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별 중증질환 증상의 발현과 명리학적 분류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정창근
1. 장기의 허실에 따른 질병 이론
① 간장(木) 계통
- 허증(부족, 1개 이하) : 안질(시력감퇴, 밤눈 어두운 것, 약시, 색맹, 백내장 등), 요통, 생리불순, 간질, 정신병, 빈혈, 근육 경련, 근육 무력증, 전신불수, 뇌혈증
- 실증(태과, 3개 이상) : 기미, 얼굴 창백, 눈의 충혈, 전두통, 위산과다, 경기, 간염, 간경화, 근육통, 신경과민, 다리장애,반신불수, 생식기 허약, 동맹경화, 알콜 중독, 와사(입이 돌아가는 것)
② 담(木) 계통
- 허증 : 현기증이 잘 일어나며 눈이 노랗다, 편두통
- 실증 : 담석 통증, 담낭염, 늑간 신경통(갈비뼈 통증), 좌골 신경통(엉덩이뼈 통증), 관절염, 빈혈증, 후두통
③ 심장(火) 계통
- 허증 : 가슴 두근거림, 잘 놀람, 꿈이 많음, 야뇨증, 몽정, 빈뇨(頻尿), 저혈압, 중두통, 자궁냉증, 동상, 난시, 난청, 이명
- 실증 : 몸에 열이 많음, 갈증, 변비, 호흡곤란, 순환장애, 동맥경화, 고혈압, 협심증, 심장판막증
④ 소장(火) 계통
- 허증 : 견갑골(날개죽지) 통증, 목덜미 뻐근함
- 실증 : 생리불순, 생리통, 소화불량, 관절‧근육 류마티스, 소장증, 인후염, 편도선염, 단백뇨, 부종, 신경쇠약
⑤ 비장(土) 계통
- 허증 : 식용부진, 소화불량, 위산과다, 변비, 설사, 이질, 불면증, 경풍, 허약증, 신경성 질환, 비만 또는 여윈 증세
- 실증 : 맹장염, 위경련, 화농성 질환, 다식다면(多食多眠), 관절염 및 관절통, 피부병, 췌장염
⑥ 위장(土) 계통
- 허증 : 급성 위염, 위경련, 소화불량, 복통, 포식
- 실증 : 위궤양, 위하수, 위확장, 위무력, 위암, 치통, 잇몸 이상
⑦ 폐(金) 계통
- 허증 : 폐결핵, 갑상선, 체증, 두통, 비부 거칠고 얼굴 창백, 신경과민, 의욕 감퇴
- 실증 : 기관지염, 기관지 천식, 인후염, 편두통, 비후성 비염, 축농증, 빈혈, 요골(엄지 손가락) 신경통
⑧ 대장(金) 계통
- 허증 : 치질, 하혈, 혈변, 복부 무력감, 설사
- 실증 : 전두통, 견갑(어깨)통, 치통, 신경과민, 변비증, 장염, 장폐쇄, 불면증, 무릎관절통, 피로, 만성 감기
⑨ 신장(水) 계통
- 허증 : 골수염, 관절염, 요통, 신경통, 두통, 치통, 중풍, 정력감퇴, 귓병, 눈병, 콧병
- 실증 : 신장염, 신장결석, 신장결핵, 하혈, 자궁 냉증, 냉대하증, 불임증, 고환염, 류마티스 , 이명(耳鳴)
⑩ 방광(水) 계통
- 허증 : 방광염, 요도염, 소변불통, 임질, 매독, 화농성질환, 관절통, 요척통(허리 부근 척추 통증), 좌골 신경통
- 실증 : 방광염, 요도염, 소변불통, 임질, 매독, 화농성 질환, 무릎, 발목
2. 조사 대상 : 서울 시내 종합병원 입원 환자 중 수술을 했거나 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318명
- 간장과 담 계통 : 63명
- 심장과 소장 계통 : 55명
- 비장과 위장 계통 : 67명
- 폐와 대장 계통 : 63명
- 신장과 방광 계통 70명
3. 연구 결과 요약
① 간장과 담 계통
- 목기 불급 : 33%
- 원국에서 피상 : 65.1%
- 유년에서 토, 금기에 의해 상극 : 46%
- 목기 태과 : 30.2%
- 유년에서 수, 목, 화기가 들어와 기신이 되었을 때 : 54%
② 심장과 소장 계통
- 화기 불급 : 30.9%
- 원국에서 피상 : 65.6%
- 유년에서 수, 금기에 의해 상극 : 71%
- 화기 태과 : 34.6%
- 유년에서 목, 화, 토가 들어와 기신이 되었을 때 : 54.5%
③ 비장과 위장 계통
- 토기 불급 : 29.8%
- 원국에서 피상 : 88%
- 유년에서 목, 수기에 의해 상극 : 73%
- 토기 태과 : 52.2%
- 유년에서 화, 토, 금기가 들어와 기신이 되었을 때 : 68.7%
④ 폐와 대장 계통
- 금기 불급 : 34.9%
- 원국에서 피상 : 77.7%
- 유년에서 화, 목기에 의해 상극 : 66.6%
- 금기 태과 : 41.3%
- 유년에서 토, 금, 수기가 들어와 기신이 되었을 때 : 66.5%
⑤ 신장과 방광계통
- 수기 불급 : 32.9%
- 원국에서 피상 : 64.3%
- 유년에서 토, 화기에 의해 상극 : 64.3%
- 수기 태과 : 30%
- 유년에서 금, 수, 목기가 들어와 기신이 되었을 때 : 57.1%
* 유년 기신의 정의
- 불급의 경우 : 유년에서 설기나 극을 받을 때
- 태과의 경우 : 유년에서 생조를 받을 때
4. 상세 연구 결과
① 조사 대상자의 수술 부위별 오행 태과성 분포
단위: 명(%)
목 | 화 | 토 | 금 | 수 | 계 | |
간장, 담 | 19 (30.2) |
3 (4.8) |
14 (22.2) |
16 (25.4) |
11 (17.4) |
63 (100) |
심장, 소장 | 7 (12.7) |
19 (34.6) |
7 (12.7) |
7 (12.7) |
15 (27.3) |
55 (100) |
비장, 위 | 11 (16.4) |
9 (13.4) |
35 (52.2) |
7 (10.5) |
5 (7.5) |
67 (100) |
폐, 대장 | 14 (22.2) |
13 (20.6) |
4 (6.4) |
26 (41.3) |
6 (9.5) |
63 (100) |
신장, 방광 | 11 (15.7) |
13 (18.6) |
18 (25.7) |
7 (10.0) |
21 (30.0) |
70 (100) |
계 | 62 (19.5) |
57 (16.0) |
78 (24.5) |
63 (19.8) |
58 (18.2) |
318 (100) |
② 수술 부위별 오행 태과성 유무 분포표
단위 : 명(%)
태과성 있음 | 태과성 없음 | 계 | |
간장, 담 | 19(30.2) | 44(69.8) | 63(100) |
심장, 소장 | 19(34.6) | 36(65.5) | 55(100) |
비장, 위 | 35(52.2) | 32(47.8) | 67(100) |
폐, 대장 | 26(41.3) | 37(58.7) | 63(100) |
신장, 방광 | 21(30.0) | 49(70.0) | 70(100) |
③ 조사 대상자의 수술 부위별 오행 불급성 분포표
단위: 명(%)
목 | 화 | 토 | 금 | 수 | 계 | |
간장, 담 | 21 (33.3) |
6 (9.5) |
12 (19.1) |
15 (23.8) |
9 (14.2) |
63 (100) |
심장, 소장 | 10 (18.2) |
17 (30.9) |
4 (7.3) |
14 (25.4) |
10 (18.2) |
55 (100) |
비장, 위 | 12 (17.9) |
16 (23.9) |
20 (29.9) |
7 (10.4) |
12 (17.9) |
67 (100) |
폐, 대장 | 10 (15.9) |
13 (20.6) |
6 (9.5) |
22 (34.9) |
12 (19.1) |
63 (100) |
신장, 방광 | 11 (15.7) |
11 (15.7) |
7 (10.0) |
18 (25.7) |
23 (32.9) |
70 (100) |
계 | 64 (20.1) |
63 (19.8) |
49 (15.4) |
76 (23.8) |
66 20.7) |
318 (100) |
④ 수술 부위별 오행 불급성 유무 분포표
단위 : 명(%)
불급성 있음 | 불급성 없음 | 계 | |
간장, 담 | 21(33.3) | 42(66.7) | 63(100) |
심장, 소장 | 17(30.9) | 38(69.1) | 55(100) |
비장, 위 | 20(29.9) | 47(70.1) | 67(100) |
폐, 대장 | 22(34.9) | 41(65.1) | 63(100) |
신장, 방광 | 23(32.9) | 47(67.1) | 70(100) |
⑤ 수술 부위별 오행 태과와 불급 합계 분포표
단위 : 명(%)
태과 | 불급 | 계 | |
간장, 담(목) | 19(30.2) | 21(33.3) | 40(63.5) |
심장, 소장(화) | 19(34.6) | 17(30.9) | 36(65.5) |
비장, 위(토) | 35(52.2) | 20(29.9) | 55(82.1) |
폐, 대장(금) | 26(41.3) | 22(34.9) | 48(76.2) |
신장, 방광(수) | 21(30.0) | 23(32.9) | 44(62.9) |
⑥ 조사 대상자의 수술부위별 원국 피상 상극성 분포도
단위 : 명(%)
수극화 | 화극금 | 금극목 | 목극토 | 토극수 | 토극토 | 계 | |
간장, 담 | 8 (12.7) |
4 (6.3) |
22 (34.9) |
19 (30.2) |
2 (3.17) |
8 (12.7) |
63 (100) |
심장, 소장 | 21 (38.2) |
15 (27.3) |
4 (7.3) |
2 (3.6) |
4 (7.3) |
9 (16.3) |
55 (100 |
비장, 위 | 3 (4.5) |
4 (6.0) |
1 (1.5) |
25 (37.3) |
3 (4.5) |
31 (46.2) |
67 (100) |
폐, 대장 | 2 (3.2) |
21 (33.3) |
28 (44.4) |
2 (3.2) |
4 (6.4) |
6 (9.55) |
63 (100) |
신장, 방광 | 19 (27.1) |
8 (11.4) |
2 (2.9) |
2 (2.9) |
26 (37.1) |
13 (18.6) |
70 (100) |
계 | 53 (16.6) |
52 (16.4) |
57 (17.9) |
50 (15.7) |
39 (12.3) |
67 (21.1) |
318 (100) |
(⇒ 논문 저자는 ‘토극토’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 있지 않습니다. 진술충, 축미충을 토극토라고 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일부에서는 戊己충을 말하기도 합니다.
간담은 木으로 금극목(목의 死地), 목극토(목의 囚地)일 경우 발병율이 높습니다. 비위는 토극수 보다는 토극토의 비중이 더 높습니다.)
⑦ 조사대상자의 수술부위와 유년 상극성 분포
단위 : 명(%)
수극화 | 화극금 | 금극목 | 목극토 | 토극수 | 토극토 | 계 | |
간장, 담 | 11 (17.7) |
6 (9.5) |
25 (39.7) |
4 (6.3) |
2 (3.2) |
15 (23.8) |
63 (100) |
심장, 소장 | 25 (45.5) |
14 (25.5) |
3 (5.4) |
2 (3.6) |
4 (7.3) |
7 (12.7) |
55 (100 |
비장, 위 | 5 (7.5) |
6 (9.0) |
7 (10.5) |
18 (26.8) |
5 (7.5) |
26 (38.7) |
67 (100) |
폐, 대장 | 9 (14.3) |
19 (30.1) |
23 (36.5) |
2 (3.2) |
4 (6.4) |
6 (9.5) |
63 (100) |
신장, 방광 | 17 (24.3) |
3 (4.3) |
5 (7.1) |
2 (2.9) |
28 (40.0) |
15 (21.4) |
70 (100) |
계 | 67 (21.1) |
48 |
63 |
28 |
43 |
69 |
318 (100) |
(⇒ 간담(木), 비위(土), 신장‧방광(水)의 경우 토극토의 비중이 높습니다. 土가 왕해지면 목(囚과 수(死)가 타격을 받고, 토충으로 토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입니다.)
'건강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건강운 (0) | 2019.09.15 |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건강운 (0) | 2019.09.15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병, 건강운 (0) | 2019.04.04 |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건강운 (0) | 2019.04.03 |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육친과 기∙ 혈∙ 정∙ 신 및 대운과 세운의 질병관계 (0) | 2018.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