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재가 인성을 만나면
일간의 편재가 편인을 보면 편재이고, 정인을 보면 정재이며 편인이 편재를 보면 편관이요, 정재를 보면 정관으로서 재성이 왕성하면 인수는 능력을 상실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재성은 부친이며 아내요 인수는 어머니요 학문입니다.
아내는 남편을 독점하는 것이 정당 하듯이 어머니는 자식을 독점 하려는 것이 인지상정이라 정당하다 할것 입니다. 서로가 독점하려는 데서 고부지간에 의견이 상반되고 갈등이 발생하며 서로 시기하고 질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남편인 일간은 그 어느편인가를 분명하게 선택 하여야 합니다. - 언제나 요게 문제라능,,,,-
어느쪽을 선택할 것인가는 일간의 신왕함과 신약함에 따라서 결정되니 신약한 경우라면 후견인의 보호를 받아야할 때 이므로 인수를 선택하여야 하니 어머니 곁을 떠날 수 없고, 록왕에 자리하여 능히 자립할 수 있는 신왕자는 재성인 아내를 선택 하여야 합니다.
신약한 일간은 아내에게 남편노릇을 다 할 수 없을 뿐더러 주권행사를 다할 수 없는 무능력자로서 아내인 재성의 무거운 화물을 가득 짊어지면 두 가지 변고가 발생 합니다.
첫째 아내는 남편구실을 못하는 일간에게 불평과 불만을 갖게되고 반발심과 증오심을 갖는 동시에 , 신약한 남편은 신왕 재왕한 아내를 지배하려고 드니 욕구불만에서 발생하는 탈선과 방종을 하게되고 욕심에서 시작한 사업은 반드시 실패를 할것 입니다.
인수인 어머니에 의지하는 신약자는 처덕이 없고 재물복도 없으며 아내로 인해서, 재물로 인해서 많은 고생을 하게되고 손재하며 망신까지 당하게 되니 결혼을 하거나 사업을 시작하면서 부터 고생을 하게 되는 것이고 부부생활 또한 행복하지 못합니다.
어리석지 아니하면 불구 단명하게 되고 만약 재성인 부인이 왕성하거나 똑똑하거나 인물이 좋으면 남편을 완정히 무시하고 ㅁ멸시하며 부정먼 자행하는 악처를 만나게 됨니다.
다시 말해서 인수에 의지하는 신약자는 자립사업은 절대로 금물이고 오직 외길로 월급생활을 하여야 합니다.
둘째 반대로 성숙하고 건강한 신왕자는 아내를 선택하고 사업을 경영 하여야 합니다.
신왕자는 남편인 일간이 훌륭하고 늠름하여 아내를 즐겁게하고 만사에 만족을 베품으로서 아내는 남편을 성실하게 공경합니다. 남편인 일간이 똑똑하고 건전하고 성실하며 미남이니 아내의 모습 또한 그에 못지 않게 미녀여야 할것 입니다.
천하의 모든 여성들이 탐을 내고 그혼하고 천혼하는 장부의 앞길을 인수인 어머니가 가로막고 있을 수는 없습니다. . 자식의 출세를 기도하고 축복할 지언정 시기하고 질투하는 어머니는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아무리 성숙하고 훌륭해도 배우자인 재성이 나타나지 않고는 결혼할 수 없듯이 재성인 돈이 없으면 사업을 할 수가 없고 신왕하고 재약하면 일간과 비겁은 관성을 극함으로서 오히려 신약함만 못한 경우도 있습니다.
이 때문에 신왕한자가 인수를 보면 부모의 음덕이 없고 도리어 인수인 어머니 때문에 고생하고 출세와 재능과 가회를 잃게되는 것입니다.
그처럼 신왕자가 어머니인 인수에 매달리고 얽매여 있는 노총각 앞에 재성이 나타나고 여인이 나타나서 결혼을 하면 하늘을 나는 새처럼 자유롭고 기쁘게 되니 이 때문에 신왕자는 인성을 보면 진퇴양난의 일이 발생 합니다.
신왕자가 인수운을 만나며 사업을 확장하는 일이 발생하여, 사업을 확장할 수 있는 경우는 재성이 튼튼하고 왕성하면 사업확장으로 성공하고 재성이 빈약한 운에서 시작하면 반드시 망하고 재다신약자는 반대로 인수운에 발복합니다.
인수는 일간을 도우는 후견인과 상사를 의미 하니 인수로 인한 사고는 곧 후견인이나 상사로 부터 책망과 불신, 배신, 배반, 불합격, 수술 등으로 인한 사고 또한 갑작스러운 불의의 이변이 발생함을 암시하고 자동차 사고, 낙상, 식중독도 그 중 하나 입니다.
인수인 어머니를 비롯하여 존속, 친족, 연상의 웃사람이 위독하거나 사망하는 경우가 있거나 사업진행상 운행이 중단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됩니다.
반대로 인성을 쓰는 신약자는 재성을 싫어 하듯이 재성운을 만나면 몸을 다치게 되고 병고로 고생하게 되며 직장에서 쫏겨나는 동시에 막대한 손해배상을 물어주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조심 또 조심-
신약자가 무리한 사업을 확장하여 경영하거나 무리한 허영심 그리고 과로로 인해서 실패와 파탄을 자초할것이므로 조심 해야 합니다.
재성은 여인과도 상통하니 금전문제가 아니면 여인 때문에 발생하는 색정의 재난임을 암시하고 감당할 수 없는 물욕 또는 색정문제로 인해서 봉변을 당하고 손재하고 망신까지 당하는 것 입니다.
그것은 자의가 아닌 타의에 의해서 발생된 변고이니 이유는 인수에 의지하는 신약자는 수동적이니 자신의 주관대로 무엇인가를 자행할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남에게 속은 것입니다.
미숙한 미성년을 돈과 여인과 물질로 유혹하여 걷잡을 수 없는 불의의 사고를 유발시킨 것입니다.
자식에대한 인수인 어머니의 사랑과 남편에 대한 아내의 사랑은 본질적으로 차원이 다릅니다. 인수의 모정은 순수하고 절대적이며 일방적으로 베푸는 무조건의 절대적인 사랑이며, 재성인 아내의 사랑은 상대적이고 이해 타산적인 조건부의 이용과 육체적인 사랑입니다.
그 때문에 인수인 어머니는 죽음까지 각오한 고귀한 정신적인 사랑이고 재성인 아내는 생존하기 위한 수단적 사랑 입니다. 남편이 불만족 스럽다거나 외면하거나 무능하거나 실격이면 재성인 아내의 애정은 무정으로 둔갑하여 마치 파장의 장사꾼처럼 보따리를 싸서 서둘러 달아나 버립니다. 그와 같이 어머니인 인수는 무한대의 자비와 덕성을 베풀고 아내인 재성은 철저한 이해관계에 의한 사적인 거래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자비로운 덕성은 이해관계만을 따져서는 안되듯이 약삭 빠른 장삿꾼인 재성은 자비심이나 인정을 베풀줄을 모릅니다.
모정이 자식에 대한 이해관계만 따진다면 모정은 존재할 수 없듯이 장사꾼이 돈에대한 이해관계를 떠나서 자비에 눈을 돌린다면 이익에 대한 물욕은 사라지는 것입니다. 그와 같이 인수는 재성의 물욕이 금물이고 재성은 인수의 덕성은 금물입니다.
이 때문에 인수의 재성이 보거나 부딫히면 인수와 재성은 서로 갈피를 잡지 못하고 주저하고 우왕좌왕 하게 되며 갈등하고 고민하게 되니 이유는 재성은 인수의 칠살이기 때문입니다.
신왕하고 재성이 풍부하고 왕성한 자는 인성을 만남으로 인하여 더욱 재성을 안전히게 보존하고 감당할 수 있고 치부를 이루는 동시에 힘과 능력을 길러주는 생기의 인수를 더욱 기뻐 하듯이 신왕하고 인성이 풍부한 자는 심신연마를 완성하고 덕성을 더욱 완벽하게 간직함으로서 완성한 재성을 보거나 만다 해서 그에 현혹되지 않을 뿐더러 도리어 재물을 자선하고 남을 도우는 일에 아낌없이 활용라여 크게 덕망과 명성을 얻음이 좋을것 입니다.
신약자는 유혹에 약하듯이 가난한 사람도 유혹에 매우 약합니다. 어리석거나 어린 인생은 모든 사태와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 할 수가 없고 상대방의 속임수에 넘어가기 쉬우므로 재성의 유혹과 여인의 유혹이 금물이 듯이 가난하고 배고픈 사람은 금품의 유혹을 이결낼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러나 신왕하고 성숙한 장정이나 경제력이 풍부한 부자는 주위의 어떠한 유혹에도 넘어가지 않고 늠름하게 이겨낼 수 있습니다.
그와 같이 신약자가 재성은 만나거나 신약자가 인성운을 만나 사업을 변동하거나 확장 하는 것은 금물이나 , 신왕자가 인성을 만나 사업을 변동하게나 확장하는 것은 도리어 대성의 기회로서 기뻐할 뿐 미워할 필요는 없습니다.
모든것이 그러 히듯이 십성의 길흉은 일간의 사주구성과 환경과 능력과 시기의 상황에 따라서 결정되고 달라질 뿐 십성 그 자체는 절대로 길흉이 없습니다.
재성이 흉신이니 아내를 버리고 재물을 버리고 아버지를 버린다거나 인성이 흉신이니 어머니를 버리고, 지니고 있는 집문서를, 땅문서를 모두 버리고 공부할 필요도 없다는 등의 허구의 학문은 버려야할것 입니다
'십신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金銀鍍 의 사주 명리학 이야기- 비견이 편인을 만날때 (0) | 2019.12.09 |
---|---|
金銀鍍 의 사주 명리학 이야기- 편재가 정재를 만나면 (0) | 2019.12.09 |
金銀鍍의 사주명리학 이야기- 칠살이 인수를 만날때 (0) | 2019.12.08 |
金銀鍍의 사주명리학 이야기- 식신이 정인을 만날때 (0) | 2019.12.08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아내와 십신 (0) | 2019.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