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님

金銀鍍의 사주명리학 이야기- 대운대입의 고민

Fortune Ked 2020. 4. 15. 11:03
반응형

대운을 보는 법

(1)삼명통회

대운과 사주팔자는 표리의 관계에 있다. 운이 대운의 천간에 들 때는 대운의 지지를 참작하여 보고, 운이 대운의 지지에 들 때는 대운의 천간은 무시하고 대운의 지지만을 본다. 모든 대운은 지지를 중요시하기에, 동방(東方), 서방(西方), 남방(南方), 북방(北方)으로 분류한다. 

 

(2)명리정종

대운의 간지를 보는 법을 개두설(盖頭設)과 동정설(動靜設)을 가지고 설명한다. 개두를 비유해서 말하자면, 얼굴이 한 사람의 모든 것을 단적으로 표시한다고 보는 것이다. 사지와 동체는 다소 결점이 있다고 해도 의복으로 가릴 수 있지만, 이목구비는 밖으로 드러나 가릴 수 없는 것이니 머리 위에 드러난 것이 중요한 것이다.

팔자에서 네 개의 천간은 인간의 얼굴과 같고, 네 개의 지지는 인간의 사지와 동체와 같고, 지장간은 인체의 오장육부와 같다고 본다. 그러므로 배 속의 수기(秀氣)가 머리 위로 발출되면 영화가 드러난 것과 같다. 지장간이 천간에 투출되었다면 영화로운 것이니 일생의 부귀빈천이 얼굴 위에 노출된 것으로 본다.  

예컨대 팔자에서 상관이 있으면 두렵지만 상관이 지지에 감추어져 있는 것은 두려울 바 없고, 오직 천간에 투출돼야 두려운 것으로 본다. 지지는 정지하려는 속성이 있고, 천간은 작동하려는 속성이 있으니, 그러므로 해로운 것이 천간에 있으면 능히 해를 끼치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개두란 사주나 운에서의 천간을 뜻하는 것이다. 

 

(3)명리약언

옛 책에서 대운의 천간과 지지를 각각 나누어 5년씩 주관한다고 하고, 또 어떤 책은 지지를 중요시해야 한다고 하며, 또 어떤 책은 천간과 지지를 4:6 비율로 보아야 한다고 하고, 또 어떤 책을 천간과 지지를 3:7의 비율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무릇 대운은 월주에서 일으킨 것이니 순행하는 경우는 미래의 월건으로 행하고, 역행하는 경우는 과거의 월건으로 거꾸로 진행하니, 월건의 간지는 함께 한달을 주관하는 것이지, 천간이 상반월을 주관하고 지지가 하반월을 주관하는 것은 아니므로, 대운 역시 천간과 지지를 분열시켜 각기 몇 년씩 주관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천간지지가 모두 함께 10년을 주관한다고 보되, 천간과 지지의 상호 생극하는 원리에 의해 그 역량을 정해야 한다. 예컨대 대운의 간지가 같은 오행이면 그 힘이 전일하므로 10년을 그 오행이 주관하고, 천간이 지지를 극하면 천간의 역량이 지지보다 더 크게 되며, 지지가 천간을 극하면 지지의 역량이 천간보다 더 크게 되는 것이다.  

천간지지가 모두 희용신이면 10년 동안이 모두 길하게 되고, 천간지지가 모두 기신이 되면 10년 동안이 모두 흉하게 되며, 천간지지가 하나는 희신이고 다른 하나는 기신이면 10년 동안 길흉이 섞이게 된다.  

 

 (4)자평진전

팔자를 입수하면 반드시 천간과 지지를 모두 살펴본 후에 지지가 천간의 생지가 되고, 지지가 천간에 투출되었는지 분별해야 한다. 예컨대 사주에 하나의 갑(甲)이 있다면, 네 개의 지지를 살펴서 寅, 卯, 亥, 未에 통근했는지의 여부를 가려야 하는 것이니, 한 개라도 있으면 甲의 뿌리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한 개의 亥가 지지에 있을 때는 사주의 천간을 살펴서 甲이나 壬이 투출했는지를 보아 甲, 壬이 亥에 통근하면 용신이 될 역량이 있기 때문이다. 壬, 甲이 둘 다 투출했다면 둘을 병용한다.

운을 논하는 것은 사주 원국을 논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원국을 볼 때는 사주 간지를 월령과 배합해서 희기를 정하고 대운의 희기를 정할 때는 대운의 간지를 팔자의 희기와 배합해야 한다. 그러므로 운의 한 글자마다 반드시 원국의 간지와 배합하여 종합적으로 관찰하면 희기와 길흉을 분명하게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옛 선현들은 대운에 지지를 중시했고, 유년은 천간을 중시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그렇게만 보면 판단이 빗나가므로 유년을 볼 때도 반드시 지지를 참작해야 한다.


반응형

'고수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화일간 – 창광선생님 편  (0) 2020.06.15
전생 인연법  (0) 2020.05.29
金 銀鍍의 사주 명리학 이야기 - 격각  (0) 2020.02.25
金銀鍍의 사주명리학 이야기- 귀문관살  (0) 2020.01.29
오행 물상  (0) 2020.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