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 용어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격각

Fortune Ked 2018. 9. 22. 21:48
반응형

격각(隔角) 
뿔로 사이를 벌리다 라는 뜻이다
혹은 타격해서 밀어낸다 의 의미로 보아도 무방하다

사화
오화
미토
진토
신금
묘목
유금
인목
술토
축토
자수
해수


격각은 하나 걸러 위치한 글자를 말한다
가령 자수의 격각은 술토와 인목이다
사화의 격각은 묘목과 미토이다
축토의 격각은 해수와 묘목이다
유금의 격각은 미토와 해수이다
앞뒤로 하나 걸러 글자를 찾으면 된다

또 다른 방법도 존재한다 
자수의 반대 글자는?
오화이다 오화의 삼합운동은?
인오술이다 즉 인목과 술토가 격각이 된다

사화의 반대 글자는?
해수이다 해수의 삼합운동은?
해묘미이다 즉 묘미가 사화의 격각이 된다

축토의 반대 글자는?
미토이다 미토의 삼합운동은?
해묘미이다 즉 해묘가 축토의 격각이 된다

유금의 반대 글자는?
묘목이다 묘목의 삼합운동은?
해묘미이다 즉 해수와 미토가 격각이 된다


이것의 응용을 해보자면...
격각은 충의 하위호환으로 보면 적당하다
충은 말 그대로 충돌한 것이므로 잠시 사용을 못한다
당신이 어떻게든 사용을 해야만 글자가 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잠시"를 붙인 것이다만 당신이 사용을 하지 않는다면? 그대로 끝이다 
실제 명식에서 글자의 소통이 끊어지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인간은 사용하기 쉬운 혹은 좋아하는 글자만을 사용하게 된다
"오행돌리기"라고 표현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별이 돌고 우주가 돌고 소우주인 인간도 돌듯이
글자를 팔자를 돌려야 한다... 계속 사용해서 순환을 시켜야 한다 
그것이 "음양"이다

[출처] 격각 의 이해|작성자 Lucia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