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

金銀鍍의 사주명리학 이야기- 천살방향 이사

Fortune Ked 2019. 12. 25. 14:27
반응형

천살 방향 이사는 불운...실직 사업실패 등 

12신살(神殺)을 관찰할 때에는 반드시 생왕묘(生旺墓)라는 삼각(三角)과 삼원(三元) 그리고 삼합(三合)을 구성하는 삼합오행의 관계를 잘 이해해야만 한다. 예컨대 해묘미(亥卯未)의 목(木)국, 인오술(寅午戌)의 화(火)국, 사유축(巳酉丑)의 금(金)국, 신자진(申子辰)의 수(水)국이 바로 삼합오행을 대표하는 것들이다.

  ● 생(生)에 해당하는 처음의 초지(初支)는 지살(地殺)에 해당한다.
  ● 왕(旺)에 해당하는 중간의 왕지(旺支)는 장성살(將星殺)에 해당한다.
  ● 묘(墓)에 해당하는 마지막 종지(終支:墓)는 화개살(華蓋殺)에 해당한다.

12신살(神殺)이론에서 천살(天殺)이 갖는 본래 뜻은 바로 군왕이다. 그러므로 계급으로만 따진다면 천살(天殺)을 당연히 높은 계급으로 보아야 한다. 그런데 천살(天殺)이 함께 삼합을 이루는 것이 망신(亡神)살과 육해(六害)살이다.

즉 천살(天殺)이 망신(亡神)살과 육해(六害)살을 대동하고 있음이니 힘이 센 것보다는 상징적으로 지위가 높음으로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여기서 천살(天殺)이 어떻게 성립되는지 그 이유를 이론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신자진(申子辰)의 삼합이 수국(水局)을 형성한다는 것은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신자진(申子辰)의 천살(天殺)은 삼합오행 초지(初支)의 전지(前支)에 해당하는 미토(未土)다. 신자진(申子辰)의 입장에서 천살(天殺)인 미토(未土)의 지장간(地藏干)에는 정을기(丁乙己)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신자진(申子辰) 수국(水局)의 입장에서는 천살(天殺)에 해당하는 미(未)중에 지장간(地藏干)으로써 정화(丁火)와 을목(乙木)이 있음인 것이다.

여기서 을목(乙木)은 수(水)의 기운을 누설시키고, 정화(丁火)는 수국(水局)의 기운을 가두듯 수옥(囚獄)시키는 작용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신자진(申子辰)의 입장에서는 천살(天殺)에 해당하는 미토(未土)가 신자진(申子辰) 수국(水局)의 모양새를 일그러뜨리나 수국(水局)의 질량을 경감시키는 요인으로 보아도 틀리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를 실제 상황으로 본다면 어떤 가정에서 국회의원 1명을 당선시키기 위하여 온 가족들이 밀가루 수제비로 수년간을 허기만 채우며 인내한 경우와 흡사한 형상이라고 해도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다.

또 유명한 선수 1명을 배출하고 출세시키기 위해서 온 집안의 가족들이 엄청난 희생과 헌신을 치루는 경우라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천살(天殺)이란?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여러 명이 공동으로 노력하여 일단 정상을 점령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가족 내에서 걸출한 인물이 배출되었다면 거기에 따른 식솔들이 늘어날 수도 있고, 또 자연히 증가되는 지출과다나 의식주의 고급화 등 살림살이나 가구들도 자연스럽게 늘어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분명한 것은 천살(天殺)이란? 신분의 격상을 뜻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 근거해 사는 집을 이사하는 모양새도 그렇게 진보된 양상으로 나타나게 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어떤 사유축(巳酉丑)년생이 진토(辰土)의 방향으로 사는 집을 이사하여 갔다면 반드시 이사하기 전보다는 훨씬 고급화된 주택으로 옮겨가게 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경우에 가주(家主)의 마음가짐이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되기 때문에 풍수전문가나 역술전문가가 일러주는 올바른 방향으로 이사를 갈 수가 없는 이유가 생겨나게 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가주(家主)의 생각이 설령 부채를 크게 지는 일이 있을지라도 큰 저택으로 이사를 하겠다는 결심만 하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천살(天殺)의 방향에서 주택을 구하게 된다는 이치다.

이럴 경우가 있을 때 반드시 주택을 구입하여 이사하게 되는 것은 아니고 비록 30만 원짜리 월세 방에서 70만 원짜리의 월세 방으로 이사를 가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외형상의 격상이라면 대체적으로 천살(天殺)의 방향으로 이사를 하게 된다는 이치다.

1000만 원짜리 전세집에서 5000만원짜리 전세집으로 이사를 하게 되거나 5000만 원짜리 전세집에서 1억원짜리 자기집을 구입하여 이사를 가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의도적인 행위가 아니었음에도 자연스런 조화에 이끌리어 천살(天殺)의 방향이거나 천살(天殺)방향의 바로 옆인 측방(側方)향으로 반드시 이사를 가게 된다는 설명이다.

여기에서 천살(天殺)의 방향의 측방(側方)향이자 인접방향으로의 이사는 외형상 가옥형태가 약간은 불만족스런 이사를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유축(巳酉丑)년생이 진사(辰巳)방인 동남(巽)방으로 이사를 했다면 만족한 이사를 하였으니 진토(辰土)의 선천수(先天數)만큼 5년이나 아니면 길게 50년 정도를 그 집에서 쭉 살게 될 것이다.
 
반면에 사유축(巳酉丑)년생이 묘(卯)방향인 정동(震)방의 부근으로 이사를 했다면 5년 이내에 그 자리에서 다시 진사(辰巳)방으로 한 번 더 이사해 집을 옮기게 될 것이다.
종합적으로 정리를 해본다면 자기가 태어난 띠(生年)을 기준으로 보아서 천살(天殺)의 방향으로의 이사야말로 사람이 추구하는 경제적이거나 또는 외형상으로 최고 최대의 기호성취의 목표방향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서민들이 주택청약에 당첨되어 이사를 하였을 때에 가주(家主)를 기준하여 천살(天殺)의 방향으로 이사를 해서 집을 옮겨 갔다면 진실되고 만족스런 이사를 간 것이다.

그러나 만약에 천살(天殺)의 인접방향인 측방(側方)향으로 이사를 갔다면 일단 이사를 가서 조금 살다가 그 집을 다시팔고 또 다른 어디론가 옮기려는 의도가 숨겨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 주택 장만의 자금내용에 불순한 흑막이 내재되어 있다고 추측하면 틀리지 않을 것이다.

예컨대 투기목적이거나 가명의 입주자거나 또는 학교를 좋은 데로 보내기 위해 유행병처럼 강남으로 이사를 했었던 60년대 70년대의 이사를 하는 모습과 같이 이런 유사한 목적으로 이사를 한 것이다. 이 경우 학업에 대한 1차 목표는 달성했다고 하더라도 다른 가족들의 불편은 더 말할 나위없이 클 것이므로 그 집에서 또 다시 천살(天殺)의 방향으로 이사를 한 번 더 해야만 비로소 편안한 안식을 위한 만족할만한 이사를 하게 된다는 점이다.

개인적으로 최고영달을 위한 목표와 이유가 아니라면 누구든 천살(天殺)의 방향으로 이사를 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이렇게 이야기가 길어진 것 같다.

사업가가 불경기 탓에 장사가 안 되어 지출을 줄일 겸 이사를 하게 될 경우라든가,  직장출근이나 통학거리가 멀어서 가까운 곳으로 이사를 하는 경우 천살(天殺)의 방향으로 주택을 옮겨갔다면 결과가 좋지 않다. 운로(運路)가 이상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직장에서 실직이 되거나 또는 학교에서 정학이나 퇴학 등의 걷잡을 수 없는 액운들이 몰아치게 되므로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천살(天殺)의 방향으로 주택을 옮겼을 경우에 심하면 질병 등으로 사망에 이르게 되는 경우도 생겨나게 된다. 왜 이런 경우가 발생하는가 하면 천살(天殺) 방향의 이사는 임시용으로 하는 이사일 뿐이지 인간이 추구하는 최대의 목표는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사는 절대 천살(天殺)의 방향으로 함부로 하지 말라고 알려주는 이유다. 천살(天殺)은 군왕이라는 뜻이니 군왕 이상의 높은 권좌는 없는 것으로 보아야 마땅할 것이다. 그러므로 집을 옮기는 이사도 일단 천살(天殺)의 방향으로 옮겨간 이후에는 더 이상 위로 올라 갈 수 없으니 더 발전할 수 없음을 암시하는 것이 아닐까?

이렇게 천살(天殺)의 방향으로 이사를 했다고 한다면 그 시점부터는 자연의 이치적으로 쇠퇴해진다는 논리를 알아야 한다. 따라서 직장인이건 상공인이건 하는 일에 있어서 퇴조를 예고하고 암시하는 것이라고 보면 틀림없을 것이다.

현재 살고 있는 주택으로 이사를 오기 전 주택을 기준하여 천살(天殺)의 방향이 되었다면 현재의 주거환경이 크게 호전된 것만은 틀림없는 일이다. 그렇다고 너무 불안해 할 필요는 없다.

이럴 경우에 가장을 기준으로 하여 다음 몇 가지의 내용을 관찰해볼 필요가 있다. 예컨대 장성(將星)살의 방향으로 대문이나 방문이 훤히 노출되어 있다면 다른 곳으로 이사를 다시 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육해(六害)살의 방향이나 연(年)살의 방향 등에 통문이나 환기 공(窓)만이라도 있다면 가문이 폐문되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니 크게 걱정을 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천살(天殺)의 방향으로 이사를 와서 가족들이 모두 다 편안하고 도모하는 사업들이 크게 발전을 하고 있다면 더 말할 나위 없이 바람직한 일일 것이다. 그러나 그렇지 않고 가계가 기울어 가고 있다는 판단이 서면 반드시 차선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럴 경우 재기를 도모한다면 일단 생활규모를 작게 줄이면서 천살(天殺)의 반대 방향으로 반드시 이사를 해야만 원만성취를 이룰 수가 있을 것이다.
예컨대 사유축(巳酉丑)년생의 경우라면 천살(天殺)방향이 동남간(巽)방인 진(辰)방향이므로, 진(辰)의 반대 방향은 서북간(乾)방인 술(戌)방향이 되는 것이니 이쪽의 방향으로 이사를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천살(天殺)의 방향으로 이사해도 운이 열리는 개운(開運)방법을 잘 지켜서 가계가 크게 향상되고 또다시 더 좋은 주거환경으로 이사하는 경우, 풍수전문가 방위학술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 이사를 하도록 권고를 해주었다고 하더라도 천살(天殺)의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이사를 갈수는 없게 된다.

태어난 띠(生年)가 신자진(申子辰)년생의 예를 들어보자. 신자진(申子辰)년생에게 천살(天殺)의 방향은 시계방향으로 7시방향인 미(未)방향이다.

그런데 신자진(申子辰)년생이 이미 천살(天殺)의 방향인 미(未)방향으로 이사를 왔었는데, 또 더 좋은 주거환경으로 이사를 하게 되었다면 불가사의한 이변이 없는 한 역시 또 미토(未)방향으로 이사를 가게 된다. 이사방향이 이른바 오귀(五鬼) 삼살(三殺)의 방향이 되었더라도 말이다.

이와 같이 비록 자신에게 유익하고 길(吉)한 이사의 방향이 천살(天殺)의 방향이 되어서 가게 되는 경우라면 더욱 좋은 일이겠으나 자기 고집에 의해 천살(天殺)의 방향으로 이사를 하게 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가정과 가계가 많이 발전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또다시 겹쳐서 재차 천살(天殺)의 방향으로 이사를 함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 이유는 이사방향이란 운기(運氣)가 퇴조함으로 흐를 위험을 항상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옛 성현이 고전에서 이르는 말 중에 '권불(權不)십년이고 부불(富不)백년'이란 말이 있듯이 인생살이가 모두 영구적이고 항구적인 것만은 있을 수 없다는 말과도 일치하는 이치라 할 것이다.

12신살(神殺)이론 중에서 천살(天殺)이론을 좀 더 깊이 관찰해보자. 천살(天殺)은 군왕이다. 옛날 군주정치의 시대에는 왕이 등극하면 사망에 이르러서야 세습이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현대의 세계적인 추세에서는 민주주의체제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지 않는가? 그러므로 천살(天殺)을 옛날의 전제군주나 절대왕정을 상징하는 것만으로 설명해서는 합리적이지 않기에 이런 가설을 통설이라고 할 수도 없음이 아니겠는가?

군왕이라도 국가가 정하는 헌법에 따라 임기가 있게 마련이므로 현대에는 절대군주는 있을 수가 없는 것이고 다만 일시적으로 부여된 권력을 누릴 뿐이라고 해야 옳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정치적 양상을 비유해서 생각해본다면 당연히 군왕은 대통령이 분명하고 헌법이 정하는 임기 내에서만 통치가 가능하므로 그 임기가 보장된 기간만은 최고의 권력을 누리게 된다.

그렇다면 집을 옮기는 이사에 있어서도 천살(天殺)의 방향으로 이사를 해서 몇 년 동안을 살아야 적당한 것일까?

태어난 해가 신자진(申子辰)년생은 천살(天殺)이 미(未)방향으로 시계방향으로는 7시 방향이고, 태어난 해가 인오술(寅午戌)년생은 천살(天殺)이 축(丑)방향으로 시계방향으로는 1시 방향이다.

그런데 신자진(申子辰)년생과 인오술(寅午戌)년생은 모두 선천수(先天數)가 8이니 8년 내지는 18년 동안 사는 기간이 적당하고 유효하다고 보면 바를  것이다.

한편 태어난 해가 사유축(巳酉丑)년생은 천살(天殺)이 진(辰)방향이니 시계방향으로는 4시 방향이고, 해묘미(亥卯未)년생은 천살(天殺)이 술(戌)방향이니 시계방향으로는 10시 방향이다.

그런데 사유축(巳酉丑)년생과 해묘미(亥卯未)년생은 선천수(先天數)가 5가되므로 5년 내지는 15년을 살고난 후에는 다시 천살(天殺)의 그 반대의 방향인 반안(攀鞍)살의 방향으로 옮겨가야 바르다고 할 것이다.

지금 여기서 거주의 기간을 선천수(先天數)로 설명한 것은 다소의 차이가 있을 수는 있겠으나 대체적으로 국가들이 취하는 대통령의 재선 또는 3선의 임기정도를 적용해 환산해 추정을 한 것이다.

천살(天殺)의 방향으로 이사를 한다는 것은 분명히 지위의 격상을 의미하므로 자연히 가족들의 증가를 부른다고 이미 기술한 바가 있다.

그러나 이런 형태는 대통령이 필요로 하는 일꾼들이거나 참모진의 정도일 것이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대통령보다 더 높은 지위의 사람은 있을 수 없는 것이므로 가족이나 식솔들의 증가란 하층 계급의 사람일 수밖에 없음인 것이다.

만약에 군왕격인 대통령보다 더 높은 지위를 가진 사람을 맞아 들였다면 그는 부모님이거나 아니면 국가가 일시에 패망하여 적군에게 포로가 된 경우 일 수밖에 없음이 된다.

그래서 보통사람들이 천살(天殺)의 방향으로 이사를 가고 나서 부모님들이 별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 형제자매가 되는 분들의 별세나 가족 중에서도 가장의 생년을 기준으로 해서 천살(天殺)에 해당하는 후손들도 의문의 죽음을 당하는 경우가 많음이니 이를 어쩌란 말인가?

그런데 이미 천살(天殺)의 방향으로 이사를 하였고, 자녀들 중에도 천살(天殺)에 해당하는 애가 있으며, 여기에 부모님을 모시고 한 집에서 함께 사는 경우라면 과연 어떻게 해야 할까?

이런 경우라도 절대로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대처하면 아무런 재앙과 재난에 들지 않고 운이 열리는 개운(開運)된 생활을 하는 묘법(妙法)이 있다. 또한 가족들의 생활과 운로(運路)도 자연히 좋은 방향으로 변화될 수가 있다.

예컨대 부모님을 먼 지방으로 떠나서 사시게끔 주거환경이 변화하는 경우가 생기게 되고, 천살(天殺)에 해당하는 자녀들이 해외로 유학을 떠나게 된다거나, 아니면 자연스럽게 지방에 있는 직장이나 해외근무 등으로 가족들이 여러 곳으로 흩어져서 사는 여건이 주어진다.
이럴 경우에도 충효사상이 너무 지극하고 극진하여 가족들이 모여서 함께 살기를 고집한다면 스스로 재앙과 재난을 자초하는 어리석은 행동이 되고 말 것이니 자연의 순리대로 맡기고 행동하며 실천을 하면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대체적으로는 천살(天殺)의 방향으로 이사를 한 후에 액운을 불러들여 화(禍)를 키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천살(天殺)의 방향으로 이사를 한 후에 간혹 개운(開運)이 된 경우도 있음이니 더욱 세심한 관찰과 판단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