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님

[광주/ 남구 사주 카페 도혜] 생극제화론

Fortune Ked 2018. 5. 25. 19:01
반응형

생극제화론입니다.
팔자를 볼 때 사주형상에 따라서 통변이 완전히 다르게 됩니다.
예를 들어봅니다.

戊戌年이 오면 戊土가 壬水 칠살을 극합니다.​
일간의 강약에 따른 억부용신으로 보는 것이 아니고, 철저하게 생극제화와 음양의 관점에서 팔자를 보아야 명리안이 열리게 됩니다. 

丙 丙 壬 ㅇ     (1)
ㅇ ㅇ 午 ㅇ
 
ㅇ 丙 壬 ㅇ     (2)
ㅇ 午 ㅇ ㅇ​

戊戌年에 (1)번은 ​戊土가 壬水를 토극수하면 재성의 문제가 나타나고 경쟁력에서 밀릴 수 있습니다.

(2)번은 그 동안 잘 풀리지 않았던 일들이나 ​힘들게했던 일들을 해소하고 경쟁력을 가지고 능력을 발휘합니다.

또 다른 경우에 수를 조합해서 다양하게 서로간에 주고받는 三變의 변화를 알아야 팔자를 제대로 볼 수 있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사항인데도 간과하시는 분들이 너무 많습니다.
즉 억부용신과 격국상신법에 얽매이면 ​많은 것을 놓칠 수밖에 없습니다.
역학은 늘 유연하고 열려있는 마음으로 다가가야 눈이 열리게 됩니다

[출처] 생극제화론|작성자 시골술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