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공부의 길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원국의 해석

Fortune Ked 2019. 7. 13. 18:20
반응형

사주는 원국과 유운으로 구성되는데
유운은 다시 대운과 세운이 있다

풍수는 좌향(공간)이 우선이지만
사주는 시간이 우선이어서
상호보완의 개념은 필요하겠다



천간
정신적 지향점, 관심분야라고 한다면

지지
현실적으로 부여된 무기, 실제환경이라 하겠다



년월
사회적, 대외적 공간으로 본다면

일시
개인적이고 대내적인 공간이 되겠다

가족이 살고 있는 집안이 일시라면
집밖을 벗어난 바깥이 년월이라 하겠다

그리고 년월이
전생에서 부여된 인자로 본다면

일시는
후천적으로 만들어가는 인자라고 할수 있다

그래서 사주는
년간에서 떨어진 폭포가
시지를 향해 흘러가는 것과 같다 하겠다



년주
사회적인 활동, 대외적인 역할, 초년운

월주
직업, 부모, 형제운을 보는 자리

일주
성격, 기질 및 배우자운을 보는 자리

시주
재물, 명예 그리고 자식운을 보는 자리라 하겠다



인성, 비겁, 식상, 재성, 관성으로 나누는걸
육신 또는 육친이라 하는데

여성에게 관성은
육신으로 보면 직장이고, 육친으로 보면 배우자가 된다

특히 월지의 육신에 따라서
격국이 형성된다

격국은 종격, 화격 등을 제외하고
대부분 정격으로 이해하면 되는데

정재격, 편재격
정인격, 편인격
정관격, 칠살격(편관격)
식신격, 상관격
록겁격, 양인격으로 구분하여
10 정격이 일반적이다



격국은 성격 여부로 귀천을 나누고
조후로 고저를 살필수 있다

정관격이 재성을 만나면 성격이 되는데
다시 상관을 만나거나 투간된 정관이 합해버리면 파격이 된다

상관을 만났지만
다시 인수가 있어서 상관이 억제가 되면
파격이 다시 성격이 된다

이런 개념을
파격과 구응 또는 성중유패, 패중유성이라 한다



격국에 따라 나오는 것이
바로 용신이다

용신은 성격 여부를 결정하는 상신,
부귀 정도를 구분짓는 조후용신, 억부용신,
그리고 십간용신이 있는데
상당히 복잡한 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 다음이
물상, 자의, 신살..이 있겠다

사오가 관성인 사람도 있지만
해자가 관성이 사람도 있다

육신이나 오행으로 보면
똑같은 관성이지만

물상, 자의, 신살의 영역에서
사오와 해자의 관성은 천지 차이이며
더구나 사와 오도 제각각이란 걸 알게 된다



물상과 자의는
유사성이 있다

기본적으로 자의
자전이라는 24시간의 견지에서 살피는 것과
공전이라는 12개월에서 구분짓는 것과
글자 자체의 형상에서 비롯되는 의미가
얽기설기 섞여있다고 생각된다



신살
격국에서 말하는 파격을
다른 방식으로 파격으로 만들어 버린다

정관이 재성을 만났는데 다시 상관을 만난 것이
격국에서 말하는 파격이라면

정관이 형충파해 또는 원진, 공망 등이 되는 것이
신살에서 말하는 파격이 된다

냇물이 격국이라면
용신은 강을 만나는 것이고
자의, 신살은 바다에 이르는 것과 같다 하겠다


[출처] 원국의 해석|작성자 설강독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