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투출된 재의 지지 띠를 처로 삼습니다.
2. 편재가 투출되고 정재가 장간에 있더라도 정재를 처로 삼습니다.
3. 재가 여럿이면 연월에 있는 것을 처로 삼습니다.
4. 삼합이 2자 있고 이를 크게 훼손하는 글자가 없으면 나머지 글자가 처. 삼합이 식재관이면 더 확실. 최소한 자식 인연으로라도 옵니다.
○ 乙 己 丁
○ 卯 酉 亥 <乾>
해묘가 견인해 오는 미생을 처로 삼습니다. 물론 묘유 충으로 인해 방해 요소는 있습니다. 이 경우 미생이 자식 인연으로 올 수도 있습니다.
연의 경우는 한 자만 갖고도 삼합의 나머지 글자를 인연으로 삼을 수 있습니다.
5. 재성이 장간에만 있을 경우 이를 개고시켜 주는 글자가 처. 즉 충하는 글자. 하지만 이 충하는 글자가 원국에 이미 있으면 장간에 재성을 갖고 있는 글자 자체가 처.
○ 戊 ○ ○ ○ 戊 ○ ○
○ 辰 ○ ○ <乾> ○ 辰 戌 ○ <乾>
왼쪽은 술생 처, 오른쪽은 진생 처.
6. 공협하는 글자가 정재이고 원국에 정재가 없으면 이 공협하는 글자가 처의 인연입니다.
壬 甲 ○ ○ 庚 庚 ○ ○
申 午 ○ ○ <乾> 辰 寅 ○ ○ <乾>
왼쪽은 재성 자체가 없으므로 신과 오 사이의 공협된 글자 미생이 처. 오른쪽은 편재가 있으나 진과 인 사이에 공협된 글자 묘 정재가 있으므로 이를 처로 삼습니다.
7. 웬만큼 신약하더라도 80~90%는 재관을 그냥 짝으로 삼습니다. 하지만 극신약으로 재관을 감당키 어려우면 지지의 록으로써 짝을 삼습니다. 록 자체가 망신살도 됩니다. 그 록을 쓰기가 어려울 때는 록을 보좌하는 인자. 이같은 인연을 만나면 수명이 연장됩니다.
甲 辛 ○ ○
午 卯 寅 亥 <乾>
극신약입니다. 이 경우 신유술 띠를 만나면 왠지 끌립니다. 하지만 록 유는 충으로 인해 쓰기가 껄끄럽습니다. 따라서 이를 보좌하는 글자 술띠생을 만납니다. 이 술은 또한 양인입니다.
8. 신약하여 또는 탁한 구조로 재성을 취하기 어려운 경우 일지 자체를 처로 삼습니다. 월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특히 일월이 합을 하는 경우 더 확실합니다. 아무튼 인연을 찾기가 영 어려운 경우 일지로 잡으면 가장 무난합니다.
9. 일간이 입고되는 글자의 띠. 가령 을목 일간이라면 술띠생에게 맥을 못 춥니다. 인연뿐만 아니라 이런 경우 사기도 잘 당합니다.
10. 여명에 인성이 많고 식신이 드러나 있으면 딸이 많습니다. 남명에 식상이 왕하면 다녀일자로 봅니다. 남명에 합중봉충이고 그 충이 묘유 충이면 아들이 귀합니다. 묘유 충 자체만으로도 자식 생산의 어려움을 뜻합니다. 여명의 묘유 충은 무모증도 뜻합니다.
丙 乙 己 丁
戌 卯 酉 亥 <乾>
해묘 합중 묘유 충입니다. 아들(己未생)만 하나 있었으나 어려서(甲子년) 죽었습니다. 딸은 여럿입니다.
11. 연월 지지를 충하는 띠의 자식은 키울 때 힘이 드나 커서는 대단한 능력을 갖습니다. 특히 여명에서 더 그렇습니다. 부친과는 보통 같이 있는 시간이 적기 때문입니다.
12. 자식을 낳으면 길한 해 결정법 : 남명은 관이나 식상의 장생, 록왕. 팔자에 관의 입묘지를 갖고 있으면 이를 충하는 글자가 올 때. 또는 그 띠. 갑목 일간에 축을 갖고 있을 경우 미생 자식. 여명은 식상이나 인성의 장생, 록왕. 인성의 경우 딸과 관계가 깊습니다. 인성이 왕한 여명에서는 딸이 많습니다. 인성 자체가 커서는 엄마 되기 때문입니다. 역시 식상 입묘 팔자라면 이를 충하는 운에서 좋은 자식을 얻습니다.
[출처] [공유] 박청화 강의 노트 71 처자 인연법 2|작성자 antimod
'박청화선생님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69 사주와 인체와의 관계 4 (0) | 2019.02.03 |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박청화 강의 노트 70 처자 인연법 1 (0) | 2019.02.03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신살의종류 (0) | 2019.02.03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신살 (0) | 2019.02.03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천간대 천간 신살 (0) | 2019.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