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도식이라 볼 수도 있다고 봅니다. 원국의 모양새에 따라 다르겠지만 식신이 편인을 볼 때가 피해가 더 클수 있다고 봅니다.
원국 식신+ 운에서 편인 이면 식신이 편인을 보는 것은 의식주 풍부하다가 반대로 부족되는 현상으로, 낙천적인 의지가 부족이라는 의지로 , 낙천은 근심 걱정으로 , 살만하다는 못 살만하다 , 식신은 행복 시작인데 반대로 불행해 진다 로 바뀐다고 생각해보며
원국 편인+운에서 식신이면 편인이 식신을 보는 것는 편인의 능력이 물질과 결합한 것으로 보며 긍정적으로 보면 편인의 능력으로 자신의 이익을 취할 수도 있으리라 봅니다. 부정적으로 보면 나도 그만 그만 먹고 사는데 내 주변에 의식주를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는 이들이 있어 도와주거나 양보해야 하는 상황이 되는 것으로 봅니다.
반응형
'명리학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金銀鍍의 사주명리학 이야기- 선천수와 후천수 (0) | 2020.01.17 |
---|---|
金銀鍍의 사주명리학 이야기- 고란살일주 (0) | 2020.01.14 |
金 銀鍍의 사주 명리학 이야기 - 관살거유,합살유관 (0) | 2019.12.07 |
金 銀鍍의 사주 명리학 이야기 - 아신 (0) | 2019.12.07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실자입고 암신개고 (0) | 2019.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