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42

사주 카페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묘술합

우리가 흔히 말하는 묘술합은 여러 가지 말이 참 많은 합입니다. 묘의 특성 자체가 잘 꾸미고 상당히 분발심이 있는 글자입니다. 춘궁기라는 말이 가장 잘 어울리는 글자이기도 하죠. 궁한 계절이기에 묘월은 아주 열심히 살아가는 글자입니다. 묘라는 것은 양명조금으로 명랑하지만 그 안에 메마른 금이 있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명랑하고 즐거운 행동 그 속에 실리를 추구하는 마음이 있는 것을 말합니다. 묘는 아침 일찍을 뜻함으로 출근을 하는 시간으로 잘 꾸미고 잘 포장하는 특성을 가집니다. 그래서 묘는 분발심이 강하고 실리를 추구하며 잘 꾸미고 잘 포장하는 특성을 가졌으며 토끼는 겁이 많아 토끼 굴을 많은 곳에 팝니다. 그리고 궁한 계절이므로 먹이를 찾아 여기저기 돌아다니기에 일의 변화가 많고 많은 재능을 가졌습니다..

합/육합 2019.08.14

사주 카폐 道慧 (지혜에 이르는길) - 월지 일지 묘술합

묘술합으로 일월지 합 되는 사람들은 공감할거임 묘목은 그자체로 어린 나무고 술토는 지긋하게 묵은, 오래된 흙임 나 자신을 뜻하는 일지는 묘목이기에 태생적으로 특유의 천진난만함을 갖고 잇음 나름의 순수하고 여린 마인드로 다사다난한 월지 즉 환경들 속에서 많은 일들을 겪고, 그로인해 새로 느끼고 깨우치게되는 것들이 많아지면서 흔히 말하는 애늙은이스럽게 성숙해져감 그래서 일지 묘술합들은 애늙은이스런 마인드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움 주위에 가깝게 두거나 맘을 주는 사람들도 대체로 기본 마인드가 성숙하거나 나름의 깊이가 있는 사람들임 해서 일월지 묘술합이면 나이가 많은 사람과 연이 될 확률이 높다하는거 나이 불문 성숙하고 깊이있는 사람을 좋아하기때문에 위같은 말이 생긴거같음

합/육합 2018.12.22
반응형