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용신은 월래 월령이 위주가 된다. 그러나 월령의 지장간은 한 개만 있는 것이 아니므로 이에 따라 용신의 변화가 있게 된다
예를 들면 12지지 가운데 자오묘유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간직한것(지장간) 이있고 사고 만이 (그런것은) 아니다.
인 으로 논하면 지장간중에서 갑목이 본래의 주인이 되니 군에 지부가 있는 것과 같과
병화가 인에서 장생하니 군에 동지가 있는것과 같으며
무토 역시 장생하니 군에 통판이 있는 것과 같다.
인이 월령에 있을지라고 갑목이 천간에 투출하지 않고 병화가 투출하면 이는 군에 지부가 부임하지 않고
동지가 주인이 되는것과 같다. 이것이 (용신:격) 변화의 까닭이다.
반응형
'격국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인격 편인격과 용신 (0) | 2020.08.22 |
---|---|
겁재격과 비견격 용신 (0) | 2020.08.13 |
격국 정하기 (0) | 2020.08.13 |
왕 쇠 강 약 왕상휴수사 (0) | 2020.08.06 |
寅申巳亥월 취격 (0) | 2020.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