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첫번째로 그릇 즉, 사주 원국을 살핍니다. 글공부를 통하여 직업을 구하느냐의 여부가 관건입니다. 따라서 인성의 동태가 중요합니다. 관인소통이 그 예입니다. 식상도 역시 중요합니다. 두뇌 총명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식상이 글공부 쪽으로 연결되느냐 아니냐입니다.
두 번째는 조후를 봅니다. 가령 水가 빠져 있으면 진득하게 붙어 앉아서 공부하는 게 잘 안 됩니다. 수는 움직이지 않는 성분입니다. 안 움직이고도 뭔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지혜 智가 여기 배당됩니다. 수가 없으면 갈증이 나서 자꾸 밖으로 나다니게 됩니다. 반면 火가 없다면 가만히 앉아서 공부는 하나 배운 것의 발휘가 잘 안 됩니다.
세 번째는 대운. 특히 관과 인의 동태가 중요합니다. 관이 있어야 자기 제어를 해가면서 공부를 할 수 있습니다. 또 인성이 있어야 움직임 없이 정신적으로 잘 받아들입니다. 관과 인이 있으면 어쨌든 개근상은 탑니다.
대운에서 인묘진이 오면 원국에서 어떤 작용을 하더라도 일단은 공부하기 좋은 환경으로 봅니다. 어린 놈이 어린 나무 운을 만나 어린 짓을 하니 공부를 할 것이라는 논리입니다. 水 운도 괜찮습니다. 두 번째와 같은 이유입니다.
네 번째는 세운입니다. 여기서는 관인소통, 왕자희설을 봅니다. 비록 관인소통이 잘 안 되어도 왕한 기운이 잘 설기되면 능력 발휘에 어려움이 없습니다.
[출처] [공유] 박청화 강의 노트 49 대학 진학|작성자 antimod
반응형
'박청화선생님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47 실전 사주풀이 6 (0) | 2019.02.03 |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48 실전 사주풀이 7 (0) | 2019.02.03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50 실전 - 물 없는 사주는 물장사 (0) | 2019.02.03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51 왕자입격 (0) | 2019.02.03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52 지지의 국은 격 (0) | 2019.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