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심장병의 종류
1) 심근경색 : 동맥경화가 심해져서 관상동맥의 어느 부분이 좁아지면 거기
에 혈액의 덩어리가 생겨 혈액의 흐름이 멈춰집니다. 그러면 혈액이 흐르지
못하는 부분의 심근이 죽어버리고 이것을 심근경색이라고 합니다.
2) 협심증 : 심장근육은 일반 근육과 비슷하게 이루어져 있고 심장을 둘러
싼 특별한 혈관에서 산소와 영양을 받고 있습니다. 이 관동맥에 동맥경화가
생기면 피의 흐름이 나빠지고 이렇게 되면 혈액 및 산소량을 충분히 보급
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며 심장부에 통증과 발작이 일어납니다. 이것을 협심
증이라 합니다. 협심증은 심근경색의 원인이 되기 쉽습니다.
3) 심부전 : 심장은 전신의 구석구석까지 혈액을 내보내는 펌프 역할을 하
고 있습니다. 이 심장 펌프기능이 저하되면 몸이 필요로 하는 혈액을 공급
받지 못한다. 이 상태를 심부전이라고 합니다. 협심증이나 고혈압이 오래되
면 이 병에 걸리기가 쉬우며 심장의 기능이 쇠약한 상태를 말하는 것입니
다.
4) 심장판막증 : 심장에 있는 4개의 판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지속적으로
기능이 장애를 받는 상태입니다. 일반적으로 폐쇄되어야 할 시기에 판이
완전히 폐쇄되지 못하여 혈액의 일부가 판구(瓣口)를 통하여 역류하는 경우
를 판구 폐쇄부전이라 합니다. 후천성의 판막증의 거의 좌심실의 대동맥판
을 침해하며 대동맥판폐쇄부전이 많습니다. 원인으로는 급성 심내막염에 속
발되는 것이 많기 때문에 류머티즘열, 편도염, 다발성 관절염 및 그 밖의
전염증은 모두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매독이나 동맥경화증은 대동맥판폐
쇄부전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5) 정충(怔忡), 경계(驚悸) : 크게 놀라거나 심장충격으로 오는 병인데 가슴
이 항상 두근거리면 정충이고, 심장이 허약하여 자주 놀라는 것을 경계라
합니다.
2. 심장병이 오는 경우
심장은 오행중 화와 연관이 되는데 정,사화는 심장 병,오화는 소장으로 구분합니다. 정,사화는 음으로 걸러내는 작용을 하고 병,오화는 양으로 소장으로 통과하고 내보내는 작용을 합니다.
1) 화일간이 태약하거나 태왕한자.
*화가 태약하면 저혈압, 협심증, 심장판막증이 생기고 화가 태왕하면 고혈압, 심
장 확장증, 울화병이 생깁니다.
2) 명국에 수가 태다하거나 토가 태다한자.
3) 화일간이 신약인데 일지를 형충한 자 (수술)
4) 팔자중에 정화가 약하고 입고되면 심장질환이 있는데 다시 형충화기
하게 되면 수술을 하게 됩니다.
5) 정화는 심장과 혈액을 대표하는데 팔자에 강수에 압박받아 약화되면
심계질환이나 고혈압이 있습니다.
6) 만일 사주가 정화가 약하고 토기가 성하면 빈혈과 같은 질병이 있는데
이는 토가 화를 과잉 설기시켜 혈기를 산란하게 하여 생긴 것입니다.
7) 팔자 중 목다화식하여 정화가 극약하게 된경우 심근경색으로 고생합니다.
8) 팔자중 정화가 강왕하고 토기가 극약하면 종종 혈압이 떨어지고 심장
박동이 느리고 심장이 좋지 않습니다.
사례1) 심장병으로 빈혈이 있는 명조(화일간에 토가 태왕)
丁 丙 己 戊
酉 辰 未 戌
乙 甲 癸 壬 辛 庚
丑 子 亥 戌 酉 申
병화가 태왕한 토의 기운에 과잉 설기되어 약해졌습니다. 한줄기 도움이 되는 것은 정화인데 이를 용신이라 하나 절지에 있어 미약합니다. 대운에서도 용신을 도와줄만한 운로가 형성이 되지 않아 평생 심장병으로 인한 빈혈과 신경통, 요통 등이 떠나지 않는 사주입니다.
사례 2) 화일간이 태왕하여 심장병이 온 명조
癸 丙 壬 庚
巳 午 午 午 坤
관살혼잡에 병오 양인일주. 병화가 화왕절의 오월에 태어나 득령했고 지지에서 사오합하여 화의 세력이 충천하는 신강사주입니다. 그 바람에 관성인 수는 발붙일 곳이 없어 심장병이 발병했고 재성인 금도 녹아 폐병에 걸려 두가지 병으로 10여년간 고생했습니다. 따라서 금수로 용신을 정하기도 어려운 상황입니다. 관성은 있으나 마나하고 비겁인 화는 충천하여 군겁쟁관이므로 二女同父의 형상입니다. 부친은 5세때 死去했습니다. 폐와 부친에 속한 경금이 녹았기 때문입니다.
사례 3) 심장병으로 사망한 명조
癸 癸 丁 庚
卯 未 亥 申
75 65 55 45 35 25 15 5
乙 甲 癸 壬 辛 庚 己 戊
未 午 巳 辰 卯 寅 丑 子
임진대운 계사대운 사이 55세 갑인년 심장병으로 사망했습니다.
계수일간이 해월에 태어났으니 조후로 화가 필요하겠네요. 년의 경신금이 수를 생하고 지지는 목국으로 설기가 되면서 정화를 강하게 하네요. 정화 미토에 근하고 약한듯 하지만 약하지 않지요. 정화는 내부 장기로는 심장도 되고 드러난 것으로는 눈도 되지요. 화는 혈질을 유발하기에 이분 사주는 기는 정화에 집결하는데 일간이 계수가 그 정화가 충극을 하고 있어 그 점이 아쉬운 점이네요. 계사대운보다는 임진대운이 더 맞는 것 같습니다. 임진대운에 정임합하여 정화를 꺼트리고 진은 내 고인데 지지가 수가 강해지고 있어 그 화가 힘을 잃은 것으로 봅니다. 계사대운에는 계수 내가 나타나 심장 정화와 충하고 지지가 인사신 삼형이 구전되네요. 또한 나를 생하는 인성 년주 경신이 세운 갑인에 충하여 나를 생함이 끊어짐도 있습니다. 두대운이 모두 좋지 않네요.
사례 4) 심장병으로 사망한 명조
庚 戊 己 壬
申 子 酉 午
72 62 52 42 32 22 12 2
丁 丙 乙 甲 癸 壬 辛 庚
巳 辰 卯 寅 丑 子 亥 戌
임자대운 기유년 심장병으로 사망했습니다. 이 사주도 금수가 세력이 강해서 화를 잡고 있는데 정임자합으로 잡혔습니다. 대운이 임자대운으로 흐르니 임수가 오화를 자합하고 자수가 자오충하니 그 오화가 몰광하는 모양입니다. 기유년은 기토는 오화이니 오화가 나타나고 유금은 오화의 사지이니 오화가 사지에 올라 죽음을 의미합니다.
사례 5) 심근경색과 당뇨병
丙 乙 己 丙
戌 未 亥 申 乾 57세
76 66 56 46 36 26 16 06
丁 丙 乙 甲 癸 壬 辛 庚
未 午 巳 辰 卯 寅 丑 子
을목일간이 해월태생입니다. 입동절기 지나고 소설절기도 지난 2일 후 중동절기 태생입니다. 당연히 화오행이 필요한 절기입니다. 하오나 이 사주에서는 너무 매말라있는 사주임을 봅니다. 더더구나 월지 해수가 수오행으로 자기 직분을 다한다면 그리 물이 필요로하지않는 동절기인지라 문제 될 것 전혀 없습니다. 하오나 이 월지 해수는 일지 미토와 해미합목으로 변합니다. 전부 완벽히 변하지는 않겠으나 일부는 다시 토극수 당합니다. 하여 수오행이 말라버린 격이 됩니다. 사주 전체를 얼핏봐도 건조함을 느끼는 사주의 구성입니다. 술토와 미토. 그리고 기토하여 토오행이 가장 왕성함을 봅니다. 이 건조한 토오행은 수오행을 토극수하기에는 딱 좋습니다. 여기에 천간에는 병화가 2개식이나 투간되어 지지를 말리는 형상입니다. 더우기 대운은 을미대운 즉 화오행으로 접어 들었습니다. 마치 바싹 마른 나무나 낙옆과 같습니다. 평소 당뇨를 앓고는 있었지만 너무도 건강하게 잘 지냈습니다. 헌데 두달전에 심근경색으로 쓰러졌습니다. 그리고 혈관확장수술 후 살아날 수 있었습니다.
사례 6) 화가 약하여 오는 심장판막증
음력 1982 . 03 . 22. 19:00 (여)(25세)
辛 戊 甲 壬
酉 辰 辰 戌 坤
73 63 53 43 33 23 13 3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申 酉 戌 亥 子 丑 寅 卯
잇몸구조가 좁고 튀어나온 형태로 위 아래가 맞질 않은 용모였습니다. 그래서 발음이 아주 나쁜데, 뜻을 잘 알아 듣기 어려운 정도입니다. 그러나 성정은 착실하고 또 생활력도 강한 듯 보입니다. 병약하여 6~7세때 심장판막수술을 받았고 이 수술과 함께, 발음 장애가 된 편도선 수술도 받았으며, 갑신년(당시23세)병자월에는 또 갑상선 수술을 받았다고 합니다.
사례 7) 약한 정화가 강한 수기에 압박받아 발생한 협심증과 무릎관절염
庚 壬 壬 丁
戌 申 子 酉
이체질은 심장이 극도로 허약하여 병의 증상이 협심증으로 발전하기전에 먼저 무릎쪽으로 반드시 신호를 보내게 되고 무릎이 약해짐을 느낄수 밖에 없습니다. 심은 혈맥을 주관하여 인체 혈액순환을 총괄적으로 담당하는 곳인데 심장기능이 저하되면 관절부위에 이상신호를 보내게 되고 그중에서도 가장 혈액순환장애를 야기하는 무릎쪽에 신호를 보내게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무릎관절염은 80% 이상이 화허증에서 일어나기때문에 신허로 인한 무릎문제와 반드시 구별해야 합니다.
사례 8) 일간 병화의 설기가 심하여 심장판막을 대체한 학생 사주
1989년 4월 16일 (음)1989.3.11
戊 丙 戊 己
戌 午 辰 巳 坤
96 86 76 66 56 46 36 26 16 6
戊 丁 丙 乙 甲 癸 壬 辛 庚 己
寅 丑 子 亥 戌 酉 申 未 午 巳
식신격인데 식상의 기운이 엄청 왕하여 일간 병화의 설기가 눈에 보입니다. 일간이 비록 근이 있다고는 하나 인성 목의 생이 없는 것이 아쉽습니다. 경우대운 무자년에 심장판막을 대체하였습니다. 음식은 간을 영양하는 목기와 심소장과 신방광을 영양하는 기운을 보하는 것이 필요하여 보입니다.
3. 심장병에 좋은 음식과 나쁜 음식
● 나쁜음식 : 짠음식,고열량식,고지방식
짠 음식과 단음식은 피합니다. . 라면,튀김,전,오뎅,굴,새우,오징어,생선알,계
란노른자,간,내장,곱창,비계, 삼겹살,버터,마요네즈,베이컨 등 기름이 많은 음
식.
●좋은음식 : 단백질과 신선한 야채나 과일
비계를 제외한 살코기,생선,우유,치즈,콩,두부,두유,계란흰자.
4. 민간요법
1) 당근즙 : 심장이 약한 여성으로 임신중에는 더욱 악화하여 고통을 받기 쉽습니다. 태아를 위해서나, 산모에 대한 쇼크 등을 고려하여 자극이 강하거나 부작용이 심한 약을 쓰기는 곤란한 일입니다. 이런 경우 당근을 강판에 갈아서 헝겊으로 즙을 짜서 하루에 술잔에 한잔씩을 매일 복용하면 혈색이 좋아지면서 출산의 전후경과를 쉽게 넘길수 있습니다.
2) 심장허약에 수세미물 : 심장이 약한 사람은, 수세미 대궁의 높이 1m되는 곳을 잘라, 뿌리쪽 대궁을 꺾이지 않게 구부려 병에 넣어 두어 물을 받아 냉장고 속에 보관해 두고, 아침 저녁으로 소주잔 하나씩을 마십니다. 아주 잘 듣습니다. 장복해야 합니다.
3) 탯줄 : 중병을 알고 난 뒤 심장의 기능이 몹시 약화하여 몇자국만 옮겨 놓아도 가슴이 두근거리는 등 고통을 받을 때는 갓난애기의 탯줄을 깎아서 차숟갈의 반정도를 1홉의 물로 반이 되게 달여서 하루 세번에 나누어 복용하던 건강을 회복할 수가 있습니다. 탯줄은 특히 자신의 것이면 더욱 좋습니다.
4) 복수초 : 복수초는 강심제를 만드는 디기탈리스라는 화초와 같이 아도닌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초 말린 것 0.5 - 1돈을 뜨거운 물에 약 5분동안 담구어 욹어내서 하루에 한번씩 마시면 적지 않은 효력이 있습니다.
5) 은방울꽃 : 꽃, 잎, 줄기(지하경)들 함께 그늘에 말려 잘게 썰어서 1돈을 3홉의 물로 달여 하루에 3번에 나누어 복용합니다.
6) 만년청의 뿌리 : 만년청의 뿌리를 강판에 갈아서 약간씩을 캅셀에 넣고는 냉수로 마신다. 하루에 한번씩 오래 계속하면 선천적인 심장병이나 후천적인 약화에도 매우 효과를 보게 됩니다.
7) 돼지 염통 : 모든 심장병에 돼지 염통이 묘약입니다. 자주 먹으면 일체의 심장 증세가 좋다. 특히 염통 1개에 주사 1-2g을 넣어 끓여 먹으면 심장이 뛰고 잠이 안 오는 증세에 좋다. 또 염통 한개에 당삼 8g , 당귀 8g 을 넣어 끓여 먹으면, 심장이 약해서 생기는 자한증에도 잘 듣습니다. 이 돼지 염통의 의료적 가치는 이미 세계적으로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8) 닭의장풀 : 심장이 약한 사람은 시골 길가에 흔히 있는 닭의 장풀 15g을 달여 마시거나, 또 찧어 청즙(靑汁)을 하루 두번 반 컵씩 마십니다. 장복하면 반드시 심장이 튼튼해집니다.
9) 산나리의 뿌리 : 산나리의 구근을 평소에 조리하여 계속해서 먹으면 심장병이 차츰 회복됩니다.
10) 연뿌리 : 조금만 움직여도 가슴이 두근거리고 빈혈이 나는 등 심장병에 걸렸을 때는 연뿌리를 강판에 갈아서 술잔에 한잔정도를 매일 식사와 식사중간에 하루 3번씩 먹기로 합니다. 1개월 정도면 휠씬 편해지고 3개월이면 완쾌됩니다.
11) 난유 : 난유(달걀의 기름)가 여러가지 병에 대하여 효력이 놀라운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나 난유의 주치병은 심장병입니다. 달걀의 노른자를 플라이팬에 놓고는 약한 불로 천천히 굽습니다. 자주 긁고 엎어 주면서 새까맣게 조리면 차츰 기름이 나온다. 이것을 탈지면이나 거어즈에 묻혀내어 짜서 모읍니다. 0.5g씩을 캅셀에 넣어 두었다가 하루에 1개씩을 3번 복용합니다.
12) 고추나물 : 심장병을 앓다가 제대로 치료도 하지 못한채 적당히 회복했다가 다시 재발하는 등 심장병에 고민하고 있는 분은 고추나물 한줌을 2-3홉의 물로 약 반이 되게 달여 차대신에 하루에 몇번이고 복용하면서 일상생활에 있어 밥은 칠부도미, 반찬은 채식, 된장국과 해조, 생선은 살고기만으로 식사를 하도록 힘쓰면 건강을 충분히 회복할 수가 있습니다.
13) 우황 : 생약 강심제입니다. 1g을 10일분으로 해서 하루 두번에 나누어 먹습니다. 아주 미량으로도 잘 듣는 귀한 약입니다.
14) 심장성 부종에 호도와 대추 : 호도알의 살 20개, 대추 20개(씨 뺀 것)를 함께 곱게 찧어 꿀 80g에 섞어 뭉근이 고아 찐덕해지면, 식후에 세 숟갈씩 술로 먹으면(술에 타서 먹으면) 심허로 생긴 부종에 좋습니다.
15) 솔잎차 : 선천적으로 심장이 약하거나 심장판막증을 앓고 나서 숨이 차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등 오래 고통을 받는 분에게는 솔잎차의 복용이 좋다. 솔잎을 25분동안 쩌서 길이 2cm정도로 썰어서 질솥에 넣고 천천히 볶습니다. 찔 때 잘못하여 신맛이 나거나 떫은 맛이 나거나, 눗는 냄새가 나거나 하면 못쓰게 되므로 조심해서 만들어야 합니다. 이 찌고 볶은 솔잎 한 컵을 5홉의 뜨거운 물에 넣고 울어내서 매일 차대신에 복용하도록 합니다.
16) 금잉어와 찹쌀 : 장티푸스와 같은 고열의 전염병을 앓는 동안 심장이 약해져서 간단한 동작에도 가슴이 두근거리고 숨이 차고 붓기를 잘하는 분에게는 금잉어가 좋습니다. 금잉어 한 마리를 비늘을 긁고 내장을 빼버리고는 물로 깨끗이 씻은 다음 배속에 찹쌀을 꽉 채우고 다시마로 금잉어 전체를 둘러감습니다. 풀리지 않게 대나무 껍질로 묶고는 남비에 넣습니다. 미린(味潾 : 외식요리에 쓰는 조미료)을 금잉어가 잠길 정도로 붓고는 약한 불에 조립니다. 미린을 적당히 보충해 가면서 다시마가 엿처럼 될 때가지 눗지 않게 조심하여 조리되 물기가 없어지면 불에서 내립니다. 이것을 매일 생각날 때마다 차숟갈에 하나씩을 먹습니다. 너무 많이 먹으면 흥분하기 쉽기 때문에 양을 지켜야 합니다. 1개월 정도 계속해서 복용하면 놀라운 효과를 봅니다.
17) 맥문동 : 이 뿌리를 매일 10-15g씩 달여서 차처럼 무시로 마시면 모든 심장병에 좋고 특히 강심의 효과가 있습니다.
18) 자주쓴풀 : 3g씩을 달여 마셔도 좋습니다. 또 강심을 위해서는 자주 쓴 풀을 조금씩 껌처럼 씹어서 쓴 침을 자주 삼키도록 합니다.
19) 심장부위의 통증에 민들레를 그릇에 담아 새카맣게 되도록 하여 질그릇에 밀봉하여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때 조금씩 소주에 개여 먹으면 즉시 낫습니다. 술잘마시는 자는 술로 먹으면 즉시 낫습니다. 술로 먹으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20) 산양의 피 : 산양의 피를 더운물에 타서 마시면 매우 효과적입니다.
21) 심장부위가 저리고 아픈데 : 기가 실하고 담이 있는 자가 이런 증세를 나타낼 때는 굴껍질의 분말(모려분)을 그릇에 담고 그것을 태워 3돈을 술로 먹으면 매우 효과적입니다.
22) 은행잎을 먹습니다.
① 은행잎을 통풍시켜서 말린 것 10g을 1일 양으로 그릇에 재어넣고 은행잎이 잠
길 정도로 물을 붓고 약한 불로 30분 가량 끓여 물을 갈아 다시 끓입니다. 세번 끓
인 물을 합쳐 다시 약한 불로 반컵 정도 되게 달여 3회에 나누어 마십니다.
② 말린 은행잎을 위의 방법으로 고약처럼 졸여 밀가루 풀로 반죽하여 매 식후
30분에 2g씩 먹습니다.
23) 타우린이 다량 함유된 식품을 자주 먹습니다 : 쭈꾸미, 새꼬막, 바지락, 홍합, 낚지, 문어, 오징어--- 콜레스테롤, 간 해독, 피로 회복, 세포회복, 노화방지, 심장근육 강화, 부정맥, 치매예방, 태아와 신생아의 두뇌발달에 좋습니다.
24) 심장병 통치: 정충, 경계, 심장 판막증, 협심증, 심허증, 심부전증, 심적복량(心積伏樑), 심근경색 등증에 묵은 암탉 또는 집토끼 큰 것 1마리를 털과 똥만 제거(토끼는 똥을 제거하지 않음)하고 마른 옻나무 껍질을 옻을 심하게 타는 사람은 300g 심하지 않는 사람은 600g, 오르지않는 사람은 900g을 넣고 24시간 이상 달여 수시로 복용하되 여러 마리를 복용합니다. 주의할 것은 복용중과 복용 후 1개월은 피주사는 금합니다.
5. 식이요법
식이요법의 목적은 심장의 휴식입니다. 손상된 심장이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식사를 조절하고 동맥경화의 식이요법에 준합니다.
1) 다량의 커피를 마시는 것은 심장박동에 장애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카페인을 제거하고 커피 섭취를 하루 2잔 정도로 제한합니다.
2) 알코올 섭취도 혈중 중성지방을 증가시켜 죽상동맥경화증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제한합니다.
3) 지방식을 금하고 커피, 자극성 음식을 금합니다.
4) 현미밥, 채식, 미역, 멸치 콩을 주식으로 합니다.
5) 마늘을 익혀서 하루 1통씩 복용합니다.
6) 과일, 야채쥬스를 상복합니다.
7) 포도씨, 밀기울, 펙틴 등의 겔이나 점액성의 섬유질을 충분히 섭취합니다.
8) 포화지방, 콜레스테롤, 설탕, 동물성 단백질은 줄입니다.
9) 튀긴 음식과 알러지원이 되는 식품은 피합니다.
10) 특히 저혈당 환자의 경우는 규칙적으로 식사를 하고, 단당류인 설탕, 꿀, 말린 과일, 과일주스 등은 피합니다.
11) 좁쌀, 메밀, 보리, 깨, 호박씨, 들깨 등이 도움이 됩니다.
12) 마늘, 레몬, 오렌지, 포도 생즙이 도움이 됩니다.
6. 심장을 강화하는 치료법과 운동요법
(1) 치료법
① 검지와 중지, 무명지로 명치를 누르고 오른손을 겹쳐 3초간씩 강하게 10회 정도 압박합니다.
② 노궁혈(손바닥 한가운데. 손가락을 가볍게 쥐어서 셋째와 넷째 손가락이 닿는 중간 부위)을 자주 눌러 줍니다.
③ 보행시 입으로 숨을 쉬지 말고 상반신의 힘을 빼고 등을 곧추 세워 배꼽밑 단전에 힘을 줍니다 - 상체를 흔들면 쉬 피로해지니 약한 남성은 주의하세요.
④ 보행시 발끝에 힘을 주고 걸으세요.
⑤ 젖꼭지와 가슴뼈가 만나는 지점(전중혈)을 3초 간격으로 자주 지압하거나 1일 30분 정도씩 쌀알을 놓고 반창고로 붙여 두거나 처음에 30초(어린이는 3초)에서 30장(부전증엔 1분씩 5,000장)까지 쑥뜸한다 - 정충, 경계, 판막증, 협심증, 심허.
⑥ 둘째와 세째 발가락 사이의 뒤쪽 천생족혈(泉生足穴)을 3초 간격으로 지압하거나 1일 30분 이상씩 쌀알을 반창고로 붙여 둡니다.
(2) 운동요법
① 지속적인 운동과 목욕요법이 필요합니다.
② 담배, 술, 커피는 끊습니다.
③ 에어로빅 운동을 점차 강도를 높여서 행합니다. (한 주에 30분씩 세 번)
④ 걷는 것도 좋은 운동입니다. 보행시 발끝에 힘을 주고 걸으세요. 보행시 입으
로 숨 을 쉬지 말고 상반신의 힘을 빼고 등을 곧추 세워 배꼽밑 단전에 힘을 준
다 - 상체를 흔들면 피로해지니 약한 남성은 주의하세요.
⑤ 오래 걷기 최소 1-2시간 동안 합니다.
⑥ 스트레스나 불안을 줄이는 계획을 세워 실천합니다.
'건강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기관지(폐)질환 또는 대장질환, 맹장, 치질, 빈혈, 생리통 (0) | 2019.11.08 |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고혈압과 사주 (0) | 2019.11.08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당뇨병과 사주 (0) | 2019.11.08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사주에 따른 질병 (0) | 2019.11.08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인체와 질병과 사주 <기초> (0) | 2019.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