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겁 - 식상을 낳는 성분이므로 원기. 특히 비겁은 척추.
식상 - 소화기, 생식기, 사지 활동에 필요한 장기 및 신체 부위. 대표적인 건강의 육친.
상관 - 유흥, 가무 등으로 보내는 세월이 있으므로 몸을 망치기 쉽다. 만성적 질환.
정재 - 내장의 배터리로서 간. 정재가 세력이 강한 남자는 재를 감당키 위해 힘을 많이 써서 배터리가 타버리는 것이므로 노년에 간암이 많이 옵니다.
편재 - 짊어진 짐. 신약하면 만성 질환. 인성을 극해 도덕성을 무시하기도 하므로 이로 인한 스트레스, 만성 질환, 신경통, 심장병.
관성 - 인체의 제어기관, 조절기관. 신경계, 호르몬 등.
편관 - 살이 찌면 몸에 병이 온다.
인성 - 휴식을 위한 장기. 제어기관.
편인 - 운에서 오면 팔다리가 불편한 병. 만성 질환. 건강에 가장 안 좋다.
戊 己 庚 戊
辰 巳 申 申 <坤>
상관이 중첩해 있습니다. 이 상관은 금이므로 목이 허결해집니다. 하지만 이 경우는 홧병이 났습니다. 이 사람은 시어머니와 동거했습니다. 이로 인해 상관의 기질을 마음껏 발휘할 수 없어 홧병이 난 것입니다. 이처럼 환경적인 요소도 중요합니다.
丁 丙 甲 丙
酉 辰 午 午 <坤>
연월에 양인이 거듭하여 있으므로 칼날, 시지 유금도 역시 칼날입니다. 이 팔자는 화기가 왕해 수기가 태부족합니다. 이 때문에 자궁에 문제가 생겨 적출을 했습니다. 적출까지 가게 된것은 바로 양인과 유금 때문입니다.
甲 丁 戊 丙
辰 卯 戌 午 <坤>
화 비겁이 왕한 가운데 식상도 강합니다. 이 식상이 토이므로 결국 수기가 태약하게 됩니다. 乙未 대운에서 수기가 더욱 약해지고 삼형까지 가세되어 자궁 수술을 하게 됐습니다.
종양성, 궤양성, 풍 질환은 괴강, 백호와 관계됩니다. 이런 질환은 압력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괴강, 백호는 마비성 질환과도 관계됩니다. 위 사주는 괴강과 백호를 다 갖고 있습니다.
[출처] [공유] 박청화 강의 노트 68 사주와 인체와의 관계 3|작성자 antimod
'박청화선생님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66 사주와 인체와의 관계 1 (0) | 2019.02.03 |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공유] 박청화 강의 노트 67 사주와 인체와의 관계 2 (0) | 2019.02.03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69 사주와 인체와의 관계 4 (0) | 2019.02.03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70 처자 인연법 1 (0) | 2019.02.03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71 처자 인연법 2 (0) | 2019.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