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의 특징과 사주에서 활동하는 모습
1, 모든 육신은 월령에서 출발한 모습으로 판단 한다. 세상과의 조화를 봐야 한다.
인간사회에서 관이 3개(정관/편관.상관)가 있는데 안에서 일하는 모습과 같은 것이 정관이다.
정관은 규칙이나 규율, 가정. 사회.국가의 틀을 말하기도 한다.
2, 정관의 임무는 정인이 가져간다. 정관이 일을 주면 정인이 임무를 수행 하는 것이다.
정관은 정재의 생을 받으면 권한 지위 조직의 수장이라는 지체가 높아지는 작용이 일어난다.
이를 관인상생하고 있는 사주가 재생관을 받는다는 의미이다.
3, 정관은 정인을 생하면 내가 보호를 받는 것이다. 상관에게 극을 받지 않게 된다.
상관견관은 정인이 막아준다. 그러면 상관견관운에 취직도 하고 승진도 하고 합격도 하는 것이다.
편인으로 하면 비정규직, 자리가 불편 할 수 있다.
4, 정관은 근왕하면 안된다. 40중반에 상관견관을 한다. 에이~ 하고 직장에서 뛰쳐 나온다.
정관은 근왕하면 사용하기 어렵다. 정관이란 아래사람, 백성에게 머리를 숙이라는 뜻이다.
백성을 무서워 해야 한다. 근왕하면 머리를 숙이기 힘들다.
5, 정관은 비겁이 있으면 상신을 해한다. 정관의 상신은 정재이다. 상신을 해하면 인덕이 없어진다.
정관은 인성이 왕하면 지적 서비스를 할 수가 있다. 정관 근왕은 개인 주장이 강하니 조직에 합당하지 않다.
6, 근왕은 현장능력이나 상품능력서비스 유통서비스 능력을 소유 한 것이다.
근왕은 충성심결여, 조직에 반기를 든다. 가끔가다가 내가 왜 이렇게 사나 자신의 머리를 의심도 한다.
근왕은 발로 뛰어라
7, 여자는 관인상생이 되면 남편에게 사랑을 받는다. 재생관도 잘 되면 부인역할도 잘 한다.
시댁을 위하는 부인이 된다.
8, 일간이 관을 능가하면 안된다, 그냥 남편에게 뭐라고 할 정도에서 끝나야 한다.
이것을 넘으면 이혼이다.
9, 만약 신금일간 무토가 매금된 관인상생은 내가 누구에게 묻혀살아야하는지에
대한 불만이 있다.
정관은 조직사회에 근무를 하기 위해서 인성으로 지적능력을 만들어야 한다.
만약 겁재상관으로 정관을 위협하면 상관을 제해주어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독립을 하기 위한 지적능력으로 변한다.
10, 정관은 겁재를 제하면 상대가 망해서 나를 이롭게 해준다.
정관은 천간재성을 용하면 국가자격을 소유한다. 관공서, 대기업, 해외업무등을 봐주는 직업에 종사하기도 한다.
이민업무, 유학업무,대행전문기관등을 행하기도 한다.
재성용신을 사용하면 민원이나 허가. 세무. 설계. 변리. 공무원. 사무장. 보좌관. 경영사장.관공서 납품업도 가능하다.
11, 정관은 식정관한 사주는 근왕해야 큰 조직과 결탁을 원한다.
정관은 재성이 생을 안하면 쟁재로 간다. 개인적인 단체. 파벌. 장사를 하게 된다.
이권개입, 나만의 사업장, 압력단체,협회, 단체를 만든다. 나만의 문중을 이룬다.
.
다음에 이어서....
글쓴이 도곡 오혜원
[출처] 정관의 특징과 사주에서 활동 하는 모습.|작성자 seone0401
'십신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지, 비견, 무재 , 무식상, (0) | 2020.11.24 |
---|---|
오행의 강약 판단 (0) | 2020.11.01 |
편재와 편인 (0) | 2020.09.17 |
편관 (살) 제화 3법 (0) | 2020.08.20 |
십신의 특성과 활용 (0) | 2020.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