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편. 단기투자 종목의 선택
매년 어떤 종목이 시세가 오르고 내릴지에 대한 유추는 매년 태세 년지의 반안살로써 예측을 합니다. 방법은 앞서 설명한 장기 투자 종목의 선택과 동일합니다. 다만, 반안살을 찾는 방법이 다릅니다.
장기투자의 경우에는 나의 생년지로 반안살을 찾아 종목을 유추하였다면 단기투자 종목은 태세 년지의 반안살로써 종목을 유추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2016년 丙申년이라고 한다면 申子辰으로 보아 반안살은 丑이 됩니다. 丑의 지장간을 살펴보면 여기는 癸이고 중기는 辛이 됩니다.
丑과 여기, 정기인 癸辛을 종합하여 해석을 하여 선택가능한 종목을 파악하면 다음과 같은 분야가 됩니다. 의료보험, 의료장비, 헬스케어, 정밀의약, 바이오, 창고업, 금융업 등이 됩니다.
개별 회사를 선택할 시에는 그 회사 본사를 기준으로 주 출입문의 방향이 내 사주의 장성살을 범하고 있는지를 파악해야 더 정확하게 종목내에서 회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4편. 단기투자 종목이 시세변동 추이
예를 들어, 금융업을 가정하도록 하겠습니다. 丑은 금융업 중에서도 은행업과 보험업의 비중이 높은 편입니다. 따라서 은행업을 기준으로 가정해 보겠습니다.
월별 시세 변동추이를 보게 되면 은행업은 辛을 쓰는 형태이므로 申酉월에 그 힘이 최고조에 달하게 됩니다. 寅卯월에는 힘이 최저치에 달하게 됩니다. 따라서 년초에 매입을 해서 申酉월 즈음에 매도를 하면 대체로 성취와 보상이 원만하게 됩니다.
월별 시세 변동추이를 보험업이라고 가정을 해 보겠습니다. 보험업은 癸를 쓰는 형태이므로 巳午未월에 가장 힘이 약하게 되고 亥子丑 월에 힘이 최고치에 달하게 됩니다. 따라서 여름에 매입을 하고 겨울 즈음에 매도를 하면 대체로 성취와 보상이 원만하게 됩니다.
주별 시세 변동 추이를 보는 법도 있습니다. 매주의 시작은 일요일입니다. 일요일 일진의 반안살을 찾아서 여기와 중기를 찾고 그 어느 요일에서 힘을 받는지 파악을 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일요일 일진이 辰이라고 가정을 하겠습니다. 반안살은 丑이 됩니다. 따라서 丑의 여기는 癸이고 중기는 辛이 됩니다. 보험업은 癸를 비중이 있게 보는데 수요일에 시세가 가장 강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시세가 가장 약한 시기는 화요일이 됩니다. 따라서 화요일에 매입을 해서 수요일에 팔면 되겠습니다.
그런데 주별 시세를 따라서 주식을 사다 보면 하루에도 여러 번의 등락이 발생하게 되므로 사는 시간이 대단히 중요해 집니다. 아무리 화요일에 사서 수요일에 판다고 해도 매입하는 시간과 매도하는 시간이 맞지 않으면 손해가 발생하게 됩니다.
시간대별 시세는 예를 들어 丙申일인 경우 반안살이 丑이 됩니다. 보험업을 癸로 보아 측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시장의 개장시간은 9시~15시입니다. 따라서, 시간대별 지지의 힘도 중요하지만 선천수로서 시간대를 파악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 방법이 됩니다.
丑의 여기 癸의 선천수는 5입니다. 이것은 10시 또는 15시에 힘이 가장 강한 때를 말합니다. 제일 약한 시간대는 丁의 선천수 7입니다. 13시에 힘이 가장 강합니다.(10에서 7일 뺐으므로) 따라서 13시에 매수해서 15시에 팔면 성취와 보상이 원만하게 됩니다.
'명리와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金銀鍍의 사주명리학 이야기- 반도체 투자 (0) | 2019.12.18 |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복권 당첨운 (0) | 2019.01.30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주식투자-투자종목 (0) | 2019.01.30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주식투자-투자자문회사 위치 (0) | 2019.01.30 |
[광주 남구 /사주 카페 도혜] 주식하다 망한사주 (0) | 2018.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