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의 책 소개

金銀鍍의 사주명리학 이야기- 미래예측사:사주명리학교

Fortune Ked 2019. 12. 17. 14:11
반응형

일단, 음양오행에 대한 충분한 설명, 절기에 대한 이해 등등 선생으로서 제자에게 '앎'을 선사하는 마음으로 잘 설명해놓았으니 명리에 막 관심이 생기는 사람이라면 읽어볼 만하겠다.

"사주에서는 월(月)이 아주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절기력의 기준이 태양의 고도에 따라 정해진 것으로, 이 변화는 연, 일, 시보다는 월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주8개 글자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태어난 월을 나타내는 기둥인 월주의 지지라고 판단합니다. "

그래서 항상 조화와 균형이 중요합니다.

없으면 당연히 좋지 않겠지만 너무 많아도 좋지 않습니다.

그것은 사주분석뿐만 아니라 세상 모든 일과 모든 인간관계에 똑같이 적용됩니다. 항상 기억하기 바랍니다.

십신의 작용

"비겁과 식상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음양이 같으면 편을, 다르면 정을 붙입니다. 여기서 편은 치우칠 偏 자를 사용하며, 정은 바를 正 자를 씁니다. 음과 양이 만났기 때문에 바른 만남이라는 의미가 담겨있습니다. 하지만 편으로 시작되는 글자가 무조건 나쁘고 정으로 시작되는 글자만 무조건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조화와 균형이 중요합니다."

비겁 : 나와 같은 힘

식상 : 표현의 욕구이며 활동적인 모습. 이성보다 감성

재성 : 내가 마음대로 하고 싶은 것, 원하는 것, 어떤일에 대한 결과

관성 : 내가 싫어도 어쩔수 없이 해야 하는 것, 지켜야만 하는 것, 틀, 규칙

인성 : 배우고, 생각하고, 수렴하는 것. (그래야 에너지를 비축하여 나에게 전달)

"오행은 그 수가 5이지만, 계절은 4계절입니다. 천간에서는 토오행이 별도로 분류되어 있지만, 지지가 나타내는 계절로 보면 토오행은 별도로 구분되지 않습니다.

오행에 따라 그 글자를 분류하게 되면 결국 계절과 계절 사이에 있는 토오행의 글자들은 별도로 빼내서 배치를 해야 합니다. 그렇게 되면 토오행을 제외한 나머지 글자(지지)는 순환하는 순서대로 배열할 수밖에 없습니다.

토오행을 제외한 나머지 글자들이 순서대로 각 오행에 배치되면, 네 글자(사, 오, 해, 자)의 음양은 원래의 음양과는 다르게 배치된 천간의 음양을 그대로 따르게 됩니다. 따라서 십신을 적용할 때는 달라진 음양을 적용합니다."


명리를 공부하면 좋은 점은, '변화'를 인정하게 된다는 것이다.

모든 것은 변하며, 변하지 않는 것은 변한다는 그 사실뿐임을 끝없이 익히고 깨달으면서 사람과 사물, 현상을 볼 때 유연해지고 너그러워진다.

황희선생이 그랬지 않은가. '너도 맞고, 너도 맞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