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삼합의 충에 대한 다른 시각??
① 장생지를 충하는 경우
- 申子辰 삼합에 寅이 申을 충하면
대원의견))
申子辰 삼합에 寅이 申을 충하면
삼합이 해체가 되는 신호탄이며
새로운 인오술의 궤도가 시작이 되는 것이며
삼재의 시작이 됩니다
인과 신은 충돌로 지장간의 변동을 읽어주고
신은 인에 충을 당하고
자는 인에 조객을 당하고
진은 인에 상문을 당하고
② 제왕지를 충하는 경우
- 申子辰 삼합에 午가 子를 충하면
대원의견))
자와 오가 충하면 정임합목이 되는지 살핍니다
오화가 신자진 삼합의 자수를 충하면
신자진 삼합이 해체가 되고
신과 진은 원래의 금과 토로 환원되고
오화에 의해서 신과 진은 상문 조객으로 밟혀서 그 기능이 반만 쓰는 형국이 될 것입니다
③ 묘고지를 충하는 경우
- 申子辰 삼합에 戌이 辰을 충하면
대원의견))
술이 진을 충하면 진술충의 개고된 지장간 변화를 읽어 줍니다
수로 변색된 신과 자가
원래의 신과 자로 환원이 되며
신은 자에서 사지에 들고
자는 신에서 사지에 듬으로
신과 자는 사로 죽어라 하게 됩니다
술에 신과 자는 상문 조객에 걸립니다
반응형
'명리학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충과 격각 (0) | 2018.10.14 |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 길) - 천라지망 (0) | 2018.10.07 |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삼기(三奇) (0) | 2018.09.23 |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격각 (0) | 2018.09.22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 길) - 유유형 (0) | 2018.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