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간과 음간의 12운성은 같지 않고 차이가 있는데, 그 이유를 알아 보겠습니다.
양간과 음간을 각각 남녀로 비유해서 말해 보면,
양간은 남자처럼, 인생은 노빠구, 직진이지.
이런 식으로 목화금수 운동의 주체로써의 역할을 하며, 비교적 단순한 양상을 보이지만,
음간은 여자처럼, 여자의 마음은 갈대와 같다는 말도 있듯이,
목화금수 운동을 보조하는 역할로써 모성애도 작동하면서 좀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됩니다.
갑목과 을목을 예로 들어 보면,
갑목의 경우,
寅목에서는 100% 건록의 특성을 보여 주고, 巳화에서는 100% 병지의 특성으로 나타나지만,
을목의 경우,
왕지인 寅목에서는 50% 왕지의 특성을 보이면서, 나머지 50프로는 병화를 인목에서 생하는데 쓰면서, 생지의 특성을 보이고,
巳화에서는 50% 욕지의 특성을 가지면서, 나머지 50프로는 화운동의 주체이고 건록에 놓이는 병화의 지원을 받으면서 건록의 특성을 보인다는 겁니다.
그림으로 표현하면, 이렇게 됩니다.

정화가 酉금에서 장생을 하는데, 양간의 장생과는 조금 다른 의미를 지니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정화는 酉금에서 장생하면서,
50%는 금운동의 주체인 경금의 영향을 받아서 왕지의 특성을 보인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양간은 왕지에서 양인의 특성을 보이지만,
음간은 왕지에서 양인이 아니라, 관대지에 놓일 때 양인이라고 합니다.
위에 을목의 경우를 보면,
을목은 왕지에서 50% 왕지의 특성을 보이고, 50%는 화운동의 주체인 병화를 지원하는데 쓰지만,
관대지인 辰토에서는, 화운동의 주체인 병화도 관대지에 놓이기에 100% 관대지의 특성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음간 양인인 계축은 축토에서 관대지이고, 목운동의 주체인 갑목도 축토에서 관대지입니다.
음간 양인인 정미는 미토에서 관대지이고, 금운동의 주체인 경금도 미토에서 관대지입니다.
이런 현상을 보이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세상에는 공짜가 없기 때문입니다.

음간이 목화금수 운동의 주체인 양간들을 정인으로 완벽하게 지원해 주기에,
해당하는 양간이 잘나갈 때, 그만한 지원을 받는 거고,
양간이 목화금수 운동의 주체로써의 역할을 해 나가면서 장단점의 특징을 가질 때,
음간은 목화금수 운동의 주체는 아니지만, 이와같이 장단점을 가진다는 것이지요.
60갑자를 정리할 필요가 있어서 도운선생님의 강의를 보는데,
정유일주로 일지 편재가 장생에 천을귀인을 깔고 앉아 있다보니 정리를 아주 잘 하시던데요.
강의를 보다가 보니, 허주 선생님이 이와 비슷한 관법을 가지고서,
음간 양간에 따라 12운성의 해석을 조금씩 다르게 본다고 하길래, 한 번 정리를 해 봤습니다.
'12 운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운성 절지,12신살 겁살 (0) | 2022.11.11 |
---|---|
양간 음간 12운성의 차이 2 (0) | 2021.11.20 |
12운성 지지 이성난 조합 (0) | 2021.08.06 |
십이운성은 천간의 특정 글자가 지지 글자에 어떠한 특성 (0) | 2020.10.23 |
십이운성의 운명암시와 활용법 (0) | 2020.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