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격국 82

편재격

1) 편재격의 成格과 破格 요건 成格 月支가 偏財이거나 透干된 字자 偏財일 때. 신왕하고 재성도 왕한데, 財가 官을 生할 때. (上格) 신왕하고 재성이 약한데, 食傷이 財를 生할 때. (上格) 신왕하고 재성이 약한데, 食傷이 없고 官星으로 劫財를 制化할 때. (中格) 신약하고 재성이 왕한데, 印星이 日干을 生할 때. (中格) 신약하고 재성이 왕한데, 印星과 劫財가 없고 官星만 있을 때. (下格) 破格 劫財가 重하고 재성이 약할 때. (群劫爭財) 劫財가 重하고 재성이 약한데, 無食傷일 때. 신약하고 재성이 왕한데, 七殺이 透出되었을 때. 재성이 官星을 生하지 못하거나, 生한다 하여도 合去되거나 沖去될 때. 재성이 沖刑될 때. 財殺이 태왕하여 日干을 剋할 때. 食傷이 태왕하여 日干을 弱하게 할 때. 2) 편..

격국 2022.11.16

정관격

1) 정관격의 成格과 破格 요건 成格 月支가 정관일 경우와 月支에서 透干된 字가 정관 일 때. 日干이 왕하고 財星이 官을 生할 때. (上格) 日干이 약하고 正官이 강한데, 印星이 官을 化하고 日干을 도울 때. (上格) 印星이 있는데, 財星이 剋하지 못하는 위치에 있을 때. (中格) 傷官이 正官을 剋할 때, 正印이 傷官을 制化할 때. (中格) 정관격에 官殺이 혼잡한데 合殺留官할 때. (下格) 正官格 合이나 刑沖으로 破格이 되었다가 다시 해소되어 成格될 때. (下格) 破格 正官이 合이나 刑沖될 때. 傷官이 正官을 剋할 때. (傷官見官) 官殺이 混雜할 때. 日干이 쇠약하고 正官이 태과할 때. 日干이 태왕하고 正官이 쇠약할 때. 財殺이 태과할 때. 官星이 약한데, 財星의 生助가 없을 때. (孤官無保) 財가 印星..

격국 2022.11.16

편관격

1) 편관격의 成格과 破格 요건 成格 月支가 偏官이거나 透干된 字가 偏官일 때. 편관격의 제일 조건은 신왕하고 偏官이 旺해야한다. 食神制殺이 되어야 한다. 食神을 偏印이 破剋할 때, 偏財가 偏印을 制化하여 食神을 보호할 때. 신약하고 食傷이 왕한데, 印星이 食傷을 제화하고 일간을 生할 때. 신약하고 관성이 왕한데,관성이 인성을 생조할때.(殺印相生) 陽干일 경우 劫財(陽刃)가 合殺할 때. (陽刃合殺) 陰干일 경우 傷官이 合殺할 때. (傷官合殺) 破格 신약하거나 (殺重身輕), 일간이 태왕한 때. (劫重官衰) 편관격에 食神이 없을 때. (殺星으로 작용한다) 偏印이 食神을 破剋할 때. 財星이 태과할 때. (財殺太旺) 印星이 태과할 때. (身旺官微) 傷食이 태과할 때. (制殺太過, 盡法無民) 刑.이 될 때. 2)..

격국 2022.11.16

정인격

1) 정인격의 成格과 破格 요건 成格 일간이 강하고 인수가 약한데, 官殺이 있을 때. 신강하고 인성도 강하면 (身印兩旺), 食傷이 있으면 성격. 월령이 정인이면서 사주에 印星이 많은데, 인성을 制化하는 財가 있을 때. 정인이 財를 만나 破格되었는데, 劫財가 이를 해소할 때. 정인이 財를 만나 破格되었는데, 財가 合去될 때. 破格 일간이 강하고 정인이 약한데 財를 만날 때. 정인격에 食傷이 투출하여 설기하는데, 財가 투출하였을 때. 七殺이 투출하여 정인을 生하고 있는데, 財가 투출하였을 때. 2) 정인격의 구성 * 정인격은 四吉格중의 하나이며 나 자신을 직접적으로 도와주는 육신이기 때문에 태약하지 않는 한 정인이 지나치게 왕성하면 좋지 않다. 월지를 중심으로 成格되어야 하고 관의 보좌가 있어야 상격이 된다..

격국 2022.11.16

편인격

편인격의 成格과 破格 요건 成格 月支가 편인이거나 透干된字가 편인일 때. 왕한 편인을 正財가 制化할 때. 왕한 편인을 合化할 때. (주로 干合의 경우) 신강하고 편인도 강한데, 食傷이 있을 때. 신왕하고 편인이 약한데, 官殺이 있을 때. 破格 편인격이 약한데, 財星이 剋할 때. (財剋印) (陰日干의 경우 劫財가 財를 合去하면 成格) 편인격이 강한데, 財星이 制化하지 못할 때. (倒食) 七殺이 투출하여 편인이 殺印相生하는데, 財星도 투간된 경우. (財剋印) 2) 편인격의 구성 * 편인격은 정인격과 같이 묶어 印綬格으로 통칭하는 경우도 있으나,정인격과 편인격은 실제로 많은 차이를 보인다. 편인은 四凶神 중의 하나로서 그대로 사용할 수는 없고, 制化를 시켜야 좋은 구실을 한다. * 신강한 편인격에 官殺을 보아..

격국 2022.11.16

정재격

생화극제 완전히 끝내기 정재격 #1 1. 정재의 특성 영역을 바르게 안전하게 관리하다는 뜻. 편재는 지금 내가 가지고 있는 영역을 만족을 못 하겠으니 도전적으로 확장하겠다는 의미이고, 정재는 가지고 있는 영역을 바르게 운영하여 안전하게 유지하겠다는 의미이다. 1) 내적 특징 : 안전, 무사고 불안과 위기를 제일 싫어한다. 겁재가 침입하는 것을 제일 싫어한다. 노후대책, 안전자산을 추구하고, 미리미리 준비한다. 식신은 노후대책을 미리미리 하기 위해서 재능을 만든다는 뜻이고, 정재는 자산을 미리미리 안전하게 만든다. 요즘 같은 100세 시대에 식신의 안전장치는 재능을 안전하게 모으려고 하고, 정재는 재산을 안전하게 모으려고 한다. 정재는 ‘돈 귀신’, 식신은 ‘일 귀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정재를 불안하게..

격국 2021.07.02

정인격/편인격

정인격은 근으로 왕하면 환경을 대하는 태도가 불량하며, 성질을 내놓는다. 겁재로 왕하면 환경에 필요한 재능을 내놓는다. ​ 편인격은 근으로 왕하면 식신을 괴롭히지 않고 돕는 정신을 낸다.근으로 왕하지 않으면 거짓말을 일삼는다. (식품위생법, 부녀자 보호법, 노약자 보호법,환경법, 원산지 표기법에 양심불량을 한다. ) 비견으로 왕하며 개인적 창의력을 내놓아서 프리랜서를 할 수 있다. 더큼학당 창광 ​

격국 2021.06.23

동정론

動靜說 1. 動靜說의 起源 動靜說은 干과 地의 작용이 다르다고 보는 학설이다. 즉 天干은 動이기 때문에 吉凶을 짓는 직접 당사자이고, 地支는 靜이라 천간으로 透出하지 않는 이상 地에 所藏되어있으면서 천간을 보조하는 뿌리 역할을 하거나, 투간신이 오기를 기다리거나 합이 와서 작용할 때를 조용히 기다리는 靜物이라는 것이다. 動靜이라는 말이 처음으로 등장한 곳은 연해자평이다. 연해자평 상해정진론(詳解定眞論)에 다음과 같은 글이 있다. ‘대저 생일이 主가 되는 것은 君王의 令을 행하는 것이다. 法은 四時가 운행하여 陰陽과 剛柔(강유)한 情이 있게 되었으니 內外의 큰 道가 아닐 수 없다. 進退가 서로 기울어지고 動靜은 서로 代理한다. 견고하고 형통함과 출입의 緩急(완급)을 취하여, 거듭 산만한 것은 救濟(구제)하..

격국 2021.06.14

나를 필요로 하는 사람이 있으려면

나를 필요로 하는 사람이 있으려면 1. 육신으로는.... ​ 인성과 식상이 재성을 만나거나 관살을 만나야 한다 ​ 인성 이라는 지적수행 재능 식상 이라는 현장활용 능력 재성 이라는 재능을 펼칠 장소 나 사람 관살 이라는 나의 재능과 능력을 인정하여 고용하려는 조직 ​ 1) 식상 이 재성을 만날 때 ​ 식신 + 편재 ~식신이 편재를 만나야 상관 + 정재 ~상관이 정재를 만나야 ​ 음음, 양양 의 조합이 되면 나를 필요로 하는 재성이 있음이다 오랫동안 서로에게 필요충분 조건이 된다 ​ 만약 음양으로 만나게 되면 처음은 혹하게 되나 인기가 오래가지 못하고 서로에게 지치게 되니 또 다른 관계를 찾게된다 ​ ​ 2) 식상이 관살을 만날 때 ​ 식신 + 정관 의 합 이 되어야 상관 + 편관 의 합 이 되어야 ​ 음..

격국 2021.06.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