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십신론 75

오행의 강약 판단

1오행의 강약 판단 1).여기서 오행의 강약이란....천간에 나타난 오행만을 지칭하는 것이다. 2) 지지는 천간의 작용을 강하게 또는 약하게 하는 근의 작용만 할 뿐, 오행의 수에는 넣지 않는다. 2.오행의 강약 판단의 실제 적용법 (오행이란...천간만 의미한다는 것을 잊지 말것) 1) 월령을 얻고 있는 천간이 최강이다. 2) 월령을 얻지 못했지만 통근한 천간이 그 다음이다. 3) 월령도 못 얻고, 통근도 못 했지만, 같은 오행이 천간에 있는 천간이 그 다음이다. 4) 월령도 못 얻고, 통근도 못하고, 같은 오행의 천간도 없는 것이 제일 약하다. 3. 지지의 힘의 크기 월지> 시지 > 일지> 년지 의 순이다. [출처] 명징파(투파)의 명리원리 써머리|작성자 duckjiny [출처] 합충의순서 우선순위-대..

십신론 2020.11.01

정관의 특징과 사주에서 활동하는 모습​

정관의 특징과 사주에서 활동하는 모습 ​ ​ 1, 모든 육신은 월령에서 출발한 모습으로 판단 한다. 세상과의 조화를 봐야 한다. 인간사회에서 관이 3개(정관/편관.상관)가 있는데 안에서 일하는 모습과 같은 것이 정관이다. 정관은 규칙이나 규율, 가정. 사회.국가의 틀을 말하기도 한다. ​ 2, 정관의 임무는 정인이 가져간다. 정관이 일을 주면 정인이 임무를 수행 하는 것이다. 정관은 정재의 생을 받으면 권한 지위 조직의 수장이라는 지체가 높아지는 작용이 일어난다. 이를 관인상생하고 있는 사주가 재생관을 받는다는 의미이다. ​ 3, 정관은 정인을 생하면 내가 보호를 받는 것이다. 상관에게 극을 받지 않게 된다. 상관견관은 정인이 막아준다. 그러면 상관견관운에 취직도 하고 승진도 하고 합격도 하는 것이다. ..

십신론 2020.09.17

편재와 편인

1, 편(偏)재(財)는 자기가 알아서 벌어야 하는 재물과 같다. 아직은 울타리가 쳐져 있지 않은 재물과 같다. 그러므로 공동적인 재물, 지금당장 벌어야 하는 재물. 유동적인 재물과 같다. 편재는 개인적인 능력을 만들어서 사회에 공헌을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간은 근왕해야 한다. 일간이 근왕하지 못하면 편재를 취하기 어렵다. 재물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니 사업자는 운영자금이 있어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시장환경이 좋지 않을때 유지 자본금이 없어 사업을 접게 된다. ​ ​ ​ 2, 편재는 편인을 제하여 식신을 구해야 지방에서는 15억 정도 부자가 된다. 편인격을 편재가 제하면 활인 공덕을 하는 약사. 의사. 간호사가 된다. 편재와 편인의 만남이 진정한 활인공덕이다. 나머지는 개인적 자신의 의무일 뿐이다..

십신론 2020.09.17

십신의 특성과 활용

정인: 현실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적합한 실력을 준비하는 안전지향적 행동특성을 보임 편인: 이상과 같은 자시의 실력을 전문화 시켜 변화되는 환경에 적합하게 발휘하는 특성 인성운 -갑갑 학문 수양, 다가오는 비견운에 경쟁상황 대비 자기 개발 할 것 비견: 일간과 같은입장에 같은생각, 같은목적을 지닌 것 겁재: 일간과 같은입장에 다른생각, 다른목적 비겁운- 경쟁지출 - 인성운에 쌓은 실력을 발휘하여 성과 분배 식신: 자신이 쌓은 능력을 최대한 발휘 하여 세상사에 참여 상관: 경쟁자의 능력을 감안하여 실력을 발휘 하거나 역이용하는 영민함을 보임/범법,탈법, 식상운-능력확장 발휘 - 비겁운에 경쟁을통해 얻은 노하우 및 능력을 발휘 정재: 의식주 생활에 필요한 소유를 취하기 위한 사회적 기능. 편재: 자신의 목적..

십신론 2020.07.28

인성대 식상의 모습

[정인 -> 식신] 자식을 모친이 잘 되라고 제어하는 모습이라 할까요? 게임하지 말고 공부해라 편식하지 말고 골고루 먹으렴 ~~~ 등등 [정인 > 상관] 상관패인 망나니 손오공이 삼장법사를 만나 제화되어 정의를 위해 일하는 일꾼이 되는 모습 상관의 끼와 재능에 자격이 부여되는 모습 [편인 > 식신] 편인도식 (편인이 밥그릇을 뒤엎음) 식신의 행동력에 편인이 뒷다리 잡아 못 움직이게 함 [편인 > 상관] 상관 패인의 모습과 편인 도식 중 그 어딘가 애매모호 배운것을 가르치는 교육자의 모습으로 많이 발현되고 예능, 예술분야 에서 역할을 많이 하는 것 같습니다. 시, 소설, 시나리오, 연기자, 작곡가 기획자, 광고 ..... 등등 이 또한 단식 표현이니 참고만 하시고 열공 하시기 바랍니다. 느린거북이님 상관은..

십신론 2020.06.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