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와 재테크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주식투자-투자종목

Fortune Ked 2019. 1. 30. 22:14
반응형

2편. 투자종목을 선택하는 방법

투자 종목을 선택하는 방법은 생년지를 기준으로 반안살에 해당하는 종목을 찾으면 됩니다. 그런데 더 중요한 것은 주로 지장간에 있는 여기와 중기를 활용하게 됩니다.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반안살은 나에게 최후의 보루와 같은 존재입니다. 박일우 선생님은 반안살을 내시라고 표현을 하셨습니다. 내시의 본분은 평상시에 왕의 사생활의 보필이고 유사시에는 왕의 경호를 담당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존재인 반안살은 재산증식의 원리에도 적용이 되므로 비상자금, 비상금고와 같은 역할을 하며 나의 재산을 지키는 최후의 보루가 되는 것입니다.

반안살은 辰戌丑未의 사고지 중에 하나가 됩니다. 지지에는 지장간이라고 천간의 기운이 녹아 있습니다. 지장간의 역할은 기운을 받아내고, 보관하고, 전달하는 역할입니다. 아래의 표를 보면 辰戌丑未의 지장간 도표입니다.

<辰戌丑未 지장간>

구분

지장간

의미

여기: 癸

-여기: 일의 기미, 발생의 원인, 가리워진 사안, 天

-중기: 일의 과정, 곧 드러나는 사안, 人

-정기: 일의 결과, 이미 주어진 사안, 地

중기: 辛

정기: 己

여기: 乙

중기: 癸

정기: 戊

여기: 丁

중기: 乙

정기: 己

여기: 辛

중기: 丁

정기: 戊

주식투자에는 여기와 중기를 사용하는데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주식시장의 변동세라는 것은 하늘의 기운의 변화적 측면으로 발생하는 사람의 심리적 변화가 연결되어 나타나는 경제활동이라고 봅니다. 따라서, 단순한 지리적 기후 측면이 강한 정기는 사용하지 않게 됩니다.


여기는 주로 하늘이 기운으로 사회적 분위기로써 나타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주된 투자종목을 선택할 시에는 하늘에서 나아게 주려는 기운 즉 여기에 해당하는 종목을 선택합니다. 보조 종목으로는 중기를 사용합니다. 그 이유는 사회적 분위기에 편승하여 사람이 심리가 움직이게 되므로 인간인 내가 추구하려는 기운 즉 보조 투자 종목을 선택할 시에는 중기에 해당하는 종목을 선택합니다.


여기와 중기에 해당하는 종목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원리는 오행 또는 천간의 물상추론에 의하여 추론된 내용이므로 나머지는 각자의 물상 추론 방안으로 연구하여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투자종목의 종류>

구분

투자종목

▪인간 성장과정의 탄생부터 소년기에 해당합니다. 그래서 유아, 의복, 교육, 필설, 섬유, 목욕, 화장, 의약, 문구류, 농산물, 이미용에 해당합니다.

▪乙은 출발, 이탈, 여행이 됩니다. 그래서 관광, 운수, 항공, 해운, 무역, 설계, 기획에 해당합니다.

▪인간 성장과정의 청년기에 해당합니다. 그래서 청년, 전기, 전자, 전자제품에 해당이 됩니다.

▪丁은 등촉불에 해당이 됩니다. 그래서 화학, 방송, 발전소, 통신, 언론, 휴대폰, 인터넷, 미디어에 해당합니다.

▪인간 성장과정의 장년기에 해당합니다. 그래서 장년, 금융, 금속, 귀금속, 금속류, 의료에 해당이 됩니다.

▪辛은 보석류에 해당이 됩니다. 주류, 보석, 공증서, 인증서, 보안, 금속류, 측정기, 정밀기계, 수술장비, 의료장비, 무기류, 철강에 해당합니다.

▪인간 성장과정의 말년기에 해당합니다. 그래서 노년, 보험, 의료, 복지, 장의사업에 해당합니다.

▪癸는 생명수에 해당이 됩니다. 냉동, 수산, 주류, 숙박, 유흥에 해당합니다.

상기 투자종목을 유추하는 방법에서 辰戌丑未중 어떤 지지글자의 반안살인가 확인하고 지지와 지장간을 복합적으로 해석을 하면 세밀한 종목의 선택이 가능해 집니다.

예를 들어, 亥卯未년생은 반안살이 辰입니다. 辰중 乙을 여기로 하여 투자 종목을 선택할 시에는 주종목은 乙을 설계로 쓸때 토목설계보다는 건축설계에 가까운 것으로 봅니다. 그리고 乙을 섬유나 의복으로 보더라도 성인의복보다는 유아의복이 되는 것입니다. 또 건축이냐 의류업이냐를 결정할 때에도 건축보다는 의류업이 더 맞는 계통으로 봅니다.

상기와 같이 辰戌丑未의 지지글자와 乙丁辛癸의 지장간의 글자를 종합해석을 하여 종목을 선정하고 투자하게 되면 성취와 보상이 원만하게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