비유해서 말씀드려볼께요
편인 계모가 나를 꼼짝못하게 하는 상황에서
년간에서 편재 왕자님의 무도회가 열린 거죠~
계모도 한눈을 팔게되고 신데렐라에게도
즐거운 동기부여가 생기고 기회가 생긴겁니다.
문제는 편관이 운에서 들어오거나 지지의 현실이
받침이 되지 못하면 밑빠진 독에 계속
물을 붓게되는식으로 문제를 애써 키우게되는
재생살의 현상이 일어날수있다는 것입니다.
역총 성자부님
'명리학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관과마(明官跨馬) (0) | 2020.08.01 |
---|---|
원형 이정 (0) | 2020.07.27 |
합관유살(合官留殺) (0) | 2020.07.22 |
金銀鍍의 사주명리학 이야기- 상관생재 (0) | 2020.04.27 |
金銀鍍의 사주명리학 이야기- 재생살 재생관 (0) | 2020.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