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도사의 사주 명리학 이야기- 통근, 투간, 투출 , 지장간 , 통근, 투간, 투출, 지장간 1.통근(通根) 천간의 계획이라 하면 지장간은 계획하여 실천하려는 대상(무엇을)이 된다. 통근이라는 것은 천간의 글자가 지장간에 통하는 것으로서 통근을 하게 되면 자기의 계획을 현실화시키는 것이다.(실용성, 실현성) *통근은 월이 아닌 타 지지에 통하는 것.. 합격운,승진운,당선운 2019.11.22
사주카페 도혜 - 지 장 간 지장간은 지지를 구성하는 구성품과 같습니다. 그것들이 뭉쳐서 복합적인 작용을 나타내는데 그것이 우리가 배우는 지지의 자의 개념이 됩니다. 그런데 이것도 미시적 관점으로 나누어 보면 지장간으로 구분을 해 볼 수도 있습니다. 지장간은 여기, 중기, 정기로 구성이 됩니다. 여기는 .. 탈도사님 2019.08.13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지장간 지장간 자연의 기운의 순환에 있어서 천간의 형태로 강하게 부각되는 기운들을 표현해보자 자연운동에서 자 축 인 으로 흐를때 축은 소한...인은 입춘 입춘일날 입춘대길를 써 붙인다. 실제 날씨나 기운이 바뀔때를 보면...서서히 바뀐다. 우리나라 기후 3한3원 1후 : 5일단위 1순 : 10일 단.. 박청화선생님 2019.01.31
[광주 남구/ 사주카페 도혜 ] 지장간 ▣ 탈도사 명리학 강의_27교시_지지의 이해_지장간 1. 지장간의 의미 땅의 기운인 지지의 기운변화 과정을 천간으로 표기한 것입니다. 여기, 중기, 정기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의미는 아래와 같습니다. ▪ 여기(餘氣): 전월의 기운이 남아 있는 상태입니다. 天氣라 하여 하늘의 기운이나 .. 탈도사님 2018.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