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丙 - 子, 丙 - 酉 등은 수기유행이 되어 음양의 짝이 맞다고 하시는데..
어떤 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 수기유행이란 말을 찾아 읽어봐도 뭔말인지 잘 모르겠고.. ㅎㅎ 대음양 적으로 음과 양이니.. 이런 표현에서 대충은 이해가 가지만 천간은 무늬고 지지는 내용물인데도 짝이 맞다고 볼 수 있나요?
=> 큰 틀의 음양은 아래 그림으로 설명을 대신해 봅니다. 甲乙丙丁戊는 양운동 구간이고 己丁辛壬癸는 음운동구간입니다.
지지에서 계절적으로 구분을 하면 寅卯辰 巳午未는 양운동 구간이고 申酉戌 亥子丑은 음운동 구간입니다.
천간 陽은 지지에서 陰을 만나야 일단 세속적인 영역에서 효율적인 삶이 가능해집니다. 그래서 적게 노력을 기울여도 크게 주어지게 되거나, 주변에서 알아서 도와주는 일이 생기니 대체로 삶이 편합니다. 여러번 손이 갈 일이 별로 없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그림참조>
반응형
'명리학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편인도식 (0) | 2018.11.20 |
---|---|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종격사주 (0) | 2018.11.20 |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홍염살, 도화살, 함지살 (0) | 2018.11.11 |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상관견관 (0) | 2018.11.11 |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삼기 귀인 (0) | 2018.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