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신론

편재와 편인

Fortune Ked 2020. 9. 17. 11:40
반응형

1, 편(偏)재(財)는 자기가 알아서 벌어야 하는 재물과 같다. 아직은 울타리가 쳐져 있지

않은 재물과 같다.

그러므로 공동적인 재물, 지금당장 벌어야 하는 재물. 유동적인 재물과 같다.

편재는 개인적인 능력을 만들어서 사회에 공헌을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간은 근왕해야 한다.

일간이 근왕하지 못하면 편재를 취하기 어렵다. 재물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니 사업자는 운영자금이 있어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시장환경이 좋지 않을때 유지 자본금이 없어 사업을 접게 된다.

2, 편재는 편인을 제하여 식신을 구해야 지방에서는 15억 정도 부자가 된다.

편인격을 편재가 제하면 활인 공덕을 하는 약사. 의사. 간호사가 된다. 편재와 편인의

만남이 진정한 활인공덕이다.

나머지는 개인적 자신의 의무일 뿐이다. 사회공헌도가 아니다.

편재격이 편인을 제하면 제약회사나 합동법무법인도 할 수 있게 된다.

3, 편재는 영역을 확장 하기 위해서는 식신으로 현장 활동을 해야 한다.

편인을 제하면 영역확장을 인정 받는다.

지적재산권에 대한 인정도 받는다.

편재가 편인을 제하지 못하면 영역 확장에 대한 효과가 없다.

편재는 귄리재주이고. 편인을 만나야 자격화 인정을 받는다.

지지인성은 인정을 받지 못하다가 천간으로 인성운이 오면

자격을 인정 받는다. 인성이 없으면 지적 능력 활용을 안한다.

편재는 근왕하면 개인적인 처세이다.

4, 편재가 식신의 생을 받는데 그 식신이 식정관을 한다면 현장능력의 뛰어남으로

중앙가서 일하는 참모직, 중앙부속기관의 영업행위나 영업력이 우수하다.

5, 월령이 편인출발이면 특허나 특기, 개인적인 지식능력, 교육적 능력,

지적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월령이 정인 출발이면 국가자격, 문화, 예술, 컨텐츠, 지식능력, 교육적,

사무적, 행정적, 의사. 판사의 능력, 공적인 지적 능력을 환경에서 요구한다.

정재출발은 재산 가지고 한다. 나중에 물려 받는것이 있다.

년에서~시까지 이어지고 일간이 시와 합이 있어야 한다.

편재출발은 돈 가지고 한 것이다. 벌어 놓은 것이 있다. 근약이면 빌려서 시작 한다.

근왕이면 식신편재부터 한다.

식신출발은 부지런 떠는 것으로 시작 한다. 근이 없으면 지적 능력을 가지고 나가야 한다.

반응형

6, 재왕하면 경영능력이 있고, 근왕하면 현장 경영능력도 갖춘다.

관왕하면 환경에서 요구하는 적합성이 뛰어난 사람이다. 근왕까지 하면 일을 주도 하는

사람이 된다.

편재월령이 근약이면, 나 이거 시작해도 되요? 하고 맨날 물어본다.

7, 편재월령 출발은 경영능력 영역을 확장을 해야 한다.

인왕하면 경영에 필요한 지적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근약이면 이러한 능력은 내 옆에 있는 비견이 가지고 있는 것이다.

편재격이 근약이면 혼자서 하는 것은 두려움이 있으니 연계독립, 협업관계. 대행관계이다.

비견이 있으면 가족사업,영업능력을 갖춘업체도 만날 수 있다. 비견이 사주에 있고 식신이 없으면 영업능력의 비견이 필요하다.

8, 편재가 용신이면 경영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낸다. 경역학, 무역학등에도 두각이 나타난다.

경영전문가, 경제기획원, 회계사. 관세사.세무원,증권,사채업,무역업.유통업, 금융전문가, 정치가.

각종영업자의 능력을 사용한다.

9. 편재는 편관을 생하여 비견을 제하면 주인이 된다.(가게주인, 집주인)

편재가 식신이 없으면 문서운이 약하다.

문서 주인이 되는 힘겨움이 있다. 편재가 식신이 없고, 편인이 있으면 식신운에 투자로 망한다.

투자처 잘못되고 일거리 찾다가 잘못된다.

10. 편재의 상신은 식신이다. 편관운이 오면 가정이 편지않다. 사람들과 이별의 시간이 온다.

11. 재생살은 조직의 충성도를 따지는 것이다. 재생살이 안되면 살이 세력을 잃어간다.

작은 조직에 근무를 해야 한다. 찌질한 남자 밑에서 살아야 한다.

글자만 있다고 되는 것이 아니니 오행으로 잘 판단하고 육신으로 가미를 해야 한다.

[출처] 편재는 무엇이고 작용은 어떻게 하는가?|작성자 seone0401

반응형

'십신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행의 강약 판단  (0) 2020.11.01
정관의 특징과 사주에서 활동하는 모습​  (0) 2020.09.17
편관 (살) 제화 3법  (0) 2020.08.20
십신의 특성과 활용  (0) 2020.07.28
인성대 식상의 모습  (0) 2020.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