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인격이란
양인은 양일간이 십이운성의 제왕(帝旺)에 해당하는 지지를 보는 것을 말하는데, 양간이 地支에 子午卯酉를 만났을 때를 말한다. 양인은 오행의 기세가 극(極)에 다다른 것으로, 양간에만 양인(羊刃)이 있고 음간(陰干)에는 음인(陰刃)이 없다. 음간은 이미 오행의 기운이 쇠퇴하는 것이 되어 극강(極强)해지는 경우가 없기 때문이다.
양인격은 양간에 한해서 양인이 월지에 있는 경우만 격을 취한다. 음간은 월지에 겁재가 있더라도 그 특성상 식상생재를 용신으로 삼을 수 있으므로 건록격과 같은 방법으로 용신을 취한다. 음간에 편관이 있을 때는 반드시 제화(制化)해야 하며, 편관을 용신으로 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戊土를 제외한 나머지 네 개 干은 겁재가 양인에 해당하는데, 甲丙庚壬의 양인은 항상 편관과 합을 하게 된다. 양간에서 편관이 있을 때 인성 혹은 식상이 없어 살을 제화하지 못하면서 양인이 있으면 살을 합거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된다. 양인과 편관은 항상 짝이 되며, 양인격에서의 첫 번째 용신 역시 편관이 된다. 양인격이 이루어졌는데 편관이 없으면 상격이 될 수 없다. 정관 역시 양인을 제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나, 정관이 득세(得勢) 하여야 양인을 감당할 수 있다. 양인을 제압하지 못하면 겁재의 흉한 작용이 그대로 사주 내에 미치게 된다.
양인격에서는 편관이 유일한 용신이 된다. 이때 식상이 있어 편관을 제압하면 양인의 흉한 작용을 일으키게 되어 패격이 된다. 양인격에 편관이 있는데 식상이 같이 있게 되면 인성을 용신으로 쓰지 못하고 오히려 편관을 생조하는 것으로 약신을 삼아야 한다.
양인은 형충을 만나면 재앙이 생긴다. 월지는 강왕하기 때문에 형충을 만나더라도 그 흉의가 작으나 시지에 양인이 있으면서 형충을 만나는 경우가 제일 흉하다. 일간 기준의 양인이 아니더라도 국을 이루는 사왕지(四旺地)를 충하면 격심한 변동을 만나게 된다.
비인(飛刃)이란 양인을 충하는 자를 말하는데, 보통 양인을 충하는 것은 大忌(대기-크게 싫어함 )한다고 하지만 신왕한 양인격은 비겁태왕이라서 자연히 奪財(탈재), 分財(분재), 剋夫(극부)의 작용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때에는 양인의 기세를 약화시키는 충은 도리어 길한 작용이 되고 신약한 양인격에 일간의 의지처로서 양인에 根을 두고 있는데 충을 하면 大忌하게 된다.
중인(中刃)이란 양인이 둘 이상인 것을 말한다. 자연히 재를 극하는 힘이 엄청나게 강하므로 그 부작용이 실로 심각하다. 재란 양명지원(養命之原)의 귀중물인데 이를 포악한 형태로 극하니 성격은 범법행위를 당연시하고 제도권에서 순종을 거부하니 사회에서는 惡의 요소를 지닌 자로 평가가 된다. 하지만 이 중인도 잘 제화되면 시대의 영웅이 되기도 한다.
양인이 합세군(合歲君)되면 꺼린다고 하는데 이것도 신왕한 양인격에서는 재관이 몰하게 되니 대흉하게 되는 것이고 신약한 양인격에서는 신강으로 변하여 도리어 길하게 된다. 양인격은 월지 부모 자리에 비겁이 있는 경우가 되어서 자연히 재성을 극하게 되니 부모의 덕이 없고 장남, 장녀로 태어나 형제로 인하여 고심이 많은 팔자가 된다. 초년부터 가족과 떨어져서 살게 되고 보통 출생부터 부친이 험난한 인생을 살고 있는 환경이므로 어려운 가정환경으로 인하여 자연 본인도 사회진출을 남보다 빨리해야 된다.
양인격의 성격은 자존심이 강하여 좀처럼 자신의 속마음을 드러내지 않는 과묵한 사람이 된다. 어떠한 환경과 협박에서도 좀처럼 자신을 굽히지 않는 강한 고집을 가지니 바람에 꺾여져도 휘어지지 않는다는 좌우명을 가진다. 하지만 그가 존경의 대상자를 만난다면 기꺼이 한 몸을 바쳐서 충성을 맹세하는 자세로 나온다. 어려운 가정환경이 몸에 베인 자로 항상 재물에 대한 한을 품게 되니 열심히 노력하면서 살고자 한다.
양인격은 대부분 신왕하니 건강상의 하자는 없지만 傷害는 조심해야 한다. 만약에 득병이 되게 되면 필히 중병에 드니 회복하기에 힘이 든다. 양인격이 편관과 균형을 이루게 되면 장군, 법관, 의사 등이 될 수 있고 양인으로만 신태왕한 명은 정육점, 횟집, 고기장사, 백정 등의 살벌한 직업을 가지기도 한다.
양인격은 천간에서
정관을 보는것 양인용(로)관
칠살을 보는것 양인용(로)살
관살이 없이 식상을 보는 양인용식상
식상과 함께 재성을 보는것 양인용재
등이면 성격을 논할수 있다
'격국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평진전 공부하기 (3) | 2024.10.24 |
---|---|
양인격 패중 유성 중 패 (0) | 2024.10.22 |
용신이 무엇일까? 월지 申-무임경의 격국 (0) | 2024.03.25 |
신자진 수국을 戊토가 있으면 수국을 해제 월지격으로 환원 (0) | 2023.09.10 |
정란 차격 (0) | 2023.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