겉심리는 표면적 드러나는 모습을
속심리는 일간이 숨기고자하는 내면적 심리를 표현 합니다.
우리가 접했던, 혈액형별 성향으로 보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겉으로는 이렇게 보여지나... 속으로는 이렇다 하는 걸로 이해 하시면 되겠습니다.
오행에 있어서, (겉심리 대 속심리)
목:인 어진마음 어린 (비겁 대 재성)
화:예 예의 청년 (식상 대 관성)
토:신 신뢰 중년 (재성 대 인성)
금:의 의리 말년 (관성 대 비겁)
수:지 지혜 노년 (인성 대 식상)
겉심리와 속심리에 있어서 나타나는 모습도 함께 상상해봅니다. (연관성이 강하게 보여집니다.)
겉심리는 드러나는, 관계의지로 "갑목"을 대입합니다.
속심리는 뭔가 쓰윽 숨기는, 단절의지로 "경금"을 대입합니다.
상대적인 입장으로 대입해보는 방식으로써,
갑목대비 '일간'을 겉심리
경금대비 '일간'으로 속심리라 읽어봅니다.
갑목일간은 갑목대비 '일간' 겉심리는
비견입니다.
갑목일간 경금대비 '일간' 속심리는
편재입니다.
겉으로는(비견) 고집 뚝심 대등한 입장 자신있는 모습으로 비춰지나... 융통성과 넓은 영역확보하려는 마음이 있습니다.
을목일간 갑목대비 '을목'으로 겉심리는 겁재가 됩니다.
경금대비'을목'으로는 속심리 정재가 되어집니다.
을목일간은 겁재적 경쟁성이 있는듯 전투력있어 보이나 속으로는 안정성 꼼꼼함 내것 챙겨야지 하는 실속을 생각합니다.
갑목대비 병화는 식신이 됩니다.
경금대비 병화는 편관이 됩니다.
병화일간은 겉으로는 적극적이고 행동적이며 자신을 잘 표현하려는 낮은자세로 있는듯 보여지지만 속으로는 남을 의식하며 소극적이고 자신을 어필하고 주도하고자 하는 성향입니다.
갑목대비 정화는 상관이 됩니다.
경금대비 정화는 정관이 됩니다.
정화일간에 겉으로는 불평,불만 변화를 추구하는듯 개성적으로 보여지나 속으로는 안정성 질서 조직 과 사회에 맞춰 살고자 하는 성향입니다.
갑목대비 무토는 편재가 됩니다.
경금대비 무토는 편인이 됩니다.
무토일간은 겉으로는 융통성 및 지배력 판단력이 있는듯 보여지나
속으로는 신중하고 조심성있게 고민하고자 하는 성향이 있습니다.
갑목대비 기토는 정재가 됩니다.
경금대비 기토는 정인이 됩니다.
기토일간은 겉으로는 소심한듯 책임감 자신 스스로 결정 판단하려는 모습으로보여지나 속마음은 정인으로, 은근히 대접받기를 원합니다.
갑목대비 경금은 편관이 됩니다.
경금대비 경금은 비견이 됩니다.
경금일간은 겉으로는 카리스마적 모습으로 비춰지나 속마음은 비견으로, 조직적 내부에 자신만의 세력적 확보를 하거나 주관이 강한
스스로 해결하려는 성향이 있습니다.
갑목대비 신금은 정관이 됩니다.
경금대비 신금은 겁재가 됩니다.
신금일간은 겉으로는 바른모습이지만 속마음은 경쟁적 성향으로 지기싫어하고 두고보자 심리적 성향이 있습니다. (뒷끝작렬)
갑목대비 임수는 편인이 됩니다.
경금대비 임수는 식신이 됩니다.
임수일간은 수심이 깊은 고민 많은 사람처럼 보여지지만, 속마음은 자기를 어필하고 능동적이고 적극적이게 하고픈 심리가 있습니다.
갑목대비 계수는 정인이 됩니다.
경금대비 계수는 상관이 됩니다.
계수일간은 정인으로 보수적 성향으로 비춰지지만 속마음은 개성적 불평불만 잘하나 못하나 보고자 하는 심리가 있습니다.
일간:속심리/겉심리
갑목: 비견 / 편재
을목: 겁재 / 정재
병화: 식신 / 편관
정화: 상관 / 정관
무토: 편재 / 편인
기토: 정재 / 정인
경금: 편관 / 비견
신금: 정관 / 겁재
임수: 편인 / 식신
계수: 정인 / 상관
* 주변 일간분들의 보여지는 이미지와 속에서 우러나오는 드러나는 행동이나 모습들을 생각하며 속심리를 유추하여, '상'을 만들면, 조금더 일간별 심리에 가깝게 접근 하시리라 믿습니다
[출처] 일간별 겉심리와 속심리 궁리해보아요. (역학총림 석우당 www.sukwoodang.com) | 작성자 애럭
대만의 하건충 선생이 설파, 낭월 스님이 사주심리학으로 소개 겉심리, 속심리
'고수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합 (0) | 2022.09.27 |
---|---|
일간(음간) 의 희용 (0) | 2022.05.24 |
양권 음권 (0) | 2021.05.21 |
명린이 여러분 명리 공부 범위는 어느 정도 파악하고 접근합시다. (0) | 2021.05.13 |
백호살 /양간이 자오묘유 왕지에 있는 경우 (0) | 2021.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