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물형론(物形論)은 먼저 산천의 겉 모양과 그 속에 내재된 정기(精氣)는 서로 통한다는 가설에 전제를 둔다. 예를 들어 화가 난 사람은 얼굴이 붉어지고, 간이 나쁜 사람은 눈에 황달 기가 보이듯이 땅 속에 간직된 기운에 따라 산천의 모양이 생겨났다고 본다.
산세가 웅장하고 활달하면 땅 속의 기운도 왕성한 것이고, 산세가 밋밋하거나 굴곡없이 뻗었다면 그 속의 기운도 쇠약한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보거나 잡을 수 없는 지기(地氣)가 담긴 산세를 사람, 짐승, 새 등의 모양에 빗대어 해석한 다음 지기가 뭉친 곳을 찾고, 나아가 그것의 길흉까지도 판단하는 방법론이다.
예를 들면, 금계포란형, 와우형, 맹호출림형, 선인독서형, 행주형 등과 같이 땅의 형태를 사람이나 동물의 모습에 빗대어 형태룰 설명하며, 그 내에서 핵심되는 장소를 혈로 간주한다. 그리고 금계포란형이라면 닭이 병아리를 부화시키듯이 후손이 크게 번창할 땅이라 설명하고, 와우형이라면 집 안이 두루 편안하고 재물이 풍성해진다고 말한다.
『장경』에는, 〈땅은 사람, 호랑이, 뱀, 거북이 모양 등 무수한 형체를 가지고 있는데, 기는 이러한 여러 가지 모양을 이룬 땅을 흘러 다니면서 만물을 생성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土形氣行 物因以生)〉라 하였고, 『설심부』에도,〈물체의 유형으로 추측하고, 혈은 형체에 연유하여 취한다(物以類推 穴由形取)〉라 하여, 산천을 물형에 비유해 설명한 구절이 있다.
< 사진 : '금계포란형'의 산세도>
반응형
'풍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金銀鍍의 사주명리학 이야기- 천살방향 이사 (0) | 2019.12.25 |
---|---|
金 銀鍍의 사주 명리학 이야기 - 이사방위 (0) | 2019.12.21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피해야할 도로와 장사가 잘되는 땅의 모양 (0) | 2019.09.26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주택 택지 (땅) 선택하기 (0) | 2019.09.26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건물풍수 핵심비결 (0) | 2019.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