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정리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 길) - 신유일주

Fortune Ked 2019. 9. 21. 14:59
반응형

신유일주 일간 신(辛)금은 음(陰)금으로 하늘에서는 서리 상(霜)요, 지상으로 내려오면 이슬 또는 주옥(珠玉)이라 하는 바 보석 같은 아름다움이 있는 것이고, 이슬 같은 청초함이 살아 있는 것이다.

신유일주 천간 신(辛)금은 오행으로 금(金)이요 오방(五方)으로는 서(西)방을 의미하는바, 서방은 의(義)의 상징인 고로 외유내강(外柔內剛)한 자가 많을 것이고, 보석은 아름다움의 상징인 것이니 유행에 민감하고 세련미가 넘치며 타인의 마음을 사로잡는 능력이 탁월하다고 보는 것이다.

신(辛)금은 감수성이 예민하고, 금(金)의 속성을 지닌바 정교하고 세밀하여 일 처리가 빈틈없이 깔끔한 자가 많을 것이고, 자존심이 강한 반면 시야는 좁고 외곬수인 고로 편협함의 상징이기도 한 것이며, 매섭고 내면의 공격성이 숨어 있는 인물로 볼 수 있으며, 한 번 눈에 벗어나면 독설도 서슴지 않으니 바늘과 같은 날카로움이 있기 때문이다.

신(辛)금은 동물로 보면 “꿩”에 비유되며 은혜를 반드시 갚는 보은의 정이 있는 것이니 신(辛)금은 신용이 깊고, 사주원국에서 토(土)를 많이 만나면 매금(埋金)되어 아둔함이 이를 데가 없으니 백치미인의 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며, 신금의 물상이 십자가의 형상이니 천간에 수(水)를 만나지 못한다면 삶에 고난과 풍파가 많은 명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신(辛)금은 시(時)에 이르기를 주옥이라 하는 것이니, 성품이 허령(虛靈)하고 양화(陽和)하며 사수(沙水)를 가장 즐겨한다. 보석은 반드시 흐르는 물로 닦아주면 도세주옥(淘洗珠玉)이라 하여 귀하게 여기는 것인데, 이를 재차 태양으로 비추어 주면 아름다운 상(象)을 지으니 임(壬)수와 병(丙)화를 만나면 상격(上格)으로 논할 수 있는 것이다.

신유일주 일지 유(酉)금은 陰(음)금을 이르는 것인데 하늘에 노을이 지는 형상이고 배가 잘록하고 끝이 뾰족한 술 항아리의 상이기도 한 바 술은 제사에 올리는 것이고, 동물에 비유하면 닭으로 보는 바 닭은 신령스러워 무속에서는 제물로 사용하기도 하는 것 사주에 유금이 들은 자는 비교적 꿈이 잘 들어맞는 자가 많다 보는 것이다.

신유일주 지지 유(酉)는 금(金)에 속하며 그 위치가 술해(戌亥)에 가까이 있으니 술해는 천문(天文)이요, 종을 두드리면 소리가 천문에 까지 울려 퍼진다 하여 寺種(사종)에 비유하는 것인데, 계곡에 자리 잡은 산사의 산상의 물상이므로 사찰 인연이 깊을 것이고 고독한 인연이 많은 법이요, 체면을 중시하는 속성이 있으며, 일처리가 빈틈없이 꼼꼼하니 완벽주의자가 많은 법이나, 생각은 다소 편고한 고로 항시 편두통으로 고생하는 명이 많을 것인데, 그것은 일지에 病(병)이 들어 있음이요, 닭이 그러하듯이 항시 분주히 움직이는 반면 매사 결실은 약한 인물로 보는 것이다.

유(酉)금은 정서(西)의 태(兌)방을 의미하며 그 기운은 숙살지기를 의미하는 것이요, 천인성(天刃星)이라 하여 칼을 들었는지라, 유(酉)금의 성정은 매우 강강할 것이며 매사 물러섬이 없을 것이요, 부드러운 카리스마의 소유자가 많은 법을 알 수 있는 것이고, 배우자 궁(宮)에는 칼이 들었으니 본인 또는 배우자가 활인계통의 업에 종사해야 그 흉함을 면할 수 있다 보기도 하는 것이다.

신유(辛酉)일주라 함은 쌍칼, 가을 산사의 종소리, 가을 서리, 싸움닭, 보석단지를 의미하는 것이니, 성품이 맑고 맑아 순수하나 차갑기가 서릿발 같은 형상이요, 의(義)를 매우 중시 여기는 성품에, 신경은 예민하고 깔끔하니 신사 숙녀의 품격이 또한 있는 것이고, 서방정토를 보았으니 조용히 사색을 즐기는 인연에, 쌍칼을 들었으니 그 고집을 꺾을 자가 없어 육십갑자 중 일대고집이라 하는 것이다.

신유일주는 자존심이 매우 강하며, 대인관계와 체면을 중시하고, 안으로는 칼을 품은 고로 스스로 인내하니 고독한 심성이요,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고 한 번 폭발하면 말리기 어려운 법이고, 한번 마음이 상하면 다시 보기 어려우니 냉정하다 하는 것이다.

신유일주는 유(酉)금을 보았으니 촉(觸)이 남다르다 하는 것이요, 칼을 물고 있는 닭의 형상이니 두려움을 모르는 것이요, 강자에게는 강하고 약자에게는 약한 법이지 윗사람 보다는 아랫사람 덕이 많은 법이요, 결단력이 강하고 과단성이 있음은 자명한 이치지만 표현이 직설적 인지라 타인에게 상처를 줄 수 있으니 수양에 힘써야 하는 것이다.

신유일주의 내면 심리세계인 지장간을 살펴보면, 경(庚)금, 신(辛)금이 암장되어 있으니 겁재 , 비견이라 경금 겁재는 왕(旺)지에 임하고 양인(羊刃)인 즉 서슬이 퍼런 것이고, 경쟁심, 승부욕, 질투심이 강할 것이며, 신금 비견은 록을 얻으니 정록(正祿)이라 하여 하늘이 정해준 복록이 있는 법인데 성정이 반듯한 자수성가 인연이나 유산은 없을 것이요, 자존심이 강하고 주체적이며 독립심이 강한 명으로 볼 수 있으니 신유일주 승부욕과 경쟁심 자존감으로 무장한 전문가형 일 것이다.

신유일주는 일지 간여지동이니 신유(辛酉)일주 부부궁은 약한 법이요, 홍염이니 이성에게 호감을 사는 인연에 연애운이 빠르므로 신체 병약한 자가 많은 법이고 복잡한 이성관계 있을 수 있으며, 음양차착살이 들었으니 배우자 집안과는 인연이 적을 것이요, 묘유술(卯酉戌) 삼자는 철쇄개금이니 자물쇠를 여는 열쇄인 것이요 해결사 노릇을 톡톡히 하는 법이다.

신유(辛酉)일주 남명은 풍류와 멋을 즐기는 신사가 많은 법인데, 자축(子丑)이 공망(空亡)이요. 수(水) 공망에 식상(食慯)이 공망이니 호기심 천국에 부단히 진로를 모색하나 자주 막히는 법이요, 간여지동(干與支同)이니 자존감 극강이요 서로 배우자로부터 공경 받기 어려운 법이요, 처가 덕 난망한 법인데 음욕살이 동하니 이성관계 조심할 것이며, 배우자 궁에 비견을 보았으니 친구 같은 배우자요 배우자 보다 친구가 먼저인 것은 분명한 이치이고, 배우자 궁에 천인성이 들었으니 활인계통에 종사치 않으면 신약한 자는 수술수를 면하기 어려운 법이다

부친은 을(乙)목으로 보는 것이니 을유(乙酉)일 것이요, 을유는 십이운성 절(絶)지 인연이니 부친 덕 없다 할 것이며 닭은 제 발로 모이를 흩는 법이니 재물 복 또한 약한 법이고, 모친은 기(己)토 편인으로 보는 것이니 습토 생금한 즉 유정한 법인데 축(丑)토 편인에 공망이 들었으니 학문길, 모친덕, 문서운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법이요, 기유(己酉)는 장생(長生)한 즉 부친 보다 모친 인연 오래가는 법이다.

자식은 정(丁)화 편관으로 보는 법이요, 정유(丁酉)는 십이운성 장생인연이니 능력 있는 자식 인연이나 정화는 칠살(七殺)이요 정화(丁火)는 신금(辛金) 보석을 그을리는 법이니 즉 유정하기는 어려운 법이다.

신유(辛酉)일주 여명은 성격이 깔끔하고 순수한 미인이 많은 법이요, 민감하고 예민한 인연이요 호불호가 분명하며 완벽주의자가 많은 법인데, 홍염이니 인기가 따르는 법이요 일찍이 연애 경험 있을 것이고, 음착살을 보았으니 반대하는 결혼 인연 있을 것이요. 배우자 궁에 간여지동이니 친구 같은 남편이요, 남편 보다 친구가 살가운 법인데, 남편 사랑 얻기 어려워 외로우니 원망이 있을 것이요, 천인성(天刃星)을 보았으니 신약 명은 수술 수 피하기 어려운 법이고 잦은 편두통 및 수면장애 시달리는 인연이니 부친 덕 없다 보는 것이요 재성(財星)이 절(絶)지이니 재물복 요행수 없다 하는 것이다.

자식은 계(癸)수 식신으로 보는 것이니, 계유(癸酉)인즉, 홍명하나 병(病)지 인연이요, 돌아 다니지 않으면 몸이 아프니 역마 인연이요 자축(子丑)이 공망이니 수(水)공망에 식상이 공망이니 키워도 보람 없는 법이고, 모친은 기토 편인으로 보는 법이니, 기유는 장생한 즉 일지에 천주귀인이 임하니 먹을거리는 타고난 인연인데, 축토 편인에 공망이 들었으니 학문길 험난하고, 문서운, 모친덕 기대하기 어려운 법이고, 부친이 절(絶)지 인연이니 신유일주 모친 마음고생 심하다 하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